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수학 선택과목 운영 현황 분석 연구

        이화영 대한수학교육학회 2021 학교수학 Vol.23 No.1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has been designed to support students’ selection of subjects considering the student's career path, and the mathematics department also organized general/ career elective cour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ensuring students' choice of subjects ahead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irst of all, focusing on subject options, I looked at the changes in Korean curriculum, composition of foreign mathematics subjects, and college entrance subjects, and the current status of ‘selective- oriented curriculum' in 1,709 general high schools nationwide and status of co-curriculum operation by education board of city or province. Several implications have been derived based on th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elective subjects and career tracks should be prepared so that students can choose their courses according to their career path, and that universities should designate essential subjects so that students can learn what they need and go to college.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hat improvements in the system to prevent grades from being disadvantaged by the selection of mathematics subjects, and improvements in the completion path and subject composition should be made.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학생 진로를 고려한 과목선택권 확대를 위해 ‘선택 중심 교육과정’으로 개정하였으며, 수학과에서도 일반/진로 선택 과목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시행을 앞두고 학생의 과목선택권 보장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과목선택권에 초점을 맞추어 우리나라 교육과정 변화와 외국의 수학 과목 구성과 대입 과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전국 1,709개의 일반 고등학교의 ‘선택 중심 교육과정’ 운영 현황과 시도별 공동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학생이 진로에 맞게 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과목 및 진로트랙 마련과 함께, 학생들의 선택권을 보장하되 꼭 필요한 내용은 배우고 진학할 수 있도록 대학 필수 과목 지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수학 과목 선택으로 인한 성적 불이익 방지 제도 개선, 이수 경로와 과목 구성의 현실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SCOPUSKCI등재

        질산암모니움의 열분해 반응속도(2)

        이화영,김규진,이재성 한국화학공학회 1973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11 No.2

        밀폐된 반응기에 비교적 적은양의 질산암모늄을 넣고, 240℃∼320℃의 온도범위에서 등온 열분해를 시켰다. pressure transducer를 이용하여, 반응진행에 따른 반응기의 압력변화를 측정하고, gas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생성기체의 조성을 구했다. 위의 두가지 data를 이용해서 질산암모늄의 열분해 반응기구와 반응속도를 구했다. 또한, 318℃이상에서는 폭발적인 분해반응이 일어남을 확인했다.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ammonium nitrate was thermally decomposed on a stainless steel hot plate maintained at constant temperatures ranging from 240℃ to 320℃. The hot plate is a part of the reactor kettle with the closure atop of it. The reactor holds the decomposed gas whose pressure is measured by means of a pressure transducer. The reaction mechanism and the rate were determined by using the gas composition data and the recorded kinetic curves. Beyond 318℃. it was found that ammonium nitrate decomposes explosively.

      • KCI등재

        γ-Alumina에 의한 수용액으로부터 구리이온의 흡착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영,김성규,오종기 한국자원공학회 2002 한국자원공학회지 Vol.39 No.4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cupric ion from aqueous solutions have been examined with an inorganic adsorbent, g-alumina. BET surface area, pore volume and mean pore diameter of g-alumina used in the work were 142.7m2/gr, 0.965ml/gr and 216.7, respectively and the effect of cations and anions, ionic strength and pH on the adsorption of cupric ion were tested. Among Na+, K+, Ca2+ and Mg2+, the interference of K+ with the adsorption of cupric ion was not significant while that of the others was found to be nearly identical and the increase of ionic strength resulted in the decrease of adsorption of cupric ion. Adsorption isotherm of cupric ion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Freundlich equation, which meant that the adsorption of cupric ion was predominated by physisorption. The adsorption of sulfate ion was found to be about 1.5 times that of cupric ion when sulfate ion was employed as anion in aqueous solution. Accordingly, the anion as well as the cation in a solution was believ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dsorption of cupric ion on g-alumina. g-alumina에 의한 수용액 중의 구리흡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흡착제로 사용한 g-alumina 는 BET 표면적 142.7m2/gr, 기공부피 0.965ml/gr, 평균기공크기 216.7Å의 미분체형이었으며, 양이온 및 음 이온 종류, 이온강도, pH 등이 구리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양이온 가운데 K+ 이온의 구리흡착 방 해정도가 가장 낮았다. 또한, Na+, Ca2+ 및 Mg2+에 의한 구리흡착 방해정도는 거의 유사하였으며, 이온강도가 증가할수록 구리 흡착량은 감소하였다. 구리이온의 흡착등온곡선은 Freundlich Isotherm에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g-alumina에 의한 수용액 중의 구리흡착이 주로 물리흡착에 의해 지배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이 온이 황산이온인 경우에 있어서 구리이온 보다는 황산이온의 흡착량이 당량비로 1.5배 이상 높아 구리 흡착 시 음이온의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인지적 도구로서의 사칙계산기 활용

