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악교정 수술시 교합평면의 차이에 따른 술후 경조직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황충주,임선아,문정련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2

        악안면 부조화를 치료하여 적절한 기능적, 심미적 형태를 얻고자 하는 악교정 수술에 있어 서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의 수립이 필수적이다. 특히 심한 상 하악의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시행되는 양악 수술에서 상악골과 하악골이 삼차원적인 공간에서 동시에 재배치되는데. 상악골의 재배치에 따라 하악골은 전후 좌우 위치가 결정되면서 새로운 교합평면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교합평면은 양악수술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어 상악골의 새로운 위치를 결정하게되므로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시에 최적의 기능적, 심미적 결과와 수술 후 안정성을 얻을 수 있게 계획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양악 수술을 시행받은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48명(남자25명 여자23명, 평균 연령 21.5세)을 대상으로 하여 교합평면으 설정에 사용되어지는 몇 가지 진단 기준중,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Delaire의 구조적, 구성적 분석에 의한 각 개인의 이상적인 교합평면으로 수술되었을 때 경조직의 술후 안정성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이상적인 교합평면에 부합되게 수술이 시행된 군(A군-24명)과 이 평면에서 벗어난 군(B군-24명)으로 나누어, 수술 직전(T1)과 수술 직후(T2-평균 4.3일), 수술8개월 이상 경과 후(T3-평균 1년3개월)에 두군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A군과 B군 모두 수술에 의하여 ANS의 수직적 위치보다 PNS의 수직적 위치가 감소되었다. 즉 상하악 복합체가 후상방으로 회전되었다. 2. T3에 T2와 유의차를 보이는 값은 두군 모두에서 수직 계측항목에서 HRP-Me(p<0.01), 각도 계측항목에선 Articular angle(p<0.01), Gonial angle(p<0.01), Mn. plane angle(p<0.05)이 유의차를 보였다. 두 군 모두에서 HRP-Me이 감소하면서 하악평면각은 증가 하였다. 3. A군 B군사이에서 술후 경조직의 안정성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4. 수술에 의한 B와 Pog의 수평 이동량은 수술후 B와 Pog의 수평재발량과 그리고 PNS의 수직 재발량과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하악평면각의 수술에 의한 변화량과 gonial angle의 술후 변화량과도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In orthognathic surgery to obtain proper functional and esthetic form after skeletal discrepancy treatment, precis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e are essential. Especially in two jaw surgeries that have serious upper and lower jaw problems, maxilla and mandible are arranged in three dimensions. Based on the maxillary rearrangement, mandibular sagittal and transverse positions are determined, and thus new occlusal plane is established.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individual ideal occlusal plane based on the architectural and structural craniofacial analysis of Delair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 patients who underwent two jaw surgeries, and they were equally divided into two groups. A and B. A group was operated with ideal occlusal plane and B group was not.Two groups were compared at the preoperative, immediate postoperative (average 4.3days), and long-term postoperative (average 1.3years)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NS was lower than that of PNS for both A and B after the surgery. That is. maxilla and mandible are rotated in posterior and superior direction. 2. Significances were found between T2 and T3 for both A and B are HRP-Me at vertical measurements, articular angle(p<0.01), gonial angle(p<0.01), and Mn. plane angle(p<0.05) at angular measurement. Mn. plane angle is increased at HRP-Me is decreased for both A and B. 3. There is no significance in skeletal stability after the surgery between group A and B. 4. Horizontal movements of B and Pog by surger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s with horizontal relapse of B and Pog. and vertical relapse of PNS. as well as Mn. plane angle, and gonial angle after the surgery.

