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법상 외교면제와 접수국 국민의 보호방안: 최근 국가면제의 변화가 외교면제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이춘선 서울국제법연구원 2023 서울국제법연구 Vol.30 No.2

        외교면제와 국가면제는 법적으로 다른 제도이다. 그러나 외교관도 국가공무원이므로 공적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일정 부분 외교면제와 국가면제가 서로 중첩된다. 대부분 국가들이 국가면제와 관련 제한적 면제론을 수용하고, 또한 그동안 관습법 형태로 유지하여 오던 것을 각국이 국내법과 국제조약으로 이를 성문화하여 면제의 범위를 명확히 하여 이를 축소하거나 제한하는 등 많은 변화와 발전을 해왔다. 그러나 외교면제는 1961년 비엔나 협약의 채택 이후 법적으로 어떠한 변화도 없이 유지되고 있고, 국가면제와는 달리 외교면제는 남용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최근 국가면제의 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접수국 일반 국민의 외교면제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많은 변화를 보여 주고 있다. 즉 고용계약, 부동산 거래, 교통사고 등 외교면제와 관련된 전형적인 사건과 분쟁에서 적극적으로 사법절차를 통한 법적구제를 추구하고 있다. 한편 외교면제와 국가면제가 중첩되는 분야에서는 외교관과 파견국을 모두 대상으로 소송을 제기하고 있다. 접수국 국민의 이러한 반응을 보면 1961년 비엔나 협약 부속서로 채택한 ‘민사 청구의 고려에 관한 결의’의 취지와 같이 파견국은 외교면제의 포기를 확대하여야 한다. 인권침해와 강행규범 위반 사건과 관련한 국가면제에 대해 각국의 국내법원과 국제재판소의 판결이 이를 인정 또는 부정으로 양분되어 있다. 따라서 국가면제와 인권법의 원칙이 긴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외교면제와 관련된 인권침해도 자주 발생하는데, 이는 성범죄 등 개인적 차원의 인권 문제로서 국가면제에서 문제가 되는 강행규범 위반이나 고문, 집단살해 등과 같은 대규모의 중대한 인권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외교관에 의한 인권침해는 매우 민감한 문제로서 인권침해의 사건 자체도 중요하지만, ‘외교특권과 면제’를 규정한 협약의 보호장벽으로 접수국 국민의 ‘재판받을 권리’라는 중요한 절차상 권리가 사전 봉쇄되는 것이다. 인권침해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접수국 국민의 보호 차원에서 양국 간의 면제 포기에 관한 새로운 협력 방안, 예를 들면 양자 간 상호주의에 의거 인권침해 사건에 대한 외교면제를 제한하는 합의 방안 등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Most of States have recently adopted the restrictive doctrine of the state immunity so that its rules might be changed to clarify and limit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immunity. The diplomatic immunity has also been affected in fact by these developments and changes to be challenged in the sense and mind of the citizen in the receiving state, while it continues to keep its status without any change of legal terms since the adoption of Vienna Convention in 1961. Due to the abuse of diplomatic privileges and immunity, the receiving state’s citizen sometimes faces the disadvantage and damage in the contracts their employment and real property. As a plaintiff, they like to sue to the local court the member of diplomatic mission together with the sending state itself for the legal compensation of their damage and loss. They find that it is more profitable to sue both of them in the same proceeding because the extent of state immunity is more limited and narrow than that of diplomatic immunity. Therefore, it is required for the sending state to expand her decision of the waiver of diplomatic immunity, and to permit the receiving state’s citizen to access the court in the legal proceedings. Regarding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and jus cogens, some local court in Italy, Greece, and Brazil have recently denied the state immunity in the sentence. In diplomatic practice, it is unusual that the diplomat resident in the receiving state could commit the crime under international law such as torture, genocide, war crime, ect., but it happens that they could commit a individual violation of human rights such as sexual assault, sexual harassment, rape, ect. However,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is very sensitive to the receiving state’s citizen because diplomatic immunity might constitute one of the barrier toward the procedural rights to access to the court. Therefore, the sending state should take special consideration in the case of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committed by their diplomats to permit the injured to get legal proceeding for fair compensation and appropriate satisfaction at the level of the government of the sending state.

