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Huff 방법에 의한 강우특성 분석

        황주하 ( Hwang Ju-ha ),맹승진 ( Maeng Seung-jin ) 한국농공학회 200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8 No.-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composing rainfall pattern while considering rainfall characteristics. The application areas are Namgang, Hapcheon and Boryeong basin areas. This research presented a rainfall pattern for the 3 dams using Huff's method while considering hydrologic properties of rainfall. The result of the rainfall analysis show that Namgang and Hapcheon dam are 2nd quatile rainfall, Hapcheon and Boryeong dam are 3rd quatile rainfall.

      • IoT를 접목한 빗물저류조 시스템 개발

        황주하 ( Juha Hwang ),무하마드아잠 ( Azam Muhammad ),손재찬 ( Jaechan Son ),맹승진 ( Seungjin Maeng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전 세계적으로 집중호우, 홍수, 가뭄 등 기상이변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홍수기와 갈수기가 뚜렷해지고, 이에 따라 수자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물의 재이용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재정하여 효율적인 빗물 관리에 주력을 하고 있으나, 체계적인 빗물관리는 미흡한 실정이다. 빗물자원의 대부분은 바다로 유입되어 소모되거나, 하수로 유입되어 불필요한 고도처리 공정이 진행되고, 하수처리장 용량에 과부하를 발생시키는 등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갈수기시 농가에서 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용수 운반장치 등 기반구축이 쉽지 않으며, 인력 부족으로 정상적인 용수공급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과거 지하수와 농업용 저수지에 의존했던 용수관리방식만으로는 가뭄 발생시 부족한 용수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지하 빗물저류조를 이용하여 빗물을 경작에 필요한 용수로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표는 빗물을 활용하기 위한 저류조에 최신 IoT기술을 접목하여 어디서든 간편하게 저류조에 집수되어있는 빗물을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빗물을 더욱 효율적이고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수자원 활용 증대, 빗물이용 시설의 확대보급, 공급설비 및 예산저감, 양질의 농업용수확보, 농업기술의 첨단화를 기대 할 수 있다.

      • HEC-HMS의 매개변수 선정에 따른 PMF 특성 분석

        황주하 ( Juha Hwang ),시강 ( Shi Qiang ),김형산 ( Hyungsan Kim ),맹승진 ( Seungjin Maeng ),이순혁 ( Soonhyuk Lee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최근 세계적인 기상이변으로 인해 이상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상홍수로 인해 수해 규모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국지성 호우로 인한 피해규모도 증가하고 있어 홍수량과 설계홍수량에 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는 측면에서 연최대 홍수량의 발생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하는 PMF 추정에 관해 분석하였다. PMF의 신뢰성 있는 산정을 위해서는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단위도를 우리나라 유출특성을 고려하여 검토하고 매개변수 중 저류상수(K), 집중시간(Tc) 및 기저유량(감수상수, 초기기저유량, 및 Threshold 유량) 등을 산정하기 위해 수문곡선상에서 독치하여 추정시 변곡점 선정 및 검증방안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유역인 남강댐의 14개 호우사상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여 매개변수 결정의 중요성을 판단하기 위해 신뢰성이 있는 HEC-HMS 유출 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표 단위도 선정을 위해서 관측치를 활용한 최대 단위도 개념을 적용하여 HEC-HMS에 의해 추정되는 PMF는 초기 매개변수 값의 결정에 의해 값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매개변수간 민감도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매개변수의 초기값 선정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최적화를 통해 최대개념의 매개변수를 선정하여 HEC-HMS 모형에 의해 PMF를 추정한 결과 본 연구를 통해 개선된 최대매개변수 방법의 적용성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 영산호, 영암호, 금호호 이수모형 개발

        황주하 ( Juha Hwang ),맹승진 ( Seungjin Maeng ),이승욱 ( Seungwook Lee ),전경수 ( Kyeongsoo Jeon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우리나라는 경제사회의 급격한 발전과 주변 환경의 많은 변화가 있었고, 이에 따라 당초계획을 검토하면 개발면적과 몽리면적의 내용별 증감, 용수의 다양화 및 추가 수요 등이 크게 대두되었다. 또한 당초 계획 때 보다 확률강우량이 증대되고, 담수호가 축조된 지 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퇴적으로 인한 내용적 감소현상이 나타나는 등 수문조건이 변화하였다. 이에 2008년부터 시작된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일환으로 영산강 본류에 건설된 승촌보와 죽산보로 인해 보 건설 전의 영산강 하류의 유황이 건설 후 변경되어, 기존에 운영하던 영산호, 영암호 및 금호호의 새로운 배수문과 제수문 조작 방법을 제시해야하는 상황이 도래하였다. 따라서 이수관리를 위해서는 일단위 또는 주간, 순간, 월간 및 연단위의 유출을 연속적으로 모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의 수문모형 중, 장단기 물 관리 시스템 구축 및 적용에 활용된 SSARR 모형을 선정하였으며, 이 모형을 기반으로 3개호의 이수체계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영산호, 영암호 및 금호호의 물순환 과정을 새로 정립하고, 이를 반영한 통합물관리 시스템 구축에 탑재될 개념적인 강우-유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담수호 물관리 효율화를 위한 시스템 구축방안을 수립하였다. 따라서, SSARR 모형을 통한 장단기 유출모형을 이용한 영산호, 영암호 및 금호호 연계분석, 신뢰성이 확보된 자료를 통한 유입량 비교 분석 및 보정, 댐·보 연계 운영기법에 의한 용수공급능력평가 등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친환경 초기우수대응시설 운영관리 기술 개발