      • 맥주맥 F_1세대의 조합능력 검정

        정원복,오주성,황필성,김수동,서세정,현종내,김대호 東亞大學校 2002 東亞論叢 Vol.39 No.-

        맥주맥의 이면교잡에 의한 F_1세대에 대한 조합능력을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8개 형질에 대한 GCA, SCA, RCA효과를 검정한 바 조합능력은 전 형질에서 GCA, SCA, RCA가 모두 유의하였는데 간장, 수장, 망장, 간직경, 곡핍폭, 1수립수 1000립중은 GCA가 SCA보다 크고, 품종간 GCA효과는 진양보리가 간장에서 부(-)이고, 삼도보리가 수장·망장·간직경·1000립중에서, 사천6호가 망장과 간직경에서, 진광보리가 곡립장에서, 두산29호가 곡립폭·1수립수·1000립중에서 각각 정(+)으로 높았다. SCA효과에서 수장은 두산29호×두산8호 조합이, 망장은 진양보리×두산29호 조합이, 간직경은 사천6호×진광보리 조합이, 곡립장은 진양보리×두산8호 조합이, 곡립폭은 진광보리×두산8호 조합이, 1수립수는 진양보리×삼도보리 조합이, 1000립중은 사천6호×두산8호 조합 및 두산29호×두산8호 조합이 각각 정으로 높았고, 간장은 삼도보리×진광보리 조합이 부로서 높았다. RCA효과에서 수장은 두산8호×남향보리 조합이, 망장은 진양보리×삼도보리 조합이, 간직겨은 사천6호×진양보리 조합이, 곡립장은 사천6호×진광보리 조합이, 곡립폭은 진양보리×삼도보리 조합이, 1수립수는 사천6호×두산29호 조합이, 1000립중은 진양보리×두산29호 조합이 각각 정으로 높았고, 간장은 사천6호×두산29호 조합이 부로서 높았다. Seven barley varieties in F_1 generation of the possible crosses among them were used to estimate the combining ability for eight characters, i.e., culm length, spike length, awn length, culm diameter, grain length, grain width,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1000 grains weight. Data for F_1 hybrid and parents were subjected to the analysis method proposed by Griffing.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mean squares of general combining ability(GCA), specific combining ability(SCA) and reciprocal combining ability(RCA) were significant for all characters observed. Mean squares of GCA were higher than those of SCA and RCA in culm length, spike length, awn length, culm diameter, grain width,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1000 grains weight. Variety Dusan#29 showed the highest GCA effect for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positively high effects of GCA were observed from variety Samdo bori in spike length, awn length, culm diameter, 1000 grains weight, and from variety Jinkwang bori I grain length, from Dusan#29 in grain width, umber of grains per spike, 1000 grains weight. Also Jinyang bori showed negatively high GCA effect in culm length. In SCA effects, hybrids in Jinyang bori × Samdo bori were exhibited positively high for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high SCA effects for 1000 grins weight were found positively in Sacheun#6×Dusan#8 and Dusan#29×Dusan#. In RCA effects, hybrids in Sacheun#6×Dusan#29 were exhibited positively high for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high RCA effects for 1000 grains weight were found positively in Jinyang bori×Dusan#29.

