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Bayesian Spatial Contamination Model

        Jonghyun Na,Taekseon Ryu,Joonmyoung Kim,Hansuk Kim,Manjae Kwon,Yongsung Joo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3

        In environmental research, it is often the case that to cluster observations into environmentally polluted and natural groups is an important issue. The Bayesian contamination model which adopts a multivariate mixture regression model has been developed in that it aims to cluster observations and estimate the average amount of pollution. However, because the Bayesian contamination model does not take spatial correlations between observations into consideration, a Bayesian spatial contamination model is proposed. A simulation study was conducted showing that the proposed model has an advantage over the Bayesian contamination model in terms of biases and RMSE of estimators of the logistic regression parameters. We applied the proposed model into environmental data and confirmed the improvement on the model fit. Also, the clustering was reasonably performed from the environmental perspective, which was coherent with the fact that the underground water flows from the southwest side to the northeast side. This model is expected to be utilized effectively to monitor the quality of a ground or groundwater and capture the heterogeneity in it which is suspected of environmental pollution especially when the interested site consists of areas with strong spatial dependency.

      • KCI등재

        외암(巍巖) 이간(李柬)의 정치적 입장과 호락논쟁

        나종현 ( Na Jonghyun ) 온지학회 2019 溫知論叢 Vol.0 No.60

        이 연구에서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이간의 정치적 입장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이간은 호락논쟁의 주요 논자 중 하나로 철학적 쟁점을 두고 한원진과 대립하였으며, 이간의 철학적 견해는 특히 낙론과 통하는 부분이 많았다고 평가받는다. 호락논쟁이 노론 내에서 ‘개혁’과 ‘보수’의 갈림길로 평가되는 점을 고려하면, 이간의 정치적 입장을 해명하는 작업은 호락논쟁에 대한 역사적 평가와도 깊게 연관되어 있다. 한원진은 호락논쟁에서 분별을 강조하는 철학적 견해를 드러내었고, 사회개혁론에 있어서도 계층 간의 분별을 강조하며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간의 정치적 입장은 한원진과는 달리 ‘개방적’이었을 것이라는 추정이 그동안 통용되어 왔다. 그러나 같은 노론으로서 이간의 정치적 입장은 한원진과 다르지 않았다. 이간은 율곡 이이로부터 내려오는 율곡학파의 학통을 수호하여야 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異說을 강하게 배척하고 이단을 경계하는 태도로 드러났다. 異說에 대한 배척은 한원진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당시 사상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태도였다. 이간은 정치적으로도 철저히 노론의 의리를 천명하며 소론에 대한 징토가 행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것은 결국 영조가 추구하던 蕩平을 거부하는 것이었다. 이간의 정치적 입장을 고려하면, ‘개방’과 ‘보수’의 대립 구도를 통해 호락논쟁을 평가하는 기존 관점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Yi Kan’s political stance, which has not been properly noticed. Earlier studies viewed the Ho-Rak debate as a parting of the ways between the conservatives and the progressives in No-ron. Although Yi Kan and Han Won-chin displayed different philosophical opinions in the Ho-Rak debate, this did not develop into different political stances. Academically, Yi Kan firmly excluded the other opinion because he thought it was threatening the orthodox of Confucianism, the Yulgok’s thought. Politically, Yi Kan claimed legitimacy for No-ron and proposed a proper punishment for So-ron. While Yi Kan’s philosophical opinion was clearly different from Han’s and later supported by scholars from Rak-ron, Yi’s world view and political stance was similar to Han. They shared their same identity as Ho-ron and pursued policies according to the political stance of Ho-ron. In this sense, those earlier studies which viewed Ho-ron as ‘conservative’ and Rak-ron as ‘progressive’ and explained the progressive academic tradition of Rak-ron as the consequence of Yulgok School needs to be reconsidered.

