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 survey of attitudes t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general and adherence of the Korea practical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gallbladder polyp

        Jooyeon Jeong,Jae Keun Kim,Joon Seong Park,Dong Sup Yoon 한국간담췌외과학회 2014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Vol.18 No.2

        Backgrounds/Aims: Whil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re effective tool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atient care and provide specific recommendations for daily practice, the usage of them have been often suboptimal. Therefore, evaluation of physician attitude to guidelines is an important initial step in improving guideline adherence leve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attitude on general guidelines and adherence with the Korea Practical Guidelines for gallbladder (GB) polyp two year after their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among Korean private clinicians. Methods: To evaluate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sent with a stamp on an addressed envelope to 3,256 private clinicians who were registered at the Seoul Medical Association in April, 2010. From the 3,256 questionnaires, 376 clinicians (11.5%) responded to the survey. Results: A total of 91.0% responders agreed to the statement that general guidelines were useful tools for improving patient care and quality of care. One hundred one responders (26.9%) stated that they were aware of the Korea GB polyp guidelines while 73 physicians (72.3%) founded the guideline had changed their practice and user-friendly. Most of physicians (73.4%) agreed to practical procedures recommended by guidelines. Conclusions: Korean primary physicians were generally positive to the practical guidelines, as propagation of the guideline among primary physicians may improve adherence to guideline and patients care for GB polyps.

      • Deletion of the chloroplast LTD protein impedes LHCI import and PSI–LHCI assembly in <i>Chlamydomonas reinhardtii</i>

        Jeong, Jooyeon,Baek, Kwangryul,Yu, Jihyeon,Kirst, Henning,Betterle, Nico,Shin, Woongghi,Bae, Sangsu,Melis, Anastasios,Jin, EonSe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Vol.69 No.5

        <▼1><P>The <I>Chlamydomonas reinhardtii</I> LTD null mutant generated by CRISPR–Cas9, displayed aberrant PSI–LHCI holocomplexes, suggesting that the LTD protein may selectively function in PSI–LHCI assembly in green microalgae</P></▼1><▼2><P><B>Abstract</B></P><P>Nuclear-encoded light-harvesting chlorophyll- and carotenoid-binding proteins (LHCPs) are imported into the chloroplast and transported across the stroma to thylakoid membrane assembly sites by the chloroplast signal recognition particle (CpSRP) pathway. The LHCP translocation defect (LTD) protein is essential for the delivery of imported LHCPs to the CpSRP pathway in <I>Arabidopsis</I>. However, the function of the LTD protein in <I>Chlamydomonas reinhardtii</I> has not been investigated. Here, we generated a <I>C. reinhardtii ltd</I> (<I>Crltd</I>) knockout mutant by using CRISPR–Cas9, a new target-specific knockout technology. The <I>Crltd1</I> mutant showed a low chlorophyll content per cell with an unusual increase in appressed thylakoid membranes and enlarged cytosolic vacuoles. Profiling of thylakoid membrane proteins in the <I>Crltd1</I> mutant showed a more severe reduction in the levels of photosystem I (PSI) core proteins and absence of functional LHCI compared with those of photosystem II, resulting in a much smaller PSI pool size and diminished chlorophyll antenna size. The lack of CrLTD did not prevent photoautotrophic growth of the cells. These results are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ose for Arabidopsis <I>ltd</I> null mutant, indicating LTD function in LHCP delivery and PSI assembly may not be as stringent in <I>C. reinhardtii</I> as it is in higher plants.</P></▼2>

      • KCI등재

        기업 근로자의 표준에 대한 관심이 표준교육 수요에 미치는 영향 구조분석: 교육수준, 전문직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주연(Jooyeon Jeong) 표준인증안전학회 2017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7 No.3

        본 연구에서는 표준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기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표준에 대한 관심, 표준의 중요성 인식, 표준교육수요에 대해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표준에 대한 관심, 표준의 중요성 인식, 표준교육수요가 기업 근로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또한, 기업 근로자의 표준에 대한 관심, 표준중요성 인식, 표준교육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공변량구조 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에 대한 관심과 생활표준에 대한 관심, 표준의 중요성 인식이 표준교육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근로자의 표준에 대한 관심과 생활표준에 대한 관심 수준이 높은 근로자 일수록 표준의 중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준에 대한 관심과 생활표준에 대한 관심, 표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근로자일수록 표준교육에 대한 수요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로자의 교육수준 따라 표준관심, 생활표준관심, 표준중요성인식과 표준교육수요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근로자의 교육수준에 따른 일부경로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근로자의 전문직여부에 따라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terest on standard, significance recognition on standard, need of education on standard with enterprise workers in related business. Concretely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by enterprise worker’s socio-demographic feature to interest on standard, significance recognition on standard, need of education on standard. Also, this study tested influencing factors of interest on standard, significance recognition on standard, need of education on standard by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y testing interest on standard, interest on standard in life, and significance recognition on standard using analysis of structure, enterprise worker had high awareness on importance of standard if the worker has high interest on standard and standard in life. Also, this study showed high need of education on standard if the worker has high interest on standard, standard in life, and importance of standard. Second, testing by regulation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on standard, standard in life, importance of standard and need of education on standard using variable of worker’s education level, there wa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s path. However, there was no regulation effect according to specialized job.