      • SCOPUSSCIEKCI등재

        고정성 교정장치 장착 환자에서의 NaF 양치액 사용시 Cariescreen을 이용한 Streptococcus mutans 변화에 관한 연구

        황충주,임선아,김경엽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1

        부정교합의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고정식 교정장치는 치아 이동에는 매우 효율적이지만 치면 세균막 관리는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치태 및 세균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론, 치아우식 및 치아표면의 탈회와 같은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정식 교정장치로 치료하는 환자에게서, 탈회 및 치아우식을 낮추기 위해 0.05%의 NaF와 10% Xylitol이 함유된 양치액을 사용하여 시기별로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고정성 교정장치로 치료하는 12~14세의 아동(평균연령 12.6세)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각 15명씩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였다. 실험군에선 0.05%의 NaF와 10% Xylitol이 함유된 양치액을 사용하게 하였으며, 대조군에선 증류수를 주로한 placebo 양치액을 사용하게 하였다. 양치액 사용전과 사용후 2주, 4주, 6주, 8주시 Cariescreen SM kit를 이용하여 타액내 S. mutans의 수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실험군에서 타액내 S. mutans의 수는 양치액 사용전과 2주(p<0.01), 4주(p<0.05), 6주(p<0.001), 8주(p<0.001)에서 또한 2주와 6주(p<0.05), 8주(p<0.05)에선 통계적 유의치가 나타났고, 반면에 대조군에선 각 측정시기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2. 각 측정시기간의 상관관계는 대조군에선 양치액 사용전과 2주, 4주, 6주, 8주 즉 매번 검사시마다 그 이전과 이후에 S. mutans의 수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순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3. 실험군에선 양치액 사용전과 2주 사이에서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그후 2주, 4주, 6주, 8주에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gargling solution with 0.05% NaF and 10% Xylitol in orthodontic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 The sample consisted of 30 adolescent patients who were classifi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15 patients each. Experimental group was used experimental gargling solution and the control group was used with placebo solution. The change of S. mutans in saliva was observed by Cariescreen SM kit at pre and post 2, 4, 6, 8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number of S. mutans in saliva between pre and post 2 weeks(p<0.01), 4 weeks(p<0.05), 6 weeks(p<0.001), 8 weeks(p<0.001) in experimental group. And significant reduction also were observed in the number of S. mutans in saliva between post 2 weeks, 6 weeks(p<0.05), and 8 weeks(p<0.05), but no significant reduction were showed in control group.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number of S. mutans between each measurement time(pre and post 2,4,6,8 weeks)in control group. 3. There were no correlation between pre and post 2 weeks, but significant correlation were observed between 2,4,6,8 weeks in experimental group.

      • SCOPUSSCIEKCI등재

        도재 및 레진 브라켓에 대한 광중합 접착제의 전단 접착 강도

        황유선,노준,황충주 대한치과교정학회 199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6 No.2

        성인 환자의 증가와 심미적인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조재나 레진 브라켓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브라켓에서의 광중합 접착제의 사용은 짧은 광조사 시간에서도 광중합 접착제의 많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미적으로 우수한 수 종의 도재 및 레진 브라켓을 수 종의 광중합 접착제로 접착시켜 전단 접착 강도와 접착 파절 양상을 관찰하였다. 교정 치료를 위해 발거한 140개의 소구치를 협측면이 노출되도록 자가중합 레진으로 매몰하고 소구치 협측면에 Plastic bracket, Transcend 6000, Signature 및 Starfire TMB 브라켓을 Orthobond, Light Bond 및 Transbond로 제조자 지시에 따라 접착시켜 열변환기로 1800회 온도 변화를 준 후 전단 접착 가도를 만능시험기로 측정하고 접착 파절 양상을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10초와 20초의 광조사 시간과 두가지 광원에 대해 전단 접착 강도를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동일한 브라켓을 Orthobond, Light Bond와 Transbond로 접착시켰을 때 이들간의 전단 접착 강도는 Plastic bracket을 제외하고는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다(P<0.05). 2. 동일한 접착제로 Plastic bracket, Transcend 6000, Signature, Starfire TMB를 접착시켰을 때 이들간의 전단접착 강도는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p<0.05). Starfire TMB에서 가장 큰 전단 접착 강도를 보였고 이는 Transcend 6000과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으나 Singnature와는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p<0.05). 3. 접착 파절은 전체 군에서 잔루 접착제가 반 이상 또는 모두 치아면에 남은 경우가 72.1%로 대개 브라켓과 접착제 사이에서 파절이 일어났다. 4. 접착제 중합을 위한 광조사 시간은 10초와 20초에서 전단 접착 강도에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며 400mW/㎠이상의 광도에서는 서로 다른 광원을 사용해도 전단 접착 강도에 통계학적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도재 브라켓의 전단 접착강도는 브라켓 조성과 브라켓 접착면의 유지형태 차이에 의한 영향을 받고 광중합 접착제 종류에 따른 접착 강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입상에서 브라켓이나 접착제 선택시 이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 obtained from ceramic and plastic brackets bonded with various light-cured adhesives and to evaluate their debonded failure sites. Plastic brackets, Transcend 6000, Signature and Starfire TMB brackets were bonded with Orthobond, Light Bond and Transbond on one hundred forty extracted human premolar teeth as manufacturer's descriptions. After thermocycling the brackets were debonded with an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the debonded bracket base surfaces were inspected under steroscope to evaluate the failure sites. Also the shear bond strength and failure patterns with different curing time and with two different source of light were compa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mean shear bond strength of Orthobond, Light Bond and Transbond in a same bracket group except Plastic bracket group(p<0.05). 2. The mean shear bond strength of each adhesive with different bracket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tarfire TMB showed the highest shear bond strength among the brackets in this stud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ngnificant difference with Transcend 6000 whil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ignature.(p<0.05). 3. The various bonding failure patterns were occurred among different bracket groups but most of failure sites were bracket base-adhesive interfaces. 4.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ear bond strength between the groups with curing time of 10 second and 20 second, and between the groups with two different sources of light as long as sufficient light intensity(above 400mW/㎠) were provided(p<0.05). According to the result, it should be considered in clinical use of ceramic bracket with light-cured adhesives that the shear strengths of ceramic brackets were influenced by the retention from of bracket base as well as the composition of bracke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hear bond strength among various light-cured adhesives used in this study.