        황주하 ( Juha Hwang ),황규영 ( Gyuyoung Hwang ),윤종현 ( Jonghyun Yoon ),맹승진 ( Seungjin Maeng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최근 신호등을 없애고 교차로 중앙에 원형 교통섬을 만들어 교차로 꼬리물기, 신호위반 등 교통안전 향상과 교통사고 감소 및 불필요한 신호대기시간 감소에 대한 효과가 입증되어 회전교차로의 설치가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화, 산업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녹지면적 감소, 불 투수면적 증가, 친수 공간 감소 등과 같이 환경적 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물 자원관리에 있어 문제점들이 일어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하천유량 감소, 홍수피해의 증가, 수자원확보 및 하천수질관리의 어려움, 열 환경의 심화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차로 중앙의 원형 교통섬을 만들어 친환경 생태공간으로 조성하고 쾌적한 도시 환경 유지를 제시함과 동시에 집수된 빗물을 활용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제어를 위한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는 App 등을 개발하여 활용성에 대한 방향설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회전교차로 내 초기우수대응시설 운영관리는 센서를 통한 데이터 취득, 데이터 전송 그리고 제어 등의 기술이 복합적인 작용을 통해 운영되어야 하며 4차 산업혁명의 최신기술인 IoT기술을 활용한 융합기술로 빗물저류조, 센서, 펌프 등 시설물을 안정적으로 유지·관리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회전교차로의 원형 교통섬 유지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및 제어기술 개발과 관련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고 활용방안 제시와 함께 최적 운영을 위한 장치 설계와 빗물활용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제어장치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교통섬 하부공간의 효율적인 활용 및 초기우수배제, 소규모 분산형 빗물관리 측면에서 유익한 연구과제로 향후 관련기술의 상용화가 되었을 때 경제적인 효율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빈도분석에 의한 저수지 유입량 산정

        맹승진,황주하,시강,Maeng, Seung-Jin,Hwang, Ju-Ha,Shi, Qiang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1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optimal probability distribution based on design accumulated monthly mean inflow from the viewpoint of drought by Gamma (GAM),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Generalized logistic (GLO), Generalized normal (GNO), Generalized pareto (GPA), Gumbel (GUM), Normal (NOR), Pearson type 3 (PT3), Wakeby (WAK) and Kappa (KAP) distributions for the observed accumulative monthly mean inflow of Chungjudam. L-moment ratio was calculated using observed accumulative monthly mean inflow. Parameters of 10 probability distributions were estimated by the method of L-moments with the observed accumulated monthly mean inflow. Design accumulated monthly mean inflows obtained by the method of L-moments using different methods for plotting positions formulas in the 10 probability distributions were compared by relative mean error (RME) and relative absolute error (RAE) respectively. It has shown that the design accumulative monthly mean inflow derived by the method of L-moments using Weibull plotting position formula in WAK and KAP distributions were much closer to those of the observed accumulative monthly mean inflow in comparison with those obtained by the method of L-moment with the different formulas for plotting positions in other distributions from the viewpoint of RME and RAE.

      • KCI등재

        확률가중모벤트의 차수 변화에 따른 홍수량 변동 특성 분석

        맹승진(Maeng, Seung-Jin),황주하(Hwang, Ju-Ha)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5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수위관측소들 중에서 관측 유량이 검증된 총 19개 유역을 선정하고 관측된 홍수량을 사용하여 적정 설계홍수량을 유도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설계홍수량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상유역별로 관측개시년도에서 부터 분석 시작년을 기준으로 1년씩 증가 시키는 점진적 구성 방식으로 연최대홍수량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연강우량 변동특성을 이동평균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19개 대상유역에 대한 연최대홍수량 계열 구성 기간별로 기본통계치를 산정하고 독립성, 동질성 및 Outlier 검정을 실시하였다. Gumbel, Generalized Extreme Value, Generalized Logistic 및 Generalized Pareto 분포의 적합도 검정을 LH-모멘트비도와 Kolmogorov-Smimov 검정에 의해 수행하였다. 적정 확률분포로 선정된 GEV 분포의 매개변수를 확률가중모멘트의 차수 변화에 의한 L, L1, L2, L3 및 L4-모멘트법에 의해 추정하고 대상유역 및 연최대홍수량 계열 구성 기간별 설계홍수량을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동률 분석에 따라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우리니라 기후 변화를 고려한 적절한 수리구조물의 설계 조건 변경시기는 2002년 전후로 하여야 할 것 이다. In this research, various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s design flood have been examined by deriving appropriate design flood , using data obtained from careful observation of actual floods occurring in selected main watersheds of the nation. 19 watersheds were selected for research in Korea.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annual rainfall were analyzed by using a moving average metbod. The frequency analysis was decided to be performed on the annual maximum flood of succeeding one year as a reference year. For the 19 watersheds, tests of basic statistics, independent, homogeneity, and outlier were calculated per period of annual maximum flood series. By performing a test using the LH-moment ratio diagram and the Kolmogorov-Smirnov (K-S) test, among applied distributions of Gumbel (GUM),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Generalized Logistic (GLO) and Generalized Pareto (GPA) distribution was found to be adequate compared with other probability distributions. Parameters of GEV distribution were estimated by L, L1, L2, L3 and L4-moment method based on the change in the order of probability weighted moments. Design floods per watershed and the periods of annual maximum flood series were derived by GEV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performed by using variation rate used in this research,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time for changing the design conditions to ensure the proper hydraulic structure that considers recent climate changes of the nation brought about by global warming should be around the year 200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