      • KCI등재

        성인의 라이프스타일과 표준인지, 표준중요성 인지가 표준활동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주연(Jooyeon Jeong),김예은(Yeeun Kim) 표준인증안전학회 2017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7 No.4

        본 연구는 어떤 사람이 표준활동의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지, 표준활동의사의 적극성에 영향 미치는 변수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표준에 대한 인지, 표준중요성인지, 표준활동의사가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또한 이들 변수들 간의 영향력을 공변량구조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이공계열 출신의 응답자가 표준에 대해서 더 많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소득이 201만원에서 400만원 사이인 경우 표준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도 수준이 높았다. 표준활동의사는 남성, 이공계전공자의 경우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변량구조분석 결과 합리성추구를 하는 국민일수록, 가족중심생활을 하는 국민일수록, 사회참여 생활을 원하는 국민일수록, 개성적인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는 국민일수록 표준에 대해서 더 많이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합리적인 생활을 추구할수록, 가족중심의 생활을 할수록, 사회참여에 대한 욕구가 클수록 표준의 중요성에 대해서 더 많이 인지하고 있었다. 한편, 표준에 대해 더 많이 인지하고 있을수록 또한 표준 중요성에 대해 더 많이 인지하고 있을수록 표준활동의사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fluencing factors on activeness of mind of standard activity to know who participate actively on mind of standard activity. This study concretely investigated influencing factors on recognition of standard, need of recognition of standard, and mind of standard activit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eature. Also, this study tested influence between variable by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n, and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 recognized the need of standard more. Man who has between 2,010,000won and 4,000,000won household income highly recognized the need of standard. On the mind of standard activity, man, and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 were active. Third, As the result of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intellectualizer, family-centred man, social participation man, and living distinct individuality man recoginized more about standard. Also, intellectualizer, family-centered man, and social participation man recognized more about need of standard. However, man who recognize on standard, and man who recognize on need of standard had high desire on standard activity. Last, group who has high level of knowledge of standard did not recognize need of standard specially the family-centered man, but living distinct individuality man recognize need of standard. In the opposite side, the family-centered man in group who has low level of knowledge of standard had recognition of standard, and living distinct individuality man in this group did not recognized about standard.

      • KCI등재

        국내 단체교섭구조 및 그 결정요인과 산업별 다양성 : 국제비교적인 시각의 고찰

        정주연(Jooyeon Jeong) 한국노동연구원 2009 노동정책연구 Vol.9 No.1

        국내보다 앞선 산업화를 경험한 영국ㆍ미국ㆍ독일ㆍ일본 등의 선진국들의 단체교섭에 대한 경험을 담은 문헌 검토를 통해서 국가나 산업별로 지배적인 교섭수준이 어떻게 유사하거나 다르고 어떤 요인들에 의해 설명되는지에 대한 분석틀을 도출했다. 이 이론적 틀을 통해 국내의 국가나 산업별 지배적인 교섭구조를 규명하고 설명한다. 이런 국제비교적인 시각의 연구를 통해서 본 논문은 국내의 지배적인 기업별 교섭구조는 독일과는 대조적으로 미국이나 일본의 구조와 근접하고 그것은 이 선진국들의 경험처럼 산업화의 초기부터 형성된 정치ㆍ사회ㆍ문화적 환경이나 이와 관련된 정부 역할과 이들에 영향을 받은 노사관계의 역사, 노사정의 선택과 세력관계와 노조나 사용자들의 태도나 선택 등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음을 보였다. 또 국내의 대다수의 산업에서 기업별 교섭구조가 지배적인 것과 대조적으로 항운하역업의 전국수준의 통일교섭, 자동차 운수 내 시내버스업의 지역수준의 교섭, 금융과 병원산업의 최근의 산업별 교섭의 성장을 다루면서 국내에서 산업별 교섭구조의 다양성을 확인했다. 또 이런 교섭구조는 동태적인 변화도 보여서 금속산업에서는 최근에 산업별 교섭이 시도되고 있고 반대로 항운업이나 시내버스업의 집중화된 교섭구조는 분권화의 조짐을 보인다. 국내의 이런 산업별 교섭구조의 다양성이나 최근 변화는 선진국들의 경우처럼 각 산업별로 다른 기업규모에 따른 산업구조, 정부 개입의 정도, 산업의 성장단계, 노조의 이념이나 성장 경로, 사용자의 태도, 노사관계의 역사 등에 의해 설명된다. 본 연구는 국내의 단체교섭을 연구하는 데 산업이나 기업수준의 중시(meso) 혹은 미시(micro)적인 자료 수집이나 이론적 틀, 국제비교적인 시각 등이 중요함을 확인시켜 준다. 또 본 논문은 국내나 산업의 지배적인 기업별 교섭구조가 산업별 구조로 변하는 것은 노조의 선호나 시도만으로 가능한 것이 아니라 환경이나 다른 노사관계 주체들의 선호나 선택 등이 같이 부합해야만 가능함을 보여준다. This paper builds a theoretical framework on similarities and diversities in prevailing bargaining levels across some advanced nations and their industries throug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in English. This theoretical framework turns out to be useful to understand the establishment of enterprise bargaining currently prevailing in Korea. Despite the prevailing enterprise bargaining structure in Korea, this paper also illuminates and analyzes industrial diversities in prevailing bargaining levels: centralized bargainings in port service and city bus industries at nation- and region-levels respectively as well as recent emergence of industry bargaining in banking and health care industries in contrast to predominance of enterprise bargaining in chemical and metal industries. In addition, that theoretical framework could also explain the recent decentralization of the centralized bargaining structure in port services and city bus industries. Findings of this paper imply that the fundamental shift could not be made only by preferences and choices of unions without similar preferences and choices of employers in association with their nation- and industry-specific industrial relations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