      • 성인 남성의 흡연여부에 따른 구강보건실태조사

        이춘선,김진경 東南保健大學 2005 論文集-東南保健大學 Vol.23 No.2

        The present study was purposed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adult men's oral health behaviors and to their interest in oral health and collect data necessary for managing the mouth and enhancing oral health. For th is purpos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165 adult men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 초파리 自然集團에 保有되어 있는 有害遺傳子의 頻度와 同座位率에 關한 硏究

        李春善 仁川敎育大學 科學敎育硏究所 1976 科學敎育硏究所論文集 Vol.3 No.-

        1975년 9월 중순에 安養地域에서 체집한 D. melanogaster의 第2染色體上에 保有되어 있는 有害遺傳子 染色體, 同座位率 및 不姙遺傳子의 頻度를 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致死 및 半致死遺傳子를 保有하고 있는 染色體의 頻度는 42.3%였다. 2. 安養地域의 自然集團에 存在하는 致死遺傳子間의 同座位率은 2.43%였다. 有害遺傳子로 인한 集團內의 淘汰率(IQ²)는 0.0043으로 나타났다. 3. 第2染色體上에 保有되어 있는 劣性不姙遺傳子는 雌性이 9.32%, 雄性이 6.45%였고 兩性不姙은 2.42%였다. The frequency of second chromosomes bearing deriterious genes in the Anyang natural population of korean in Drosophila melanogaster was estimated in 1974.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lethal and semilethal chromosomes was calculated as 42.3%. 2. Allilism rate between lethal genes isolated from natural population was 2.43%. The rate of elimination of lethal genes ( IQ²) was estimated to be 0.0043. 3. The frequency of sterile genes on the second chromosomes was 9.32% for females, 6.45% for males, and 2.42% for both sexes respectively.

      • 半月地域 초파리集團의 有害遺傳子에 관한 硏究 Ⅰ. 遺傳子頻度 및 同座率

        李春善 仁川敎育大學 科學敎育硏究所 1978 科學敎育硏究所論文集 Vol.5 No.-

        1977年 半月地域에서 채집한 노랑초파리(D. melanogaster)에 대하여 第2染色體에 保有되어 있는 劣性有害遺傳子 및 不姙遺傳子 頻度를 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劣性致死遺傳子 및 半致死遺傳子 頻度는 25.86%였다. 2. 半月地域의 초파리集團에 存在하는 致死遺傳子間의 同座率은 2.21%였다. 3. 有害遺傳子로 인한 集團內의 淘汰率은 0.0015였다. 4. 第2染色體上에 保有된 劣性不姙遺傳子는 雌性이 4.81%, 雄性이 7.94%였고, 兩性不姙은 0.53%였다. 5. 表現型의 不姙率은 3.42%로 나타났다. The frequency of second chromosome bearing deriterious and sterile genes in the Banwol natural population of Drosophila melanogaster was estimated in 1977.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lethal and Semilethal chromosomes was caculated as 25.86%. 2. Allelism rate between lethal genes isolated from Banwol natural population was 2.221%. 3. The rate of elimination of lethal genes (IQ²) was estimated to be 0.0015. 4. The frequency of sterile genes on the second chromososoes was 4.81%, for female, 7.94% for male, and 0.53% for both sexes respectively. 5. Phenotypic sterile flies in the Banwol natural population was 3.42%

      • KCI등재

        치위생과 학생의 메타인지, 학습전략 및 자기주도성과의 관계

        이춘선,이선미,김창희,Lee, Chun-Sun,Lee, Sun-Mi,Kim, Chang-Hee 한국치위생학회 2020 한국치위생학회지 Vol.20 No.2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method for training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with a sense of professionalism by identifying meta-cognition, efficient learning strategies, and self-directedness necessary to become a spontaneous, self-controlled learner.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316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3.0. A post-ho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among meta-cognition, learning strategy, and self-directedness. Results: The meta-cognition, learning strategy, and self-directedness scores of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were 3.25, 3.08, and 3.12, respectively. Meta-cognition was significant because the grade was lower, and the previous semester grade and major satisfaction were higher. Learning strategy was significant because the previous semester grade and major satisfaction were higher among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elf-directedness was significantly low in students whose self-conviction score was below 2.0 in terms of the previous semester grade and significantly high with high self-satisfaction. Conclusions: Instructors at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should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meta-cognition, find various teaching methods to improve learning strategy, and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 by enhancing self-directedness in learning.