      • KCI등재

        17세기 율곡학파 내 성리설의 변화

        나종현(Na, Jonghyun)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1 동국사학 Vol.70 No.-

        전대로부터의 유산을 기반으로 17세기 율곡학파는 학파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율곡 이이의 저서 간행 작업을 통해 그의 성리설을 하나의 학술 전통으로 확립시켰고 주자성리학의 정통으로 인정받고자 하였다. 퇴계학파와의 대립 속에서 이이 이론의 정당성 문제가 정치적 논쟁으로까지 비화함에 따라, 율곡학파에서는 이이의 이론이 주희로부터 내려오는 성리학의 정통을 이었으며 어떠한 문제점도 없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17세기 율곡학파의 대표적 인물인 송시열은 이이의 이론 구조 속에서 理의 역할에 대해 해명하여 학파의 이론적 과제를 해결하려 하였다. 전통의 공고화는 역설적으로 전통의 해석을 둘러싼 학술적 분기를 가져왔다. 율곡학파의 이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작업은 다양한 학술적 모색으로 이어져 학파의 학술적 분기를 가속화하였다. 김창협은 理의 주도적 역할을 받아들이면서 율곡학파의 이론적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고, 그의 견해는 학파 내에서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김창협과 달리, 권상하는 현실에서 氣의 발현을 더욱 중요하게 여기는 율곡학파의 입장을 더욱 강하게 적용하여, 현실의 모든 국면에 氣質이 영향을 준다는 전제에 따라 학파의 이론을 더욱 정교하게 가다듬었다. 이는 일견 학술 전통의 墨守로 보일 수도 있으나, 실제 그는 이이나 송시열보다 氣의 작용을 더욱 철저히 적용하여 학술 전통을 변화시키고 있었다. In the 17th century, Yulgok’s successors began to form a school, based on the heritage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They established Yulgok’s theory as an academic tradition through the publication of Yulgok’s book and sought to be recognized as an orthodox of Neoconfucianism tradition. As the issue of legitimacy of Yulgok’s theory had escalated into a political debate in the confrontation with Toegye School, Yulgok School emphasized that this theory was the orthodoxy of Neo-Confucianism from Zhu xi and there was no problematic matters. Song Si-yeol, a representative figure of the Yulgok School in the 17th century, explained the role of li(理) within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his school to solve the theoretical problems of the school, while supporting his theory of reform by using Heavenly Principle(天 理) as an example. Reinforcement of tradition ironically brought about academic division over interpretation of tradition. Especially, since the theory of Yulgok School clashed with previous Neo-Confucian tradition in many ways, their academic division accelerated over how to solve that theoretical task. Kim Ch’ang-hy p tried to solve this task by fully accepting the leading role of li(理), which was actually a deviation from the basic idea of Yulgok School. Different from Kim, Kw n Sang-ha further elaborated the school’s theory by emphasizing the role of qi(氣) and by claiming that Physical Substance affects every condition in real life.

      • KCI등재

        <기획논문> 도봉구 지역 왕실 묘역의 조성과 분포

        나종현 ( Na Jonghyun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19 No.-

        본 논문에서는 도봉구 지역의 왕실 묘역의 조성과 분포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도봉구 지역에 대한 인식, 왕실 묘역의 구체적인 조성 과정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조선 초기 왕실 문화의 일단을 엿볼 수 있었다. 먼저 도봉구 지역 왕실 묘역의 조성 시기는 대략 15세기 중반 이후로 파악되며, 조성 배경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당시 도봉산 지역의 풍수지리적 위상을 주요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도성의 내맥이라는 도봉산에 대한 인식은 도성 전체의 풍수 뿐 아니라 도봉산 인근에 묘자리를 쓰는 데에 있어서도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조성 과정에서 보이는 왕실 구성원 간의 밀접한 관계도 주목된다. 특히 방학동 구역의 왕실 묘역에서 이러한 특징이 명확히 드러나는데, 의정궁주 조씨나 성비 원주 원씨의 경우 후사가 없었음에도 각각 임영대군과 오산군에게 제사를 담당하게 하면서 이곳에 묘가 조성되었다. 또한 연산군의 경우에도 부인 신씨가 임영대군의 외손녀였기 때문에 묘가 이장될 수 있었던 것도 같은 맥락에서 조명될 수 있다. 대부분의 묘역이 친가나 처가의 묘역 인근에 위치하고 있었던 것은 가문이 중시 되었던 전통시대의 모습을 잘 반영하고 있다. 특히 죽산 안씨와 연관된 회산군 묘역과 안맹담과 정의공주 묘역이 이를 잘 보여준다. 죽산 안씨 가문은 회산군의 처가이며 안맹담의 가문으로, 각 묘역이 서로 인접하여 조성되었던 것이다. This research is on the construction and location of the royal graveyards in the Dobong-gu district, which enables readers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the Dobong-gu district in the Choson Dynasty, and the concrete construction background of the royal graveyards in this district. Furthermore, readers can access the royal culture of the early Choson Dynasty. First, the royal graveyards in the Dobong-gu district are assumed to be constructed since the mid-15th century. Second, topographical importance of the Dobong mountain was the main factor of accumulated construction of the royal graveyards in the Dobong-gu district. The Dobong mountain was regarded as the inner stream of the main mountain of the capital, and had beautiful and steep shape which made itself a good place to construct family graveyard. Third, close relationships among the member of the royal family had provided the foundation of the construction. Following their family relations, the royal graveyards had constructed closely neighbored on each other. With later researches on the other families’ graveyards in the Dobong-gu district, the research can help to product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of the Dobong-gu district.