      • SCOPUSSCIEKCI등재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두경부 위치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황충주,김석현,길재경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2

        두경부 자세는 생리적 활동의 기능적 요구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두개 안면 골격의 형태학적 발육에 직접 혹은 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안모형태와 설골의 위치, 두경부 자세는 서로 매우 높은 상관 관계를 나타내며, 특히 하악골의 전후방 위치가 두경부 자세와 가장 큰 상관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연구에서는 대부분 연구대상을 Natural Head Position(NHP)으로 유도하였으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NHP의 재현성이 매우 높다고 알려져 있으나, 교정환자를 위해 통법의 두부방사선 사진을 찍은 경우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선 연구가 적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안모 유형의 성인 여자 환자를 대상으로 수직 기준선을 나타내는 수직선 추를 이용하여 통법에 따라 채득한 치료전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Wits와 ANB을 기준으로 골격성 부정교합군을 I, II, III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별 20명씩 선택하여 두경부 위치와 설골 위치의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상관성 여부를 알아보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개저에 대한 설골의 수직적 위치 비교시 Cl II에 비해 Cl III에서 설골이 더 하방 위치하였다. 2. 경추에 대한 설골의 전후방 위치 비교시 Cl II에 비해 Cl III에서 더 전방 위치 하였다. 3. 하악에 대한 설골의 수직적 위치는 Cl I, II, III 간에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다. 4. 악골의 전후방 관계를 나타내는 ANB, Wits와 설골의 위치 사이에는 통계학적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없었다. 5. Cl II에서 나타나는 상대적인 두부 신전(extension)은 Bjork Sum, ANB와 역상관계를 나타냈다. 6. Cl II와 Cl III에서 Post to Ant Facial Height과 NSL/VER은 수상관관계를 나타냈다. It has been known that head posture may influence directly and/or indirectly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raniofacial morphology and can also be influenced by the functional demand of physiologic activity. It was reported that facial morphology has close relationships with hyoid bone position and head posture. In many previous studies, Natural Head Posture(NHP) was guided, and also it was shown that NHP has high degree of reproducibility. Otherwise, There was few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of head posture, with routine cephalometric film which is used for clinical orthodontic purpose.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Wits and ANB of initial cephalometric film which was taken with vertical pendulum as representative of true vertical reference line. We classified the subjects which is comprised of 60 adult female patients into Class I, II, III (Cl I, II, III)and we tri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of head posture and hyoid bone posi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As a result of our research, we found the followings. 1. In comparison of vertical position of hyoid bone relative to the cranial base the position of hyoid bone of Cl III was lower than that of Cl II. 2. In comparison of anteriorposterior position of hyoid bone, relative to the cervical column. The position of hyoid bone of Cl III was more anterior than that of Cl II. 3. In comparison of vertical position of hyoid bone relative to mandible.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groups of malocclusion. 4. ANB and Wit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yoid bone position. 5. The relative extension of head, which was noted in Cl II, showed negative with Sum, ANB. 6. In Cl II and Cl III, Post to Ant facial heigh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NSL/VER.