      • KCI등재

        호서지역 철정의 분포정형으로 본 유통양상의 변화와 제철기술의 확대

        이춘선 호서고고학회 2020 호서고고학 Vol.0 No.46

        The iron ingots is an important trade item in the Samhan region that the situation of the Samhan in the third century is recorded in Wiji Dongi-jeon of 『三國志(Samgukji)』. 弁辰韓(Byeonjinhan) was at the center and the records indicate that a significant volume was produced that Mahan, Oi (Japan), Nakrang, and Daebang made purchases. It could be attributed in the fact that the excavated volume in the Gimhae region of the Geumgwan Gaya was substantial and the trend of the burial ritual was overwhelming. Mahan, considered as a main location of consumption, particularly in the Hoseo region, showed increased excavated volum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ron ingots distribution with these regions could be learn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relics excavated from iron ingots of the Hoseo region within the Mahan territory and take a look at the shift of distribution for iron ingots 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ironing technology through the distribution formation in each region. For this purpose, the formation of the iron ingots excavated around the tomb sites in the Hoseo region is classified, set forth 5 phases in a way of comparing than with the excavated items from the Byeonjinhan region that is considered as the core part of the iron ingot distribution through the analysis on distribution formation for each phase and clarify that the iron ingots were flowing in through the exchanges with those regions. First of all, the distribution trend of the iron ingots had its phase one was in the Hoseo region with the phase one rod-like iron ingots to be confirmed in the tomb site of the highest hierarchy in the inner part of Hoseo in the Mihocheon basin, and the rod-like iron ingots that is confirmed in the inner part of Hoseo in the first part of the second century was on the trade with Byeonjinhyan that the trade route with them was centered around the inland trade connected to the upper stream of Nakdong-gang through Chupungryeon, Hwaryeong and Gyerim-ryeongas the transportation routes that connecting the inland of Youngnam and Inland of Hoseo and it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relics status and burial ceremony commonly accompanies in each region of Mahan and Byeongjinhan. Thereafter, the flat-type iron ingots that is confirmed around the Hoseo coastline after the mid-third century for the phase two was exchanged with the Geumgwan Gaya region around the ruling class. The trade route for the iron ingots distribution was secured through the nearby coastal sea of southern coast - western coast after securing the sea route of the western-southern coasts by subsiding the war that was to attach Gara (Gyyaguk (구야국) by the Pyosang Palguk (eight small states in the region) that were existed in the western-southern coasts. The inland transportation route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trade items confirmed from each region as the result made through Yuksipryeong and Palryeongchi with close cooperation with Anra-guk. Thereafter, for the Namgang Inland route was continued as the trade route for Baekje and Gaya. In the phase to have the iron ingots to be standardized after the mid-fourth century for phase three, the burial goods as the mid to upper class in the region increases to have the burial of the smith's tools also increased together with the iron ingots. After the mid-fifth century for phase four, the transport route of the southwestern coastline is mainly used and the inland of Hoseo is transferred to the segmentation process of Baekje to bring the advancement of the ironing technology for expanding into the living relics. 철정은 삼한지역의 중요한 교역품으로 3세기 삼한의 상황을 묘사한 『三國志』 魏志 東夷傳에서도 기록되어 있다. 변진한이 중심이고 이것을 마한, 왜, 낙랑, 대방에서 사간다고 할 정도 많은 양이 생산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에 대변하듯 구야국인 김해지역에서 출토량이 월등하고 부장의 양상에서도 압도적이다. 주요 소비지로 생각되는 마한, 그 중 호서지역 내에서 출토량이 증가하고 있어 이들 지역과의 철정유통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마한지역 중 호서지역의 철정을 중심으로 철기생산의 유통망의 변화를 살펴보고 각 지역 내 분포정형을 통해 철정의 유통의 변화와 이를 통한 제철기술 발달의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호서지역 분묘를 중심으로 출토되는 철정의 형식을 분류하고 5단계를 설정하여 단계별 그 분포정형에 따른 분석을 통해 철정유통의 중심이라고 생각되는 변·진한지역 출토품과 비교하고 이들과의 교류를 통해 철정이 유입됨을 분명히 하였다. 먼저, 철정의 유통양상은 1단계는 2세기 전반 호서내륙으로 확인되는 봉상형철정은 변·진한과의 교역에 의한 것으로 이들과의 교역로로는 영남의 내륙과 호서내륙을 이어주는 교통로인 추풍령, 육십령, 계림령, 팔령치를 통한 육로 교역이 중심이였음을 마한과 변·진한 지역 각각에서 공반되는 유물상과 부장의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후, 2단계 3세기 중반이후로 호서해안을 중심으로 확인되는 판상형철정은 변한 지역이 철정유통의 중심세력으로 부상하며 철정이 유통되는 교역로는 동남부해안의 존재하였던 포상팔국들의 가라(구야국)을 공격하는 전쟁을 진압하면서 서남해안의 해로를 확보한 후 남해안-서해안 연근해 해상의 교역로를 통한 결과임을 각 지역에서 확인되는 교역물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두 교통로가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철정의 유통은 호서지역 내 1단계 봉상형 철정은 미호천유역 호서내륙의 최고위계 묘역에서 확인되며, 2단계 서남해안에서 확인되는 판상형 철정은 서산 해안지역 수장층을 중심으로 교류한다. 이 단계까지 각 지역 철정의 유통에서 엄격한 통제가 있었으나 3단계 4세기 중엽 이후 철정이 규격화되는 단계에서는 지역 내 중상위 계층으로 부장되는 유구가 증가하며 철정과 함께 단야도구의 부장도 증가한다. 4단계는 서남해안의 교통로가 주로 이용되며 호서내륙은 백제의 영역화과정에 편입되어 지역 내 제철기술의 발전을 가져와 주거지나 환호 등 생활유적으로도 확대된다. 철정의 단순한 변형제작을 통한 의기성 철기의 부장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변한의 철정 유통은 쇠퇴하며 백제의 의한 철기가 제작되는 시점과 일치한다. 5단계에 소형철정이 부장되는 유구는 가야와 관련있는 토기유물이 출토하고 있다.

