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IGCC 발전용 가스화기에서 증기 주입량이 합성가스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경남,유호선,Keum, Kyung-Nam,Yoo, Ho-Seon 한국플랜트학회 2019 플랜트 저널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정격 합성가스 생산량이 54.33 kg/s인 태안 IGCC 발전소 가스화기를 대상으로 가스화기 산소부하가 일정한 운전조건에서 석탄 공급량을 고정하고 증기 주입량을 변화시킬 때 증기 주입량이 합성가스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증기 주입량은 가스화기 운전지침서의 증기 주입량 0.28 kg/s 및 0.32 kg/s 까지 변동하며 운전하였고, 최대 합성가스 평균 생산량은 가스화기 산소부하 80 % 및 90 %에서 증기 주입량 0.14 kg/s 및 0.15 kg/s 일 때 측정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증기 주입량 조정만으로 합성가스 생산량이 변화 하고, 증기 주입량 증가시 합성가스 생산량은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특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추가 석탄 공급 없이 증기 주입만으로 합성가스 생산량을 증가 시킬 수 있고, 석탄의 성분 및 조성에 따라 가스화기의 합성가스 생산량이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는 바, 시험에서 사용된 카보원 석탄을 사용하는 가스화기는 산소부하 80% ~ 90 %에서 운전시 석탄 버너 당 증기 주입량을 약 0.14 kg/s 에서 운전하는 것이 추천된다. In the study, the effect of steam injection on syngas productivity was investigated under the constant operating conditions of gasifier oxygen load while the coal feed was fixed and the steam injection flow rate is changed in Taean IGCC plant. The maximum syngas average productivity was found to be at 80 % and 90 % of gasifier oxygen loads with the steam injection flow rate of 0.14 kg/s and 0.15 kg/s per coal burner. Through this study, the syngas productivity was changed by adjusting the steam injection amount and as the steam injection flow rate increased, the syngas productivity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again. The syngas productivity can be increased only by steam injection without supplying additional coal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syngas productivity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coal type. Thus it is recommended to operate the gasifier using Carbo-One coal with the steam injection flow rate of about 0.14 kg/s per coal burner when the gasifier oxygen load is 80 % ~ 90 %.

      • 지역방재력 평가제도 분석 : 일본의 지역방재력 사례를 중심으로

        경남(金炅南),백민호(白珉浩),권건주(權建周)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2009 국가위기관리연구 Vol.3 No.2

        일본의 지역방재력 사례조사 결과 내각부는 감시, 피난, 정보, 피난유도, 방재체제, 재해인지도 등 6개 분야 25개 문항으로, 일본 소방청은 재해상정, 정보수집, 조직, 판단지도력, 주민계발력, 시설안전력 등 6개 분야 58개 문항으로서 지역방재력을 평가하고 있다. 또한, 동경 소방청은 주민의 지역방재력과 각 분야별 활동에 대한 지역방재력 그리고 사업소의 방재력 등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고, 시즈오까현은 8개 분야 125개 문항으로 구성된 평가표를 적용하고 있었다. 일본 사례조사의 경우 국가단위기관은 지역방재력 발휘의 요소에 대한 조사가 주류를 이루는 반면 일본의 광역지자체는 보다 구체적인 활동 역량을 조사하는 평가표로 구성되어 있어 각각의 조사주체에 따라 지역방재력의 평가지표가 다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소방방재청의 기초지자체 대상 평가항목이 거의 유일한 지역방재력 종합평가표이나 향후 각 지자체별 관련 평가표 개발에 있어 평가의 목적과 주체를 고려하는 것이 지역방재력 평가 성공의 전제조건이라 판단된다.

