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창자 상피세포에서 철분 포획제에 의한 MIP-3α/CCL20의 유도

        이명수,이현주,한원철,오재민,전창덕 대한체질인류학회 2004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7 No.4

        A previous report by this laboratory demonstrated that bacterial iron chelator (siderophore) triggers inflammatory signals, including the production of CXC chemokine IL-8, in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IECs). Microarraybased gene expression profiling revealed that iron chelator also induces CC chemokine MIP-3α/CCL20. As CCL20 is chemotactic for the cells involved in host adaptive immunity, this suggests that iron chelator may stimulate IECs to have the capacity to link mucosal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The basal medium from iron chelator deferoxamine (DFO)-treated HT-29 monolayers was as chemotactic as rhCCL20 at equivalent concentrations to attract CCR6± cells. The increase of CCL20 protein secretion appeared to correspond to that of CCL20 mRNA levels, as determined by real-time quantitative RT-PCR. The efficacy of DFO at inducing CCL20 mRNA was also observed in 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and in THP-1 cells, but not in Human Umbil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Interestingly, unlike other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α and IL-1β, a time-dependent experiment revealed that DFO slowly induces CCL20, suggesting a novel mechanism of action. A pharmacologic study also revealed that multiple signaling pathways are differentially involved in CCL20 production by DFO, while some of those pathways are not involved in TNF-α-induced CCL20 production. Coll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n addition to some bacterial products known to induce host adaptive immune responses, direct chelation of host iron by infected bacteria may also contribute to the initiation of host adaptive immunity in the intestinal mucosa. 본 연구실에서는 최근 박테리아의 철분 포획제 성분인 deferoxamine (DFO)이 창자 상피세포에서 CXCL -8 케모카인을 생산함으로써 염증 신호를 유발함을 보고하였다(Choi 등 2004). 또한 microarray 유전자 발현 검정법을 통해 창자 상피세포에서 DFO에 의해 CCL20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FO에 의하여실제로 CCL20가 생성되는 지와 이때 생성된 CCL20가 CCR6를 발현하는 세포의 이동을 촉진할 수 있는지, 또한DFO에 의한 CCL20 생성 기전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CCL20단백질의 증가는 mRNA합성증가와 일치하게 증가하였고, 실시간 RT-PCR을 이용해 정량적인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CCL20 mRNA를 유도하는 DFO의 효과는 창자 상피세포 뿐만 아니라 혈액 단핵구와 단핵구 세포주에서도 관찰되었다. 약리학적 저해제를 이용하여 철분 포획제에 의한 CCL20 발현 증가에 관여하는 신호전달계를 관찰한 결과, 일부는 통상의TNF-α에 의한 신호전달과는 다른 경로를 통해 CCL20의 발현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을통해, 박테리아 산물 이외에도 철분 대사가 CCL20이나 다른 염증 매개 물질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창자 점막에서 숙주의 적응면역 반응의 개시에 직접적으로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사무자동화를 위한 근거리 컴퓨터 통신망 콘트롤러 개발에 관한 연구

        이명수,강창언 한국통신학회 198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11 No.2

        CSMA/CD를 채널 억세스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에서 평균 정보전송 지연시간을 개선하려는 방법중, 제한된 정보전송 지연시간을 지니면서 채널사용도의 변화에 따른 정보전송 지연시간의 분포가 안정되어 있는 콘덴션 해결 알고리즘을 구성하였다. IEEE 802.2의 논리적 링크제어(LLC)와 IEEE 802.3의 Medium Access Control(MAC)을 기준으로 하여 충돌이 발생한 후에 콘덴션을 해결하는 MAC의 일부를 수정, 변경하므로서 노드 콘트롤러를 구성하였다. 노드콘트롤러와 호스트 컴퓨터 IBM-PC/XT와의 정보전송은 2개의 DMA 채널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작은 버퍼들을 연쇄시키므로서 행하여 졌다. 해석적 모델을 사용하여 성능추정을 한 결과 낮은 채널 부하에서는 BEB(Binary Exponential Back-off) CSMA/CD의 지연특성에 접근하며 채널 부하가 높아진다 하더라도 네트워크가 dead lock되지 않으며 제한된 최대 전송지연 시간에 접근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작된 노드 콘트롤러는 사무자동화 환경은 물론 시간적인 제약내에서 정보의 전송을 요구하는 연구소나 공장자동화 환경에도 응용할 수가 있다. The contention resolution algorithm with the limited packet delay time as well stable distribution as the packet delay time is proposed and implementes for improving the mean packet delay time in the network employing CSMA/CD as the access method. The implementation of node controller is based on IEEE 802.2 standard logical link control(LLC) and IEEE 802.3 standard medium access control(MAC). Some portion of IEEE 802.3 Standard MAC, and the Binary Exponential Back-off(BEB) algorithm is replaced by the proposed algorithm. From the view of normalized mean packet transmission delay time, the controller implemented here can be applicable to the office-automation system, and the factory-and laboratory-automation environment where the limited time criterion is very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