      • KCI등재

        송시열의 리(理)에 대한 논의와그 정치적 의미* -퇴계학파와의 대립을 중심으로-

        나종현(NA Jonghyu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9 泰東古典硏究 Vol.43 No.-

        17세기 율곡학파의 대표적 인물인 송시열은 퇴계학파와의 학술적 대립 속에서 학파의 학설이 주자성리학의 정통이라 주장하였다. 따라서 그의 학술적 기본 입장은 주희와 이이의 학설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가운데, 이이의 학설을 고수하고 강화하는 방식으로 드러났다. 현실에서 리(理)의 주재적 역할을 명확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퇴계학파의 학술적 비판에 대응하 여, 송시열은 이이의 이론 구조를 그대로 지키면서 리의 역할에 대해 해명하려 하였다. 따라서 송시열이 마치 리의 주재성을 강조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실제로 송시열의 작업은 리의 주재성을 형이상학적 차원에 한정시키고 현실에서는 기의 역할을 강조하는 학파의 기본 입장을 벗어나지 않은 것이었다. 송시열이 적극적으로 리의 역할에 대해 이론적 설명을 시도한 이유는 당대 조선 사상계의 분위기와 연관되어 있었다. 전반적인 개혁의 필요성이 전사회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개혁의 이념적 목표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것이었다. 그는 17세기 조선사회가 미증유의 위기에 처해 있다는 인식 속에서 화이분별과 의리론을 중심으로 한 정치론을 관철시켰다. 이는 절대적인 천리를 모범으로 한 조선사회의 개혁론으로도 이어졌다. 특히 퇴계학파가 리의 주재성을 강조하는 철학적 입장을 사회개혁론의 중요한 이론적 기반으로 내세우는 상황에서, 송시열이 학파의 정치적 입장을 공고히 하고 개혁론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철학적으로도 리의 주재성에 대해 해명할 필요가 있었다. 리에 대해 논의한 송시열의 이론 작업은 당시 조선 사회가 미증유의 위기에 처하였다고 보고 절대적인 천리를 모범으로 삼아 조선을 개혁하고자 하는 그의 시대인식과 공명한 것이었다. In the 17th century when fierce criticism was raised by Toegye School and the legitimacy of Yi I’s idea was creating political disputes, Yulgok School defended their idea by emphasizing that Yi I’s idea followed the Neo-Confucian tradition from Zhu xi and it has no flaws in it. Toegye School who stressed the leading role of li(理), mainly criticized the fact that Yulgok School puts more emphasis on qi(氣) than li(理). This was an attack on the theoretical problems embodied in the idea of Yulgok School. A representative figure of Yulgok School in 17th century named Song Si-yŏl partly acknowledged the leading role of li(理), which seemed like he accepted the criticism of his opposite school. However, he heavily criticized their theory of issuance of li(理) and formalized his idea that Four Beginnings is not always necessarily appropriate. His position reflected his perception that Choson society was in an unprecedented crisis and should be reformed according to absolute Heavenly Principle(天理).

      • Optimal Control of Filtering Treatment for Internet Worm

        Jonghyun Kim,Jungchan Na,Jongsoo Jang 대한전자공학회 2007 ITC-CSCC :International Technical Conference on Ci Vol.2007 No.7

        The task of detection and prevention of worms has become more difficult on our existing computing infrastructure. However, controlling the spread of worms in computer networks has recently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One possible way to control the spread of computer worms/viruses is to require routers to monitor the Internet traffic, but the measures taken to filtering these worms at the router level incur additional network delay because of extra burden placed on the routers. Further, the infected hosts add to the delays on the Internet as they generate traffic.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spread of computer worms on network delays. A model is presented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adequate level of control on the total network delay ? the delay caused by worms and the delay caused by controlling worm propag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