      • 지역재난관리의 주민조직 활성화 방안 연구 : 주민의식조사를 중심으로

        경남(金炅南),권건주(權建周),엄준식(嚴浚植)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2007 국가위기관리연구 Vol.1 No.1

        지역재난관리 주민조직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시군 재난관리 부서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 지자체의 관련 부서는 평시 선응적 재난관리 활동 참여를 유도하고 방재단 활동에 따른 금전적 기대감의 해소를 위한 자율, 자주의 의미를 적극 홍보한다. 둘째, 주민 재난관리 활동 매뉴얼과 지침의 준비가 필요하다. 현재의 방재단 활동미흡과 자율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하는지에 대한 설명과 방법이 필요하다. 셋째, 단체장과 시군의회의 대표자가 참여하는 방재단연찬회, 교류회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방재단 주관의 여러 행사를 통하여 주민간의 교류, 연대가 시작되고 단체장이 참여함으로써 대표성이 부여되고 방재단 활동여건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넷째, 방재단을 지원하는 “사람만들기” 이다. 흔히 방재리더 육성이라고 하는 것으로 적절한 자질과 준비태세가 갖추어진 단원을 대상으로 방재리더를 육성하고 이들에게 맞춤형 교육, 학습과정을 제공한다면 이들이 방재단 활성화의 밑바탕이 될 것이다. 다섯째, 방재단원에 대한 교육, 훈련의 지원이다. 이를 위해서 지자체의 공공시설을 이용한 방재강좌와 연수회의 개최가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활성화 방안은 방재단 뿐만아니라 다른 주민조직에서도 대동소이하게 요구되고 있으므로 타 분야의 활성화 방안을 토대로 각 지역별 방재단 실정에 적합한 대책들을 강구하고 실천함으로써 방재단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1894-1930년 `전통도시` 전주의 식민지적 도시개발과 사회경제구조 변용

        경남(金慶南) 한일관계사학회 2015 한일관계사연구 Vol.51 No.-

        본고는 일제가 제국주의 전쟁을 치르면서 한국을 침략함에 따라 추진된 식민도시개발의 한 유형으로서, 전통적으로 전북지역의 중심도시인 전주를 중심으로 도시개발 특성과 사회경제구조 변화상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근대도시는 일제의 침략전쟁과 함께 전략적으로 개발되었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전통도시’전주의 경우도 청일전쟁과 동학농민전쟁의 전쟁터였기 때문에 일제는 전략적 군사적 목적에 따라 통신망, 도로, 철도 인프라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강제병합 이후 일제는 부제, 면제를 통해 전통도시를 선억압하는 정책을 취하였다. 군산, 부산, 인천 등은 ‘부’로 성장하였고, 전통도시 전주부는 전주군의 여러개 면으로 나누어져 그 중심부 4개면을 전주면으로 지정하였다. 둘째, 전주에는 상대적으로 소규모 일본인 사회가 형성되었으며, 전라북도청이나 전주면을 일본인들이 장악하게 됨으로써 일본인 중심 시가지를 대정정 1정목에서 7정목까지 만들었다. 이 과정은 일본인이 전주를 침탈하는 과정으로서 중심시가지가 변형되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종교시설 종묘나 향교시설 등은 구성곽 밖에 설치되어 있었던 것에 비해, 새로 들어온 일본사찰, 기독교, 천주교 등 외래 종교 관련 시설물들은 새로 형성된 도심지역에 배치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도시형성 과정은 전주의 지역 로칼리티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1920년대 전주에는 일본인 중심의 신시가지가 만들어지고 상공업지구가 형성되었다. 이에 지물업, 공예업, 직물업, 약품업 등 수십년간 경영 노하우를 가지고 있던 한국인 중소 상공업자본가들은 본정, 대화정, 다가정을 중심으로 큰 상점을 경영하였다. 또한 1920년대 한국 전체 공업의 특징과 같이, 전주지역에도 값싼 노동력에 주목한 노동집약적 공업이 발달하였고, 기계기구공업은 거의 전무한 전형적인 식민지형 산업구조를 나타낸다. 전주에는 방적공업, 식료품공업, 생사공업, 인쇄공업 등에서 약 1천명 이상의 공장노동자가, 도시서비스부문에서 관료, 의사, 은행원, 회사원 등이 급료생활자가 형성되어, 자본주의적 사회경제구조로 변화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일제가 전략적으로 신설한 개항장 도시와 ‘전통도시’의 식민지적 개발 양상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명히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종래 개항장에서 성장한 도시를 중심으로 연구되던 경향을, 전통도시의 변형과정을 고찰함으로써 근대 도시 연구에서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변형된 근대도시에 대한 총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기반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