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ROPICAL RADIOLARIAN ASSEMBLAGES FROM THE LOWER CARBONIFEROUS DELLE PHOSPHATIC MEMBER OF THE WOODMAN FORMATION OF UTAH, USA

        In-Yong Park(박인영),Mun-Zu Won(원문주) 한국고생물학회 2012 고생물학회지 Vol.28 No.1-2

        미국 유타 지역의 하부 석탄기 Woodman 층의 하부 Delle Phosphatic Member (DPM)에 들어 있는 탄산염 결핵체와 인산염 단괴에서 잘 보존된 방산충 군집들이 발견되었다. 모두 21층준의 암석시료에서 22속 66종 이상이 발견되었고, 그 중에서 Plenosphaera 속과 21종이 새로이 보고되었다. 방산충 화석군들은 모두 7개의 군집(DPM 1-7)으로 나뉜다. 이들 7개의 군집들은 각각 유럽의 Albaillella deflandrei 대(Zone), A. perforata 대, A. indensis-Sphaerodiscus rota 대, A. riescheidensis 대, Scharfenbergia plenospongiosa 대, A. cartalla 대, 그리고 Scharfenbergia concentrica 대에 잘 대비된다. 이 군집들은 DPM의 연속된 퇴적층에서 산출되어 역으로 기존의 유럽의 하부 석탄기 방산충 생층서대의 정확성을 확인시켜 준다. 두 군집(DPM 6-7)을 제외한 다른 군집들은 북미지역에서는 처음 발견되었다. DPM에서 산출된 방산충 군집들을 구성하는 종들의 특성은 유럽을 포함하여 기존의 다른 지역에서 발견된 것과 달리 독특하다. 각 DPM군집의 구성종의 절반 정도가 새로운 종이거나 새로운 변형종(morphotype)들이다. 동시기의 화석군 구성종의 이러한 차이는 유타지역의 하부 석탄기 환경과 관련되어 있다. 하부 석탄기 동안에 유타 지역은 적도 인근에 있었고, 기존의 하부 석탄기 방산충 군집이 보고된 다른 지역들은 위도가 대체로 높은 고위도 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타 지역에서 산출된 방산충 종들의 독특성과 방산충 개체들의 높은 표면적/체적 비율은 유타지역 방산충 군집들이 수온이 높은 지역에서 사는 열대성 군집이었음을 암시해 주며, 그 지역이 하부-석탄기 동안에 저위도 지역이었다는 것을 지지한다. Well-preserved Early Carboniferous radiolarian faunas were recovered from carbonate concretions and phosphate nodules of the Delle Phosphatic Member (DPM) of the Woodman Formation, Utah, USA. A series of faunal assemblages was recognized from 18 samples at the type section, from two samples along a road section in the South Lakeside Mountains, and from one sample from the Sheeprock Mountains. The faunas contain more than 22 genera and 66 species; one genus, Plenosphaera, and 21 species are new. The faunas can be differentiated into seven assemblages (DPM 1-7). These assemblages can be assigned to the Albaillella deflandrei, A. perforata, A. indensis-Spongodiscus rota, A. riescheidensis, Scharfenbergia plenospongiosa, A. cartalla, and Scharfenbergia concentrica Zones of Europe. Except for two assemblages, DPM 6-7, all the other assemblages are the first known Osagean assemblages in North America.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DPM assemblages is unique; more or less half of the species that occur in each assemblage are new species or new morphotypes. Therefore, the faunal composition of the seven assemblages differs significantly from their European counterparts and from previously known American assemblages. The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species composition may be due to the different bioprovinces. The paleolatitude of Utah during the Lower Carboniferous is known to have been equatorial, while that of the other localities were at higher latitudes. The much higher ratio of surface area/volume of individuals in the DPM compared to those of previously reported coeval radiolarians from other provinces supports the idea that the Deseret Basin (in which the DPM was deposited) was situated at the equator during the Lower Carboniferous.

