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Die literarische Negation der bürgerlichen Gesellschaft

        Hyeseon Shin 서울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7 외국어교육연구 Vol.20 No.-

        Heinrich Manns Professor Unrat weist charakteristische Merkmale des ‚Gesellschaftsromans’ auf: Repräsentativ zu erwähnen ist die Darstellung der Schule als ein Modell der Gesellschaft. Heinrich Mann zielte mit seinem schulsatirischen Professor Unrat darauf ab, die kaiserliche Bildungsanstalt zu kritisieren, und weitergehend psychologisierende Kritik an der zeitgenössischen bürgerlichen Kultur und Gesellschaft auszuüben. Zu diesem Zweck gestaltet der Autor die Schule und die darin agierende Figuren als eine Art Modell, das in einer vertretenden Funktion für die Gesellschaft steht. Dieses Gesellschaftsmodell führt eine Reflexion über den Bankrott der humanistischen Bildungsvorstellungen in der Wilhelminischen Zeit und ebenso über die Doppelmoral des Bürgertums in der Übergangssituation zur Moderne herbei. Hinsichtlich dieses Gesellschaftsmodells ist zu betrachten, inwiefern das Verfallen der neuhumanistischen Bildungsidee und das Verkommen bürgerlicher Kultur im Roman unterbreitet werden. Vor diesem Hintergrund kann der Protagonist des Romans Professor Unrat als Repräsentant des Bildungsbürgertums dieser Übergangszeit verstanden werden, in der die neuhumanistische Einheit der Bildungstradition verfällt.

      • The Evaluation of Hole Mobility Characteristics with Surface Roughness

        Shin, Hyeseon,Lim, Kyungsuk,Hwang, Shinae,Han, Il-Ki,Jang, Moongyu American Scientific Publishers 2017 Journal of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Vol.17 No.10

        <P>Hole mobilit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the temperature and effective field with surface roughness. The temperature varied from 80 K to 340 K and from 93 K to 533 K in Hall effect measurement and variable temperature probe station measurement, respectively. From the Hall effect measurement in bulk silicon, there was no difference of hole mobility in either the roughness controlled or the roughened samples. In SOI substrate, the hole mobility measured by transconductance showed dominant phonon scattering dependence at high effective field. In addition, the hole mobility was severely decreased at the roughened sample with the increase of temperature due to the increased phonon and surface roughness scattering. Surface roughness scattering was dominant at high effective field and was expected to be dominant at low temperature.</P>

      • KCI등재

        Der Kritiker Hermann Hesse - Reformerische Religiositat in Siddhartha

        ( Shin Hyeseon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8 獨逸文學 Vol.59 No.1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는 그의 작품 중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읽힌 소설로 꼽히며, 국내에서도 다양한 관점에서 수용되고 연구된 작품이다. 이 소설은 붓다의 젊은 시절 이름인‘싯다르타’라는 이름을 가진 주인공의 삶을 다루고 있기에, 자주 붓다의 전기적 소설로 오해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연유에 근거하여, 헤세의 소설 『싯다르타』의 종교적 이해와 수용은 한쪽 측면에 경사되어 있다. 바로 ‘동양철학 및 동양종교의 영향’ 이라는 측면이다. 『싯다르타』가 동양의 철학 및 종교적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받은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이 소설에는 불교와 도교, 노장사상과 더불어 서양 기독교와 신비주의 등의 다양한 종교관이 혼재한다. 여기에는 작가 헤세의 종교와 철학에 대한 독자적 독법(讀法)이 형상화되어 있다는 것이 좌시되어선 안 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제까지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다뤄지지 않은 주제인, 헤세의 문화와 종교에 대한 벼려진 시각을 다루고, 이후 『싯다르타』에 내포된 헤세의 종교적 개혁성, 특히 당시의 서양 기독교에 대한 개혁에의 단초를 그의 내면적 종교성과‘사랑’의 메시지를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Die bisherige literaturwissenschaftliche Auseinandersetzung mit Siddhartha von Hermann Hesse hat sich weitgehend auf den orientalischen oder ostlichen Charakter und die damit verbundenen Aspekte wie fernostliche Religiositat und Mystizitat, Buddhismus oder Taoismus fokussiert. Der vorliegende Aufsatz versucht eine solchermaßen ‘orientalisch’ gepragte Interpretation von Siddhartha aus einem anderen Blickwinkel zu beleuchten. Besonders fokussiert sich die Abhandlung auf den Aspekt der Religiositat, die meist als kategorial orientalisch hingenommen wird. Anhand vieler Schriften lasst Hesse erkennen, dass eine Rezeption mystisch-orientalischer Lehren und Denkstromungen und deren literarische Darstellung nicht die grundsatzliche und vor allem nicht die einzige Intention dieses Romans waren. In diesem Zusammenhang stellt diese Abhandlung einen Versuch dar, der Frage nachzugehen, ob Siddhartha einen weiteren Aspekt beinhaltet. Dabei wird untersucht, inwieweit die Auseinandersetzung Hesses mit einer gewissen reformerischen Absicht verbunden ist, die er besonders als Kritiker bzw. Skeptiker gegenuber der abendlandischen Religion andeutet. In der Abhandlung wird nach Indizien gesucht, die eine gewisse reformerische Absicht in Siddhartha aufdecken konnen. Daruber hinaus geht es darum, die Intention von Hesse zu beleuchten, die er aufgrund seines Selbstverstandnisses als literarischer und religioser Kritiker, in diesem Roman umzusetzen sucht.