      • SCOPUSSCIEKCI등재

        부정교합 환자의 교정치료전 치근흡수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황충주,송영윤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2

        영구치의 치근흡수는 대개 특별한 상황, 즉 외상, 감염, 교정적 치아이동, 또는 전신질환의 경우에만 일어난다고 생각되어 왔지만, 정상적인 상황에서도 영구치의 치근흡수를 나타낼 수 있음이 보고된 이래로 치근흡수의 원인을 밝히려는 많은 연구가 있었다. 특히, 교정치료의 연관된 치근흡수의 빈도 및 심각도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교정치료를 위해 내원한 영구치열기의 부정교합 환자에서 교정치료전 치근흡수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정치료를 위해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 중에서 제3대구치를 제외한 모든 영구치의 치근 형성이 완료된 사람을 대상으로 전치부는 평행촬영법으로 촬영한 구강내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구치부는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교정치료전 치근흡수의 빈도 및 삼각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개 치아에서 치근흡수의 빈도 및 심각도와 나이, 성별, Angle씨 분류법에 따른 부정교합 분류, 수평피개 및 수직피개, 상하악 전치부 치축각도 등의 분류에 따른 치근흡수의 빈도 및 심각도, 그리고 개개 치아에서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특징 및 뚜렷한 교합마모면과 치근흡수의 빈도에 대해서 분석해 보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연구에서 조사된 모든 사람에서 하나 이상의 치아에서 치근흡수를 나타내었고, 총 22.099개의 치아 중에서 7.920개의 치아, 즉 35.84%에서, 또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빈도가 높았다(p<0.01). 2. 개개 치아에서의 치근흡수 감수성은 전체적인 이환치아에 대해서는 하악 전치, 상악 전치 순으로 감수성이 높았지만, 뚜렷한 치근흡수에 대해서는 상악 중절치, 상악 제 1소구치, 상악 측절치 순으로 감수성이 높았다. 3. 상하악 전치의 치축 각도에 대해서는 상악 전치 치축 각도가 클수록 상악 4전치의 치근 흡수에 미치는 영향이 컸고, 하악 전치 치축 각도가 클수록 하악 4 전치의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 4. 수평피개보다는 수직피개가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개방교합의 경향이 커질수록 치근흡수의 빈도가 높았다. 5. 개개 차이에서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특징에 대해서는 반대교합과 개방교합을 함께 나타내는 치아에서 치근흡수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frequency and the severity of root resorption of the permanent teeth before orthodontic treatment by means of radiograph in the malocclusion patients. In this study the author analysed the frequency and the severity of root resorption in individual teeth, the relationships of the frequency and the severity of root resorption and age, sex, Angle`s classification, overjet, overbite, and maxillary and mandibular incisor inclination, and the relationships of the frequency of root resorp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looclusion and marked occlusal attrition showed in individual tee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of the persons examined showed some evidence of root resorption in one or more of the permanent teeth, 35.84% of the teeth examined and more frequent in female group than male group(p<0.01). 2. On the susceptibility of the root resorption in individual teeth in this study, the author found the mandibular incisors and the maxillary incisors, in the order named, to be most susceptible in all affected teeth, but maxillary central incisors, maxillary first bicuspids, and maxillary lateral incisors, in the order named, were more susceptible to marked root resorption. 3. The more proclined maxillary incisors the more affected root resorption in four maxillary incisors and the more proclined mandibular incisors the more affected root resorption in four mandibular incisors. 4. Overbite more affected root resorption than overjet,and the higher tender to openbite the more frequent was root resorption. 5. On the characteristics of malooclusion showed in individual teeth, the openbite teeth combined with crossbite, were most frequent in root resorption.

