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원의 실체적 권리와 교육권의 제한에 관한 연구 ―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와 이론을 중심으로 ―

        노기호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법학논총 Vol.28 No.2

        When there is some conflict between the educational subjects for guarantee of teachers’ educational rights in US, compared with that of Korea, is based on objectively formed system rather than subjectively formed system of rights or authority. The cases relating to education have their strict theories and system compare to ours. So many cases in the court in U.S. have very important role to protect the rights of school teachers.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serious conflicts among the Federal Government, state governments and school districts. Most of educational rights primarily belong to states, so in principle the Federal Government cannot interfere with them in determining contents of education as long as it is not unconstitutional. and the court has important responsibility to solve the educational problems and it is recognized by citizen in the state. and the function to education policy-making is divided by the function to keeping the education policy. this system is making structure to set up the conflict in the education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government and school districts, though school districts actually work automatically, the school districts have most of educational rights and school districts only execute their policies. So it is hard to expect the legal conflicts between them ; though there are a few cases of political conflicts between them. the school teachers have many kinds of political rights in U.S. and they also have freedom of association by the U.S. constitution. Additionally it is hard to expect the conflicts of rights among educational authorities, parents and teachers, because many cases about these issues were already established systematically ; even though any conflict happen, it will be legally coordinated at all. In the cases and theory of court, school teachers have the right to associate for labor being inclosed in the freedom of speech. So school teachers, that is meaning they are public officer, don’t receive any restrict by state government when they make association kinds of political, religious and labor. Recognizing educational policies belong to them, the Federal Government and state governments give school districts much of local autonomy and permit them to execute educational policies ; as a result, this leads educational subjects themselves to solve their own conflicts in US. But they have any restriction in political rights when to protect the right of student and to carry out their duty to teach student in the school. In the other respect, they have these right it self as a right but just restricted on the case and code in the State. We need to receive this point when making a law in Korea. When there is some conflict between the educational subjects for guarantee of teachers’ educational rights in US, compared with that of Korea, is based on objectively formed system rather than subjectively formed system of rights or authority. The cases relating to education have their strict theories and system compare to ours. So many cases in the court in U.S. have very important role to protect the rights of school teachers.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serious conflicts among the Federal Government, state governments and school districts. Most of educational rights primarily belong to states, so in principle the Federal Government cannot interfere with them in determining contents of education as long as it is not unconstitutional. and the court has important responsibility to solve the educational problems and it is recognized by citizen in the state. and the function to education policy-making is divided by the function to keeping the education policy. this system is making structure to set up the conflict in the education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government and school districts, though school districts actually work automatically, the school districts have most of educational rights and school districts only execute their policies. So it is hard to expect the legal conflicts between them ; though there are a few cases of political conflicts between them. the school teachers have many kinds of political rights in U.S. and they also have freedom of association by the U.S. constitution. Additionally it is hard to expect the conflicts of rights among educational authorities, parents and teachers, because many cases about these issues were already established systematically ; even though any conflict happen, it will be legally coordinated at all. In the cases and theory of court, school teachers have the right to associate for labor being inclosed in the freedom of speech. So school teachers, that is meaning they are public officer, don’t receive any restrict by state government when they make association kinds of political, religious and labor. Recognizing educational policies belong to them, the Federal Government and state governments give school districts much of local autonomy and permit them to execute educational policies ; as a result, this leads educational subjects themselves to solve their own conflicts in US. But they have any restriction in political rights when to protect the right of student and to carry out their duty to teach student in the school. In the other respect, they have these right it self as a right but just restricted on the case and code in the State. We need to receive this point when making a law in Korea.