      • KCI등재

        Die literarische Negation der bürgerlichen Gesellschaft

        Hyeseon Shin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7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24 No.2

        Heinrich Manns Professor Unrat weist charakteristische Merkmale des ‚Gesellschaftsromans’ auf: Repräsentativ zu erwähnen ist die Darstellung der Schule als ein Modell der Gesellschaft. Heinrich Mann zielte mit seinem schulsatirischen Professor Unrat darauf ab, die kaiserliche Bildungsanstalt zu kritisieren, und weitergehend psychologisierende Kritik an der zeitgenössischen bürgerlichen Kultur und Gesellschaft auszuüben. Zu diesem Zweck gestaltet der Autor die Schule und die darin agierende Figuren als eine Art Modell, das in einer vertretenden Funktion für die Gesellschaft steht. Dieses Gesellschaftsmodell führt eine Reflexion über den Bankrott der humanistischen Bildungsvorstellungen in der Wilhelminischen Zeit und ebenso über die Doppelmoral des Bürgertums in der Ü bergangssituation zur Moderne herbei. Hinsichtlich dieses Gesellschaftsmodells ist zu betrachten, inwiefern das Verfallen der neuhumanistischen Bildungsidee und das Verkommen bürgerlicher Kultur im Roman unterbreitet werden. Vor diesem Hintergrund kann der Protagonist des Romans Professor Unrat als Repräsentant des Bildungsbürgertums dieser Ü bergangszeit verstanden werden, in der die neuhumanistische Einheit der Bildungstradition verfällt.

      • KCI등재

        로렐라이의 상호매체적 변용연구 - 수용과 기억의 형상화 문제를 중심으로

        신혜선 ( Shin Hyeseon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6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7 No.-

        매체는 인식과 기억의 수단이면서, 그 인식과 기억의 내용이 되는 이야기 즉, 내러티브의 의미와 성격을 특징짓는 중심적인 조건이기도 하다. 최초의 내러티브인 원형의 이야기들은 여러 가지 매체에 의해 해석되어 표현되고, 재해석되어 변용된다. 따라서 내러티브들의 해석과 변용의 포괄적 이해를 위해서는 그 변용에 사용된 매체에 대한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매체에 따라 인물표현의 다양한 해석과 이해, 그리고 더 나아가 문화적 수용과 기억의 저장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독일전설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인 로렐라이(Loreley)를 원형콘텐츠로 하여 변용되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로렐라이는 `이야기해주는` `디에게시스(diegesis)`적 매체인 문학작품에서부터, `보여주는` `미메시스(mimesis)`적 매체인 시각예술이나, 시청각적 복합예술로 다양하게 변용된다. 이는 단지 과거 사회문화사에 대한 고찰을 넘어서, 작금의 예술문화콘텐츠 개발에 대한 풍부한 소재와 모티브를 제공 한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도가 크다. Narratives are produced, passed and stored in linguistic forms. By means of media the original linguistic story is often being adapted into another forms. In this process, a medium functions as a means for perception and memory, but also as a significant condition to define the meaning and character of the narrative. Thus, for an understanding of the interpretation and adaption of a narrative into other forms, the consideration of the media is indispensable. This article is a consideration of how Loreley of the German folklore is represented in other media. Regarding the material of Loreley, the literary contents are adapted into audio-visual representations, so that a modulation of a diegetic medium to a mimetic medium has to be assumed. In this process the meaning and narrative of the original story will be altered, extended, and adapted transmedially.