      • KCI등재후보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술전 교정전 예측치와 교정후 실측치의 차이에 관한 연구

        황충주,권희정 대한치과교정학회 2003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술전 교정전 예측전와 교정후 실측치 사이에 나타나는 오차의 크기와 정확성 및 어떠한 요소가 그러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세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서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ㅇ로 진단되어 술전 교정치료 및 양악수술을 받은 환자 가운데 조건에 부합되는 45명(남자 17명, 여자 28명)을 선별하여, 초진 상태를 T1, 교정 치료전 예측치를 T2, 술전 교정후를 T3로 정의하고 각각의 계측치를 수평과 수직좌표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또한 환자의 어떠한 진단적 요소가 술전교정의 예측치와 실측치 사이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대상을 arch length discrepancy (ALD), 상·하악 전치의 치축(U1 to SN, IMPA), curve of Epee(COS), 발치 여부, 발치한 치아의 종류 등에 의해 여러 군으로 분류하여 유의성을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강은 결과를 얻었다. 1. U6mbc, L1x의 수평 좌표와 Uli, Ulx, U6me, U6mbc, L6mbc의 수직 좌표에서 예측한 위치와 수술직전의 실제 위치의 차이가 유의성(p<0.05) 있게 나타났다. 2. 예측의 정확성은 수평적인 차이의 예측에 있어서 수직적인 차이의 예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3. 하악에서보다 상악의 많은 계측점에서 예측치와 실측치 사이의 유의한 차이(p<0.05)가 관찰되었다. 4. 상악의 경우 발치 여부 및 발치한 치아의 종류, ALD의 양에 따라 상악 전치와 제1대구 위치의 예측에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으며, 하악의 경우에는 ALD의 양과 IMPA에 따라 하악 전치와 제1대구의 위치의 예측에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냈다. 이번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통하여 술전 교정전 예측치와 실측치 사이의 오차의 정도와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희귀 계수를 구함으로써, 악교정 수술을 동반한 교정 환자의 치료 계획 시 예측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수직적인 예측에 있어서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d evaluate discrepancies between preoorthodontic prediction values and actual postorthodontic values and factors contributing to it 45 patients(17 male, 28 female) who were diagnosed as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and received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gnathic surgery at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Lateral cephalograms were analyzed at oretreatment(T1), orthodontic prediction(T2), immediately before surgery(T3) and designated the landmark as coordinates of X and Y axes. The samples were divided according to ALD, upper and lower incisor inclination(U1 to SN, IMPA), COS, extraction, the position of extracted teeth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to find out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redi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Differences between preorthodontic prediction values and actual postorthodontic values(T2-T3)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in the x coordinates of U6mbc, L1x and in y coordinates of U1i, Ulx, U6me, U6mbc, L6mbc 2. The accuracy of prediction is relatively higher in horizontal changes compared to vertical changes. 3. The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between prediction and actual values is observed more in the landmarks of the maxilla than the mandible. 4. differences between prediction and actual values of incisor and first mola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according to extraction vs non-extraction, extraction type, ALD in the maxilla and according to ALD< IMPA in the mandible. Discrepancies between preorthodontic prediction values and actual postorthodontic values and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rediction must be considered in treatment planning of Cl Ⅲ surgical patient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prediction. Furthermore future investigations are needed on the prediction of vertical changes.