      • 다중 병렬 루프들의 오류 수정을 위한 수행중 이상 탐지

        박인영(In-Young Park),전용기(Yong-Kee Jun),고건(Kern Koh) 한국정보과학회 199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9 No.2

        주기억장치를 공유하는 다중처리기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병렬 프로그램의 오류들은 수행시에 비결정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순차 프로그램에 비해서 오류 수정 작업이 더욱 더 어려워진다. 본 논문에서는, 비결정성을 야기시킬 수 있는 접근 이상을 수행 중에 탐지하는 기법을 다루고 있으며, 동기화 없이 다중으로 나타나는 비내포 병렬 루프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 효율적인 접근 이상 탐지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웹 기반 토론에서 리더유무와 통제소재가 메시지 유형에 미치는 영향

        엄우용,박인영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웹기반 토론환경에서 집단의 리더유무와 통제소재가 메시지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85명의 여중생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Henri(1992)의 메시지 분석틀에 근거하여 토론내용이 참여적, 사회적, 상호작용적, 인지적, 그리고 메타인지적 차원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참여적 차원은 리더의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내적 통제집단이 외적 통제집단보다 높았다. 사회적 차원은 외적 통제집단에서만 리더가 있는 집단이 높았으며, 상호작용적 차원은 내적 통제집단과 리더가 없는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인지적 차원은 외적 통제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메타인지적 차원은 내적 통제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즉, 리더가 있는 집단에서는 사회적 차원의 메시지 유형이, 리더가 없는 집단에서는 상호작용적 차원의 메시지 유형이 높게 나타났다. 외적통제집단은 리더가 있을 때, 내적 통제집단은 리더가 없을 때 토론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내적 통제집단이 외적 통제집단보다 참여적, 상호작용적, 메타인지적 차원의 메시지 유형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웹기반 토론환경에서 리더의 유무는 사회적, 상호작용적 차원의 메시지에 영향을 미치며, 통제소재는 참여적, 상호작용적, 메타인지적 차원의 메시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leader's existence and locus of control on the types of message in Web-Based discussion. Eighty-five nin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allocated into a group of two groups(leader driven group and no leader group). And then they had been allocated into in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and ex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Each group had been consisted of five participants. There's no difference in academic abilities and computer abilities. Participants had been participated in a Web-Based discussion for three weeks, but messages from the last week's discussion have been analyzed by the unit of meaning, based on the five dimensions which were proposed by Henri(1992). Independent variables were leader's existence and locus of control, and dependent variable was message types. Two-way ANOVA had been used to test the difference in the types of message between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message(Social Dimension/ Interactive Dimension) by leader's existence in Web-Based discussion.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message(Participative Dimension/ Interactive Dimension/ Metacognitive Dimension) by locus of control in Web-Based discussion.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in the types of message(Social Dimension/ Interactive Dimension/ Cognitive Dimension) between leader's existence and locus of control in Web-Based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leader's existence and locus of control significantly affects on the types of message in a Web-Based discussion. Having leadership in external locus of control showed stronger interactive relationship, to the contrary in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not having leadership showed better interactive relationship. Thus, to better interactive relationship and discussion in students, analyzing each student's character should be preceded before the proper leadership is given to the student.

      • 식품 중의 엽산함량 측정을 위한 Trienzyme 처리 방법

        연미영,현태선,박수봉,박인영,신영주 충북대학교 교육 ·생활연구소 생활과학연구센터 2002 생활과학연구논총 Vol.5 No.-

        Food folate assay after trienzyme treatment (α-amylase, protease, folate conjugase) has been report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assay after conjugase treatment alone. We evaluated the conditions of pH and incubation time for the treatment with trienzyme, and compared folate contents in selected Korean foods by applying two extraction methods (trienzyme treatment vs. conjugase treatment alone). Folate contents were measured by a microbiological method using L. casei after one of the extraction procedures. Optimal pHs for trienzyme treatment of black bean were found to be 5.0 and then 7.0, while those for korean cabbage was 7.0. Therefore, a pH of 7.0 was selected for the buffer during trienzyme treatment. Since samples treated with low concentrations of α-amylase and protease for 16 hours yielded lower values than those with high concentrations of enzymes for 4 hours, the incubation with high concentrations for short period was chosen. The recovery of folate after trienzyme treatment was 96.4%,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between days in the microbiological assay was 9.0%. Folate values after trienzyme treatment were higher in most foods except Korean cabbage, beef and milk than those after conjugase treatment alone. In addition, folate value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e database published in 2000.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folate in Korean foods using the trienzyme treatment we suggested here as well as conjugase treatment alone in order to estimate folate intake of Koreans more accura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