      • KCI등재

        ‘성전(聖戰)’을 위한 ‘선전(宣傳)’ -17세기 후반 언약도 저항이론과 군중소요-

        신혜선 ( Shin Hyeseon ) 영국사학회 2021 영국연구 Vol.45 No.-

        17세기 후반, 스코틀랜드 언약도는 찰스 2세의 주교제주의적 종교정착과 비국교도 박해에 맞서 ‘성전’을 결심하였다. 국왕을 상대로 한 전쟁에서 그들이 내세운 명분은 폭군에 대한 무력저항과 자기방어를 정당화하는 ‘저항이론’이었다. 언약도의 저항이론은 엘리트 계층 내에서 담론의 장을 형성하였고, 주교제주의자들과의 논쟁 과정에서 ‘민중(popular)’의 저항이라는 개념으로까지 발전하였다. 이후 언약도는 필요에 따라 의도적으로 저항이론 팸플릿을 유포하고 조직적으로 군중들을 선동하기 시작했다. 야외집회와 머켓크로스는 그들의 저항이론을 민중들의 실제적 삶의 공간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최적의 장소였다. 그 결과 17세기 후반 스코틀랜드 사회에서는 반정부적 군중소요들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1666년 펜틀랜드 반란과 1679년 보스웰 브릿지 전투는 언약도 저항이론과 사회적 군중소요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었다. 이는 그야말로 ‘이론’의 실제적 ‘적용’이었다. 결국, 언약도의 저항이론 선전전은 스코틀랜드 사회에 종교적 논쟁의 장을 활성화 시키고 나아가 이를 실제적 민중운동으로 이끌어내는 데 성공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17세기 후반 스코틀랜드에서의 사회적 군중소요의 성행은 언약도가 남긴 저항이론의 유산이었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how the resistance theory of the Scottish Covenanters generated the popular violence in the late 17th century. The Covenanters decided to wage ‘holy war’ against Charles II’s episcopalian church settlement and the persecution of nonconformists in the Restoration Period. The resistance theory which had been developed from the early Covenanters justified the holy war. While the war among the elites and intellectuals remained in the arena of discourse, the popular culture put the theory into practice. Some theorists among the later Covenanters intentionally disseminated the resistance theory to their audience. The conventicles and Mercat-Cross of various towns were the best places for their propaganda. The anti-government riots of crowd became the order of the day in the late seventeenth-century Scotland. The Pentland Rising(1666) and the Battle of Bothwell Bridge(1679) were the two representative cases that show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venanter’s resistance theory and crowd violence. It was a combination of ‘the Doctrine’ and ‘the Use’. In the end, the Covenanter’s resistance propaganda revitalised religious debates in Scottish society and succeeded in leading it to popular movements. The prevalence of crowd violence in Scotland in the late 17th century seemed like an incantation of the resistance theory developed by the Covenanters.