      • KCI등재

        스웨덴 교육복지 법제의 동향과 특징

        노기호 유럽헌법학회 2014 유럽헌법연구 Vol.15 No.-

        국민 기초교육이라고 할 수 있는 초·중등교육은 복지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을 포함한 기초교육과 생계를 위한 직업교육은 무상 의무교육의 범주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저소득층과 이주 근로자 자녀 및 다문화가족 학생 등 교육 취약집단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와 지원정책을 펴고 있는 스웨덴의 사례는 우리에게 사사하는 바가 크다. 이들에 대한 지원은 학교와 지역사회, 가정이 연계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 나가야 한다. 교육 취약집단의 교육문제는 학교의 노력만으로 해결할 수 없으며 가정, 민간단체, 지역사회, 중앙정부가 연대하여 공동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공동의 협력 체제를 구축하는 정책적인 시도가 모색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육복지 법제의 실효성 있는 정착을 위해서는 먼저 근본적으로 교육체제 자체가 균등한 교육을 제공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교육체제가 교육복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조직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이념이 철저한 평등의 원칙에서 출발하여야 하며, 결코 개인적인 환경에 따라 교육을 제공 받을 기회가 제한받는 경우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스웨덴의 경우처럼 교육법령 중에서 상위의 효력을 가지는 교육기본법에 교육복지에 관한 총괄적인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On the occasion of the inauguration of the new government, low-income and underprivileged groups has emerged as a matter of social and educational support for these measures as an important policy. Individuals seeking stable life and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all students, while ensuring social equity in terms of welfare-oriented education are required to interpret. Sweden has long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welfare and education policy is treated as an important part of that. In our training and education welfare legislation implementing welfare policy,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and legislation in Sweden has important implication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including basic education, vocational education and livelihood should be made in the category of free and compulsory education. What can be called the National Basic Elementary Education and Secondary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point of view of welfare. To support for these, schools, communities and families connected to form a network of joint effort would be required to get out. Educational system itself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equ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o function as educational welfare should be so organized. Educational philosophy from the strict principle of equality shall never depend on personal environment. The opportunity to receive training in accordance with the limit is a case to be sure, and these principles should be implicated in the educational welfare legislation. Education Act, as in the case of Sweden, which has the effect of higher education on the Fundamental Law of Education on the overall welfare provisions should be required to regulate. As education is the premise for the realization of welfare policy, education welfare laws establish the legal basis for the comparison of maintenance. The new government's education welfare policies provide the legal basis for the realization.

      • KCI등재

        헌법재판소 결정에 나타난 초·중등교원의 정치활동 규제와 그 한계

        노기호 한양법학회 2022 漢陽法學 Vol.33 No.1

        우리나라의 국·공립학교 교원은 학교 교육의 이행자인 교원으로서의 지위와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인 공무원으로서의 지위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그 결과 학교 교원은 일반 교원으로서의 지위와 국가공무원으로서의 지위에서 파생되는 헌법상의 기본권의 제한을 받게 된다. 그중에서도 특히 정치적 활동과 관련된 기본권은 헌법상의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성 준수 의무와 관련하여 많은 제한을 받고 있다. 그러나 학교 교원의 정치적 기본권은 헌법 제21조와 그 밖의 헌법상의 다른 기본권 조항들에서 보장되는 기본적 인권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교원 자신의 기본적 인권일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올바른 가치관과 세계관을 교육할 교원의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서도 요청되는 중요한 권리이기도 하다. 오늘날 정신적 자유에 대한 기본적 인권은 미국 헌법에서도 다른 기본권에 비하여 특히 우월적인 지위를 인정받고 있으며, 우리 헌법에서도 마찬가지로 인정되고 있는 원칙이다. 일본에서도 최고재판소의 판례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우월적 지위가 인정되고 있다. 즉, 정치활동의 자유 등과 같은 정신적 자유를 제한하는 입법은 위헌성의 추정이 보다 엄격하게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러한 외국의 입법례와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학교 교원의 정치활동의 자유가 거의 전면적으로 광범위하게 제한되고 있다. 즉, 현행 헌법은 제31조 제4항에서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 및 대학의 자율성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보장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헌법상의 원칙을 구현하기 위하여 교육기본법은 제6조 제1항에서 “교육은 교육 본래의 목적에 따라 그 기능을 다 하도록 운영되어야 하며, 어떠한 정치적·당파적 또는 개인적 편견의 전파를 위한 방편으로 이용되어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제14조 제3항에서는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보장을 위한 교원의 정치활동 제한과 관련하여 “교원은 특정 정당 또는 정파를 지지하거나 반대하기 위하여 학생을 지도하거나 선동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 외에도 국가공무원법 제65조* 군산대학교 교수/법학박사제65조(정치운동의 금지) ① 공무원은 정당이나 그 밖의 정치단체의 결성에 관여하거나 이에 가입할 수 없다. ② 공무원은 선거에서 특정 정당 또는 특정인을 지지 또는 반대하기 위한 다음의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투표를 하거나 하지 아니하도록 권유 운동을 하는 것 2. 서명운동을 기도·주재하거나 권유하는 것 3. 문서나 도서를 공공시설 등에 게시하거나 게시하게 하는 것 4. 기부금을 모집 또는 모집하게 하거나, 공공자금을 이용 또는 이용하게 하는 것 5. 타인에게 정당이나 그 밖의 정치단체에 가입하게 하거나 가입하지 아니하도록 권유운동을 하는 것와 제66조 제66조(집단행위의 금지) ① 공무원은 노동운동이나 그 밖에 공무 외의 일을 위한 집단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사실상 노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은 예외로 한다. , 사립학교법 제55조와 제58조 제55조(복무) ① 사립학교의 교원의 복무에 관하여는 국·공립학교의 교원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제58조(면직의 사유) ① 사립학교의 교원이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할 때에는 당해 교원의 임용권자는 이를 면직시킬 수 있다.4. 정치운동을 하거나 집단적으 ...