        이화영,장경윤,Lee, Hwa Young,Chang, Kyung Yoon 대한수학교육학회 2015 학교수학 Vol.17 No.2

        이 논문에서는 계산기에 대하여 복잡한 계산 수행 뿐 아니라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탐구할 수 있는 인지적 학습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계산기가 인지적 공학 도구이며 교수-학습 도구임을 밝혔으며, 국내외의 수학교육과정에서의 계산기 활용 실태를 살펴보았다. 실제적으로 인지적 학습 도구로서의 계산기의 역할을 관찰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수학에서 계산기 활동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3학년, 5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한 실험 활동을 실시하였다. 활동 결과, 사칙계산기가 지필환경에서는 가능하지 않은 패턴 인식을 통한 귀납, 추론, 원리 탐구를 용이하게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비추어 지필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기존 교과서의 제시 방식에 대안이 될 수 있는 발견적 방식을 대비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calculators as a cognitive tool rather than calculating tool in learning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e calculator activities on multiplying two numbers ending with 0s or two decimal fractions and mixed four operations were developed, and exploratory lessons with the activities were implemented to three 3rd graders and two 5th graders. The results were shown that calculators provided an alternative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students were able to use heuristic thinking, reason inductively and successfully investigate principles of mathematics through the pattern recognition. And finally, we discussed the heuristic method through utilizing calculators.

      • KCI등재

        남한과 북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구성 체제 및 학습 내용 비교 -1,2,3학년을 중심으로-

        이화영,임미인,이환철,김주창 대한수학교육학회 2018 수학교육학연구 Vol.28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3학년을 중심으로 2018년 현재 남북한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학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교과서의 구성 체제를 단원 및 차시 구성 측면에서 비교하고, 1학년 수학 교과서에서 다루는 학습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남북한 수학 교과용도서의 강조점 및 교과용도서의 구성, 교과서 구성 체제, 교사용 지도서 구성 체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둘째, 남북한 수학 교과서는 수와 연산 영역 관련 단원의 비중이 가장 크다는 점 등의 공통점이 있고, 단원 수, 단원명 제시 등에 차이점이 있었다. 셋째, 남북한 수학 교과서 모두 삽화로 구성된 단원 도입 차시, 놀이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진 차시 등을 포함하고 있고 본차시 구성 시 다양한 조작 활동, 이해를 돕기 위한 말풍선 등을 제시하고 있다는 공통점과 상이한 아이콘의 사용 등 몇 가지 차이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1학년 수학 교과서에서 다루는 학습 내용 중 남한 1학년에서만 다루는 내용과 북한 1학년에서만 다루는 내용을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남북한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결과에 기초한 논의로부터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re used in 1st to 3rd grade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pecifically, the textbooks were compared in terms of unit and lesson frameworks, and the learning contents of mathematics covered in the 1st grade textbook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extbooks were derived. First, we identified the emphasis on the textbooks for the South and North Korean mathematics, as well a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s, the structure of textbooks, and the system of teacher’s guidebooks. Second, South and North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share the largest proportion of units in the number and operation domain, and differ in the number of units and presentation of names. Third, both textbooks contain the introductions are composed of illustrations and the lessons are comprised of play activities, while there ar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use of icons. Fourth, among the learning contents covered in the 1st grade mathematics textbooks, we identified the contents covered in thr 1st grade of South Korea and in the 1st grade of North Korea.

      • KCI등재후보

        수용액중 암모니아 Recycling을 위한 Air Stripping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영,오종기,김성규,Lee Hwa-Yaung,Oh Jong-Kee,Kim Sung-Gyu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3 資源 리싸이클링 Vol.12 No.3

        수용액중의 암모니아를 리싸이클링하여 황산암모늄을 제조하기 위한 1단계 공정으로 air stripping에 의한 암모니아 탈기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용액중 암모니아 탈기실험을 위하여 내경 40mm의 아크릴관을 탈기 column으로 사용하고 하단에 미세한 기체방울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air sparger를 설치하는 한편 탈기가스로는 공기를 사용하였다. 탈기실험 결과 수용액 pH가 증가할수록 암모니아 탈기효율이 향상되었으며, 적정 pH범위는 10∼12 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유량변화가 암모니아 탈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공기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탈기량이 비례하여 증가하지는 않았다. 또한, 수주 높이 20 cm 이상에서 절대 탈기량은 수주 높이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나타났다. 탈기 온도를 높일수록 암모니아 탈기속도는 크게 증가하여 pH 12.8, 탈기 온도 $60^{\circ}C$에서 14시간 탈기시 초기 암모니아의 90% 정도를 탈기시킬 수 있었으며, 탈기 온도는 수용액 pH와 함께 암모니아 탈기공정의 가장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mmonia desorption from aqueous solutions has been performed by air stripping as the first stage of ammonia recycling for the preparation of ammonium sulfate from it. For air stripping experiments, a stripping column made with acrylic tube of 40 mm diameter was employed and compressed air was injected into solutions through air sparger equipped at the bottom of stripping column. As a result of experiments, the stripping efficiency was increased with the aqueous pH and it was found that the appropriate pH for air stripping of ammonia was between pH 10 and 12. As far as the effect of air flow rate on ammonia stripping was concerned, ammonia stripping was not proportional to the air flow rate although it was affected by the air flow rate to some extent. Moreover, when more than 20 cm of water height was maintained, total ammonia desorbed from solution was not varied with the water height. Stripping temperature was also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ammonia desorption and about 90fo of initial ammonia was desorbed in 14 hours at pH 12.8 and at $60^{\circ}C$ Finally, it was believed that stripping temperature as well as the aqueous pH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ir stripping of ammon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