      • KCI등재

        ‘죽어감’의 서사적 랩소디 - 슈니츨러의 소설 『죽음』 연구

        신혜선 ( Shin Hyeseon ) 한국독어독문학회 2022 獨逸文學 Vol.63 No.1

        근대를 지나면서, 현대사회에서 죽음은 타자화되고 배제되어 왔다. 이미 미셸 푸코가 지적했듯이, 이제 권력의 최종적 권한행사는 죽음에 굴복시키는 것이 아닌 생명을 유지시키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우리에게 2020년은 인식론적 공황상태를 야기했다. 연일 금시초문의 전염병에 의한 사망자 수에 놀라며 뉴스에서 보도되는 외국 어느 나라 거리에 줄지어 놓인 관들을 보면서 시대에 맞지 않는, 아니 시대를 되돌린 이미지의 이질성에 몸을 떨었다. 이 시기에 본 논문은 약 120년 전에 쓰인 한 인간의 죽어가는 과정에 대한 예리한 관찰을 소환해 보고자 한다. 이 작품은 ‘죽음이란 무엇인가’라는 죽음의 본질적 의미를 탐색하기 보다는, 한 인간이 죽어가는 과정 그리고 이 과정 안에서 그 사람이 맺고 있던 사회적 관계 지형도의 변화 등에 대하여 냉혹하리만치 처절하게 다루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죽음이란 무엇인가’ 라는 철학의 본질론적 질문이나, 죽음이 어떤 상징이나 은유로 형상화되었는가를 살펴보는 문학적 형상화의 탐구가 아니다. 본 연구는 아르투어 슈니츨러 Arthuer Schnitzler의 노벨레 『죽음』을 통하여 ‘죽어감’에 대한 인간학적 고찰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Seit der Modernisierung der Gesellschaft wird der Tod tabuisiert, alterisiert und ausgeschlossen. Wie Michel Foucault bereits beobachtet hat, beschäftigt sich die ultimative Machtausübung von heute damit, das Leben zu erhalten, anstatt den Tod gelassenerweise hinzunehmen. Die kürzliche Erfahrung der Pandemie seit 2020 hat eine erkenntnistheoretische Panik in der Menschheit ausgelöst. Schockiert von den täglich berichteten surrealen Zahlen der Toten durch den Virus, und frustriert von Aufnahmen aus anderen Ländern in den Nachrichten von in Straßen aufgereihten Särgen, zitterte man vor der Heterogenität der unzeitgemäßen Bildern, die wir irrtümlich mit historischen mittelalterlichen Kentnissen assoziierten. Vor diesem an unserer Zeitwahrnehmung rüttelnden epistemologisch-traumatischen Hintergrund ruft diese Abhandlung eine vor über einhundertzwanzig Jahren verfasste, aber uns besonders heute erkenntnisbringende scharfsinnige Beobachtung des Sterbeprozesses eines Menschen in Erinnerung. Schnitzlers Novelle Sterben befasst sich in einer Mischung aus kalter Nüchternheit und verbitterter Verzweiflung mit dem ‘Prozess des Sterbens’ und den begleitenden Veränderungen, die der Sterbende gezwungen wird zu erleben, besonders die Verrückung der topografischen Landkarte von sozialen Beziehungen. Dabei erhebt die Novelle nicht den Anspruch, eine Antwort auf die Frage zu liefern, ‘was’ der Tod denn ist.’ Dementsprechend versucht diese Abhandlung ebenso nicht der Frage nach der Wesenheit des Todes essentialistisch-philosophisch nachzugehen und zielt nicht auf eine Suche nach literarischen Bildern, also einer Darstellung von für den Tod stehenden Symbolen und Metaphern. Die Studie ist vielmehr der Versuch, anhand der Analyse der Novelle Sterben das Sterben aus anthropologischer Sicht zu betrachten.

      • KCI등재

        다니엘 켈만의 『명성』에 나타난 자아배가의 열망

        신혜선 ( Shin Hyeseon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1 독일언어문학 Vol.- No.91