      • KCI등재

        교육기본권 실현을 위한 전제로서의 교육복지

        노기호 韓國憲法學會 2012 憲法學硏究 Vol.18 No.3

        국민의 교육기본권을 실현하기 위한 전제로서의 교육을 복지의 관점에서 보는 노력이 그 동안 희박하였다. 따라서 국민의 교육기본권을 실질적으로 실현하고 헌법에서 규정하는 “능력에 따른 균등한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전제로서 교육복지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의 우선적인 선결문제가 존재한다. 방법적인 기초로서 교육복지를 정책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근거법령의 정비가 요구된다. 현재 산재되어 있는 교육복지 관련 법령과 규정들을 체계적으로 정비하여 하나의 법령을 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복지의 정책적 근거를 마련한 후에는 그 시행에 들어가는 예산의 확보가 절실하다. 그리고 교육복지 실현의 내용에 있어서는 유아교육과 초․중등교육을 포함하는 기초교육 및 생계를 위한 직업교육은 무상의무교육의 범주에서 이루어지도록 무상교육의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취약집단에 대한 체계적인 실태조사, 정책지원방안, 그리고 교육복지 지원 결과에 대한 평가관리 체계가 수립되어야 한다. 우리의 교육현실에서 교육취약집단에 대한 지원은 주로 학비, 급식비 지원 수준에 머물러 있으나, 교육비지원의 규모도 점차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며, 한편으로는 이들에 대한 지원체계를 수립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는 교육당국, 지방자치단체, 지역사회, 민간단체 등이 망라되어 교육취약집단의 교육적 환경을 효과적으로 조성하는 데 노력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Efforts viewing from the perspective of welfare education as a prerequisite for the realization of people's educational basic rights was unlikely in the meantime. So people actually realize the basic rights of education provision in the Constitution and the “equal right to education according to ability” as a prerequisite for ensuring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outreach to some of the first issue, there are a prerequisite. Educational welfare policy as a methodological basis for the enforcement of the law maintenance i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enact the statute are scattered in the current educational welfare laws and regulations and a systematic maintenance. This training laid the basis of welfare policy goes into effect once and it is imperative to secure the budge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welfare and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omes to the conten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cluding vocational training for basic education and livelihood of the free and compulsory education to occur in the category of free education. Finally, a systematic training in the Survey of vulnerable groups, and policy support measures, and results of assessment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system. In reality, our educational support for vulnerable groups, mainly education tuition, meals, stay on the level of support, but also boosted the size of the educational subsidy will need to get one hand, support for these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This includes education authorities, local governments, communities, private organizations,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encompass education of vulnerable groups in our efforts to effectively create should concentrate.