      • SCOPUSSCIEKCI등재

        한국인 6-17세 아동의 성장과 발육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 PART Ⅲ : GROWTH CHANGE OF CRANIOFACIAL HARD TISSUE 제 3 세부 과제 : 두개 및 안면 경조직의 성장변화

        황충주,길재경,임선아 대한치과교정학회 199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6 No.5

        교정 환자들은 성장과 발육을 하는 개체이므로 교정치료의 시기 선택은 가장 어렵고 중요한 요소이며,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의 개발에 따라 안면 성장의 양상과 연령증가에 따른 성장 변화량은 성장 예측 등의 교정적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되어 왔다. 이에 6세에서 17세까지의 한국인 남여 아동 각 연령군에서의 두개 안면부의 경조직 계측치 평균과 신장, 체중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교정치료를 받은적이 없고, 성장과 발육에 장애가 없는 6세에서 17세까지의 소년 409명, 소녀437명을 연구대상으로 만 3년간 두부방사선 사진을 체득하여 경조직 분석을 Burstone의 COGS논문에 기초하여 두개저, 상악골과 하악골, 수직 계측, 수평 계측, 상하악 기저골 관꼐 및 치성 계측의 6개 부분으로 나누어 성장과 의 관계 및 키와 몸무게와의 관계를 연구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결 론 1. 두개저 계측에서 n-Ar(FH), N-Ba(FH)의 최대 성장 증가량은 남녀 모두 체중과 신장의 최대 증가량을 나타내는 연령과 일치한다. 그 외의 항목은 일정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큰 증가를 보이지 않고 있어 두개저의 성장은 초기에 거의 완성됨을 알 수 있었다. 2. Gonial angle은 남녀 모두에서 성장과 함께 점차 감소하였다. 3. ANS-Me(L)보다 N-ANS(L)가 더 많은 성장량을 보이며 안면 형태에 많은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4. N-A-Pog은 연령증가와 더불어 감소하며 이는 하악골의 성장이 상악골의 성장량보다 빠르고 많았다. 5. 상하악 기저골 관계에서 Y-axis의 길이는 증가하지만 각도는 일정하게 유지되어 하악골은 두개저에 대한 일정방향으로 성장하였다. 6. 영구치 맹출과 더불어 Interincisal angle은 감소하였다. Orthodontic patients are individuals that grow and develop ; therefore selection of the proper time for orthodontic treatment is considered to be one of most difficult and yet difficult factor. Since the development of cephalometric X-ray, amount and pattern of craniofacial growth change with aging could be predicted and be came useful in the process of orthodontic treat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 values of cephalometric measurements and body height and weight was studied among the groups(boys and girls) of Korean children from the ages 6-years to 17-years. 409 boys and 437 girls with no abnormality in growth and development and no history of orthodontic treatment from the ages of 6 years to 17 years were chosen as subjects : Cephaloment X-ray were taken for 3 years and hard tissue analysis based on Burstone`s COGs, which was devided into measurements of 6 parts(Cranial base, Maxillar and Mandible, Dental measurements).The relationship between craniofacial growth and height & weight was studi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The maximum growth in the measurements of cranial base, N-Ar(FH), N-Ba(FH) corresponded with the age with the maximum increase in body height & weight in both boys and girls. 2. Gonial angle gradually decreased with aging in both boys and girls. 3. N-ANS(L) showed greater amount of growth than ANS-Ne(L), and this had greater influence on facial profile. 4. N-A-Pog0 decreased with aging, and mandibular growth exceeded maxillary growth in amount and rate. 5. Length of Y-axis increased, but Y-axis to FH plane remained constant. This show that mandible grows at a constant angulation to cranial base. 6. As permanent teeth erupt, interincisal angle decreased.

