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oreans in Russia in the Context of History of Russian Immigration Policy

        Alexander I. PETROV(알렉산더 페트로프)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08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2 No.-

        19세기 후반에서 1937년 동안 극동러시아의 한인사회는 러시아 역사에서 유기적인 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필자는 淸과의 조약체결로 러시아인이 이 지역을 획득한 직후 독특한 조건 하에 시작된 한인 이민의 특성에 관심의 초점을 두고 있다. 이 논문은 폭넓은 1차 사료에 기반하고 있고, 러시아 지역 한인역사의 약 150년간에 대한 개관을 제공해준다. 한인사회 형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필자는 러시아의 한인들이 조선과 만주지역 동포들과 매우 활발한 접촉을 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러시아지역 한인들은 일본의 합방에 반대하여 매우 적극적으로 독립운동을 펼쳤다. 매우 유명한 우국지사 중의 한명으로 최재현을 들 수 있는데, 그는 1920년 니콜스크-우스리스크에서 일본인에 의해서 죽임을 당하였다. 그러나 극동러시아의 모든 한인들은 스탈린체제 하에서 중앙아시아와 카자흐스탄의 소비에트 공화국으로 강제이주 당하였다. 그래서 국적을 초월한 한인들의 상호작용은 멈춰졌다. 민족운동뿐만 아니라 소비에트 연방의 한인 집단 이주자의 민족문화 발전에 당연히 강한 충격을 주었다. 1937년 이후 새로운 세대들은 많은 문화적 전통과 풍습을 잃어버렸다. 스탈린이 죽자, 한인들은 자진하여 극동러시아지역으로 돌아갔다. 필자는 1937년의 강제이주가 공식적으로 사회주의 정권의 잘못된 조치라는 것을 인정한,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의 이 지역 한인들의 문제들을 추적하고 있다. 현재 극동 러시아에서의 한인들은 민족적 정체성을 회복하려 노력하고 있고, 그들의 많은 사람들이 러시아지역 한인으로써 스스로를 인식하고 있다. 필자는 한국정부가 극동 러시아에서의 한인 사회의 미래에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 줄 것으로 믿는다.

      • KCI등재후보
      • Tm,Ho:KLu(WO4)2 laser mode-locked near 2 μm by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Aleksandrov, Veselin,Gluth, Alexander,Petrov, Valentin,Buchvarov, Ivan,Choi, Sun Young,Kim, Mi Hye,Rotermund, Fabian,Mateos, Xavier,D?az, Francesc,Griebner, Uwe Optical Society of America 2014 Optics express Vol.22 No.22

        <P>We demonstrate passive mode-locking of a Tm,Ho-codoped crystalline laser operating on the Ho3+-ion transition I-5(7)-->I-5(8) near 2 mu(m) using a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aturable absorber. The Tm,Ho:KLu(WO4)(2) laser emits nearly transform-limited pulses with duration of 2.8 ps at a repetition rate of 91 MHz. The output power amounts to 97 mW. (C) 2014 Optical Society of America</P>

      • KCI등재

        Sr2FeMoO6 nanosized compound with dielectric sheaths for magnetically sensitive spintronic devices

        Nikolay Kalanda,김동현,Sergey Demyanov,유성조,Marta Yarmolich,Alexander Petrov,오석근 한국물리학회 2018 Current Applied Physics Vol.18 No.1

        Single-phase agglomerated Sr2FeMoO6-d powders with the iron and molybdenum cations superstructural ordering of 88% were synthesized by sol-gel technique from the Sr(NO3)2 and Fe(NO3)3$9H2O solutions with pH ¼ 4. The ultrasound dispersion enabled us to obtain 75 nm grains. Powders were pressed with 4 GPa to receive the ceramics. The additional annealing at 700 K promoted the appearance of 7.5% SrMoO4 phase. The nanocomposite with dielectric sheaths around the grains was obtained. Magnetization temperature dependences in zero-field cooled mode revealed inhomogeneous magnetic states. At temperature below 19 K, the superparamagnetic state is observed. Temperature increase leads to a realization of the stable superparamagnetic and metastable ferrimagnetic states, blocked by magnetic anisotropy energy. The resistivity temperature dependences have the semiconducting conductivity type. The charge transfer due to the hopping conductivity on the localized states in the energy band near the Fermi level dominates at 260e300 K. At 130e200 K the charge transfer is realized by electrons tunneling through the energy barrier. The electrons inelastic tunneling on conducting channels between grains, through the localized states in the dielectic interlayer dominates at low temperatures. The resistivity decreases in magnetic fields and the negative tunneling magnetoresistive effect reaching 41% occu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