      • KCI등재후보
      • 인간복제의 헌법적 문제

        노기호,정문식 대한변호사협회 2004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29

        인간복제문제의 경우 일반적인 다수의견은, 인간복제가 인간의 존엄성에 위배되기 때문에 완전히 금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생명·유전공학 논쟁에서는 인간의 존엄성보다 생명권이 문제가 되는 것으로, 인간복제 문제도 다른 헌법상의 이익들과 형량될 수 있고, 또 되어야 한다고 하겠다. 먼저 인간 배아에게도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권이 인정된다. 헌법상 보호되는 생명권은 정자와 난자의 결합(수정)시로부터 본다. 그렇다고 생명권침해와 인간의 존엄성침해를 동일하게 취급해서는 안 된다. 배아의 생명을 끊는 것이 반드시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때, 배아의 인간의 존엄성이나 생명권을 인정하는 문제와 배아의 인간의 존엄성이나 생명권 침해를 인정하는 문제는 분리해서 다루어져야 한다. 복제가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한다는 주장은 실제로 그 면면을 살펴보면 설득력이 없어서 더 이상 지지되기가 어렵다. 창조에 대한 침해라든지, 인간의 도구화라든지 하는 것들은 종교나 철학의 일면에서 주장될 수 있는 것이지, 인간의 존엄성 침해의 정확한 기준이 되지는 못한다. 무엇보다 인간은 단순히 유전자 총체가 아니라, 주변환경과 상호적응하며 발전해 나가는 개별적인 인격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탄생 등에 대해 모를 권리가 있다는 주장도 설득력이 없다. 인간복제에 반대하는 설득력 있는 근거라면, 복제에 따르는 실제적 위험인데, 기술의 발전을 고려한다면, 금지하더라도 완전금지는 무리가 있다. 결국 전체적으로 인간복제에 있어서 인간의 존엄성 침해에 대한 주장은 근거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복제기술을 합리적으로 다루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하는데, 치료복제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정당화할 수 있는 목적이 있기 때문에 인정되어야 하며, 출생복제의 경우에도, 질병이나 고통, 변종 등에 대한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이와 관련된 개개의 경우를 형량해야 한다. 법의 목적은 다룰 수 있는 것을 다루고, 다룰 수 없는 것은 피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복제도 일방적으로 금지할 것이 아니라, 이에 대한 구체적인 위험에 대처하고, 법적으로 충돌하는 이해관계들을 정의하며, 실제적 조화란 의미에서 피해가 가장 적은 적절한 조정을 이루어 낼 필요가 있으며, 그 책임은 입법자들에게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학생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국가 교육권한의 범위와 한계

        노기호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圓光法學 Vol.24 No.4

        학습권은 학습과 지적 탐구라는 인간의 본성에 근거한 권리로서 인간적인 성장․발달의 권리이자 문화적인 생존의 권리이며 국민주권의 원리를 실현하는 권리이기도 하다. 이러한 학습권은 헌법의 명문규정에 의하여 인정될 뿐만 아니라 교육에 관한 기본권으로서 헌법 원리상 인정되는 헌법적 자유이기도 하다. 또한 국민의 학습권은 기본적 인권의 하나이며 국민주권의 원리를 실현하는 기본권이기도 하다. 오늘날의 공교육제도에서 대부분의 국가는 헌법에 의하여 인정되는 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할 의무를 지고 있으며, 이러한 의무를 이행하고 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교육정책을 적극적으로 실현하고 있다. 교육에 관한 국가의 권한의 범위와 관련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다수설은 교육의 외적 제 조건의 조성의무뿐만 아니라 교육내용에 대한 결정권까지 포함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국가의 교육권한과 관련하여 교육의 외적 조건이 아닌 교육내용에 대한 국가의 지배․개입의 권한을 전면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결국 오늘날의 공교육제도 하에서 국가는 교육의 모든 외적 조건을 정비해야만 하지만,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학생의 학습권 보장을 위하여 교사의 교육활동의 자유와 독립을 보장하는, 필요최소한도의 제한된 범위의 대강적 사항에만 관여하여 하는 것이 타당하다. The right to learn is based on the nature of human being to learn and to research the truth. And this is the right to grow and develop the ability as human being and the right to cultural life. And this is the right to true out the principle of national sovereignty. This right to learn of student is guaranteed by the article of the constitution and the constitutional freedom recognized by the principle of constitution as the fundamental right to education. And the right to learn of the citizens is one of the fundamental right and the fundamental right to realize the principle of national sovereignty. Under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n these days, most nations have the duty to guarantee the right to learn of student by constitution and are realizing the educational policy to carry out these duty and to guarantee the right to learn of student. The major theory in the Korea relating to the boundary and limit of the nation's authority for education is that it's included not only the duty to make external environment of education but also the right to decide the contents of education. But there are some problems for the nation to have educational authority to decide not the external environment of education but the contents of education exclusively. Finally, under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n these days, the nation has to arrange the every external environment of education. But it is resonable and right to guarantee the freedom and right to education of school teachers for the right to learn of student the contents of education only. And it is needed to control the outline factors limited boundaries as a necessary condition.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