      • 한국 젊은 여성의 악안면 경조직과 연조직에 관한 연구

        황충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3 延世論叢 Vol.29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soft & hard tissue charatteristics of Korean young females, norms and standard deviation of variables, correlationship between hard tissue & soft tissue The sample consisted of 75 who 1986, 1987 Miss Korea final contestants who never had missing teeth and the orthodontic treatments with relatively good occlusions using the lateral cephalography and the frontal cephalograph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Average standard deviation of hard tissue and soft tissue measurements, the correlation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were calculated. 2. When evaluating the measuring items of hard tissue using McNamara analysis, maxillary length was shorter, maxilla and mandible anterior protrusion was a bit larger, and the mandible length was about the same compare to Caucasians. 3. Compare to Caucasia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nasal bridge was relatively low and the vertical angulation of nasal tip was smaller when using the analyzing results of soft tissue measuring items. 4. Soft tissue A point was located more posteriorly and the upper and lower lips showed the tendency to protrude move. 5. Compare to Caucasians, zygomatic width was wider and the both side of facial heights was almost the same length so it was the facial symmetry according to frontal cephalography. 6. According to vertical analysis of face, the ratio of anterior facial height and the middle facial height was 0.5±0.03 and the vertical lip ratio(Sn-Stm/Stm-Me) was 0.32±0.04.

      • SCOPUSSCIEKCI등재

        상악 전치부 견인 시 치아이동에 따른 전방 치조골개조량의 변화에 관한 연구

        황충주,문정련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1

        교정 치료 시 많은 경우 상악 전치부를 상당량 견인하게 되며 이 때 치아의 이동량과 전방 피질골의 개조량이 동일하게 일어나지 않는다면 치주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악 전치가 후방 견인될 때 치아의 이동량과 피질골의 개조량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장이 완료된 만 18세 이상의 성인 여자환자 56명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의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계측하였다. 연구대상 56명은 전치의 후방견인 시 경사이동이 주로 일어난 환자(26명)와 치체 이동이 동반된 환자(30명)로 나누었으며 치료 전후의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true horizontal plane을 기준으로 하여 중첩하였다. Tip-Group(경사이동된 군)에서는 수평적인 bone remodeling/tooth movement ratio가 1:1.63, Torque-Group(치체 이동이 동반된 군)에서는 1:1.66이었다. 두 군 모두에서 치아의 이동량과 골의 개조량이 동일하지 않았기 때문에 경사이동 시에는 치근첨이 구개측피질골판에서 멀어지고 순측피질골판에 가까워지며, 치체이동이 동반된 군에서는 치근이 순측피질골판에서는 멀어지고 구개측피질골판에 접근하게 된다. 따라서 상악의 전방 피질골의 두께가 매우 얇은 환자에서는 상악 전치의 후방견인량에 제한이 있게 되며 골격적 부조화가 심한 경우에는 악교정수술을 동반한 치료를 고려하고, 교정적 절충치료가 필요한 경우 술자는 그 치료한계를 명확히 인식해야할 것이다. In many cases of orthodontic treatment the upper anterior teeth are retracted. Periodontal problems may arise during incisor retraction, if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and the amount of remodeling in the anterior cortical bone are not the same. Therefore in this study,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and the amount of bone remodeling during retraction of the upper anterior teeth, lateral cephalograms of 56 female patients over 18-year-old were tak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Among the 56 patients, two group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root movement during retraction. 26 patients mainly moved by tipping and 30 by bodily movement. The cephalograms tak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re superimposed upon the true horizontal plane. In the Tip-Group, the horizontal bone remodeling/tooth movement ratio was 1 : 1.63, and in the Torque-Group it was 1 : 1.66. Because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and the amount of bone remodeling were not the same in both groups, in the Tip-Group the root apex moved away from the palatal cortical plate and closer to the labial cortical plate, whereas in the Torque-Group the root moved away from the labial cortical plate and closer to the palatal cortical plate. Therefore,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amount of incisor retraction in patients with a very thin anterior cortical plate in the maxilla, and in patients with severe skeletal discrepancies orthognathic surgery should be considered and when orthodontic camouflage treatment is the only possible method, the orthodontist must be aware of the limitations of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