      • KCI등재

        영남지방 목곽묘 토기부장 의례 양상으로 본 토기 유통권의 변화

        이춘선 영남고고학회 2022 嶺南考古學 Vol.- No.93

        이 글은 부장토기에는 부장의례에 의한 토기유통의 선택압이 있었을 것임을 논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목곽묘 부장의례에 사용되는 토기 기종의 종류와 기종구성의 선택에는 분묘제사에 음식 공헌 의례로서 각각의 토기기종이 자비기, 저장기, 의례기, 성찬기의 의례용기로서 형상화하여 나타나는 점을 활용한다. 토기부장 의례는 목곽묘 장송의례의 절차에 따라 부장된다. 이러한 토기부장 의례행위는 토기를 목곽의 보강토에 놓는 의례, 부장곽 내부에 놓거나 따로 제단상의 이혈 부곽에놓는 의례, 목곽 부장 이후 상부에 다시 토기를 파쇄하여 뿌리거나 단경호를 부장하며 봉토를 덮는 의례, 봉토를 덮은 후에는 대호를 놓거나 주구에 대호를 파쇄하는 의례로 유형화 할 수 있다. 이러한 토기부장 의례양상은 권력자의 의사결정과 관련된 것으로 상위 목곽묘의 위계를 중심으로 먼저 나타난다. 이것이 토기소비지인 목곽묘 의례를 수행하기 위한 토기 전문 생산체계인 토기 유통과 관련된다. Ⅰ기의 대형 목곽묘는 보강토에 부장하는의례가 나타나며 기종구성은 비슷하지만 기종의 형식은 권역별로 다소 다르다. Ⅱ기 대형 목곽묘가 증가하는 낙동강 하구역은부곽을 중심으로 다양한 토기가 부장되는 반면 낙동강 이서권역은 Ⅰ기의 보강토 중심의 부장이 지속되며 주구내 대형호를 부장한다. 이후 고식도질토기 중심권은 소지역권 대형고분군의 부장전통에서도 행해지며 부장토기의 유통권이 낙동강 하구역의금관가야와 낙동강 이서권의 아라가야, 다라국, 진주일대에 내륙의 소지역권을 가지며 확대되었다. Ⅲ기 이후에는 중소형 목곽묘가 급진적으로 증가하며 목곽 내 부장갱과 발치부장이 정형화되며 토기 기종구성도 대형묘와 유사해진다. 이후 낙동강 이서권과 하구권의 빈번한 유통을 통해 양식의 혼합이 나타나며 중소형고분군의 증가에 따라 토기유통권이 확대되어 상위고분과 중소형 고분군의 소지역양식이 분리되어 성립하면서 토기유통권의 분화가 발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