        본 논문은 다니엘 켈만의 소설 『명성』(2009) 중 여덟 번째 에피소드 「내가 어떻게 거짓말을 했고 죽었는지」를 통해 자아와 자아정체성 개념의 현재적 의의를 이 개념의 확립기인 18세기에 빗대어 고찰해 보고자 한다. 기존 선행연구들의 기술 회의적 결말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본 작품에 다른 시각을 접목시켜 이해해 보고자 한다. 즉 변화된 자아정체성에 대한 개인의 문제의식 속에서도 여전히 포기되지 않는 그것, 아니면 발달된 기술문명의 사용으로 더욱 확대되고 강화된 그것, 즉 주체의 ‘자아배가’ 열망이다. 다른 삶을 살고 싶어 하는, 혹은 최소한 살아보고 싶어 하는 열망. 이것이 18세기에는 연극 무대 위에서 재현되었다면, 이제는 통신 기술매체를 통해 목소리로, 영상으로, 평행세계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열망의 기저에는 표면에 보여 지는 것과는 달리, 하나가 되는 것에 대한 상반된 열망도 도사리고 있다는 것이다. 즉 자아와 세계의 합일, 18세기 교양담론에서 주창되었던 세계 속 자아의 자리매김의 도전이 우리 세기에도 의미를 가지는지, 또는 변화되었다면 어떠한 양상을 띠는 지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Der vorliegende Beitrag befasst sich mit der achten Episode “Wie ich log und starb” aus Daniel Kehlmanns Ruhm. Während bisherige Studien meist die Identitäten der Figuren der Episoden aus einer technologie-skeptischen Perspektive interpretieren, fokussiert meine Untersuchung auf das Individuum, bzw. auf eine moderne Form von Multi-Identität. Der Begriff des Selbst und der Selbstidentität entsteht im 18. Jahrhundert in einem bildungsdiskursiven Kontext. Dieser Begriff erlangt in der gegenwärtigen Lebenswelt von Ruhm einen neuen Aspekt - den der Selbstverdoppelung. Das Verlangen, gleichzeitig mehrere Identitäten besitzen zu können, realisierte sich im 18. Jahrhundert durch das Theater. In einer technologisch geprägten Lebenswelt treten an seine Stelle das Internet oder Mobiltelefon, die anhand der Übertragung von Stimmen und Bildern ‘Parallelwirklichkeiten’ erschaffen und überall dabei sein und damit das auf das Individuum bezogene Geschehen umlenken können. Der innigste Wunsch des Individuums sei jedoch, diesem Werk zufolge ein letztes Drängen nach einer Vereinigung von Selbst und Welt. Ist dieses Diktum auch für die Gegenwart gültig, und wenn ja, welche Rolle nimmt es ein? Das Ziel ist es, zu beleuchten, wie und in welcher veränderten Form die Verortung des Selbst in der Welt in Ruhm dargestellt wird.

      • KCI등재

        후기 언약파와 신화의 재생산 - 17세기 후반 언약파 저항이론과 팸플릿 논쟁을 중심으로 -

        신혜선 ( Shin Hyeseon ) 영국사학회 2019 영국연구 Vol.42 No.-

        1640년대 스코틀랜드 혁명의 주역은 단연 언약파(covenanters)였다. 그들은 장로교회의 사상적 틀 안에서 언약운동과 저항사상을 절묘하게 조합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국왕과의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언약파의 저항과 승리의 역사는 스코틀랜드인들에게 있어 영광스러운 신화가 되었다. 17세기 후반, 스코틀랜드에서는 왕정복고(Restoration, 1660)와 명예혁명(Glorious Revolution, 1688)을 거치며 두 차례의 종교 변혁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후기 언약파(later covenanters)는 극악의 정치·종교적 상황을 경험해야 했고, 그 때마다 장로교회 저항이론 팸플릿을 출판하여 끊임없이 과거의 신화를 되새기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후기 언약파는 다시금언약파 세력을 재결집하고, 나아가 세속정부에 대한 무력저항을 정당화하고자 하였다. 비록 국가적 박해와 탄압 속에서 후기 언약파들이 사분오열되면서 그들의 저항신화는 산산이 부서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기 언약파의 활발한 팸플릿 활동은 17세기 후반 스코틀랜드 종교 논쟁의 장을 활성화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rotagonists of the Scottish Revolution in the 1640s were by far the early covenanters. They armed their covenanting movement with the calvinist resistance theory which was one of the main ideological frameworks of the Presbyterianism, by which they were able to win the war against the King Charles I. This experience of the triumph has become a glorious myth for the later covenanters. During the Restoration church settlement and the Revolution church settlement in the late of 17th century, the later covenanters had to experience the harsh politico-religious situation. They on each time published the pamphlets implicating advocating the presbyterian resistance theory of the early covenanters to constantly remember the myths of the past. Through this, the later covenanters attempted to reunite the covenanting spirit, and justify their armed resistance against the government after the Restoration. Although the myth of resistance and triumph were was shattered as the later covenanters were divided in the nationwide persecution and oppression. Nonetheless, the significance of the vigorous pamphlet activity of the later covenanters can be found in their activation of the Scottish religious debate in the late 17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