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청소년기 여자에서 고칼슘 섭취가 아연과 구리 평형에 미치는 영향

        최보영(Bo-Young Choi),남혜경(Hye-Kyoung Nam),황용주(Young-Joo Hwang),김선희(Sun-He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5

        건강한 16세 여고생 8명에게 한국인 권장량 수준인 800 mg의 칼슘을 함유한 정상칼슘식사를 1주간 섭취시키고, 그 다음 주에 1200 mg Ca을 함유한 고칼슘식사를 제공하였다. 이 때 정상칼슘식사에서는 6.57 mg의 아연과 910 μg의 구리를 함유하였으며 고칼슘식사에서는 6.37 mg의 아연과 812 μg의 구리를 평균적으로 함유하였다. 해당 식사를 제공하고 4일째부터 3일간 뇨와 대변을 매일 수집하였으며 음식과 뇨, 변 중 구리와 아연 함량을 정량분석하여 외견적 흡수율 및 체내 보유량을 계산하였다. 구리 및 아연의 평형대사 실험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연의 대사평형을 보면, 고칼슘식사 섭취시의 뇨와 대변 중 아연 배설량은 정상칼슘식사시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아연의 체내 보유량은 고칼슘식사 섭취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구리의 대사평형을 보면, 고칼슘식사 섭취시 대변을 통한 구리 배설량은 19.2 μg으로 정상칼슘식사시의 11.4 μg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따라서 외견적 흡수율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소변을 통한 구리의 배설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구리의 체내 보유량은 고칼슘식사시에 792 μg으로 정상칼슘식사시의 899 μg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200 mg의 칼슘식사를 섭취하면 청소년기 여성에게서 구리와 아연의 외견적 흡수율이 감소하고, 대변을 통한 배설이 증가하며, 체내보유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등 대사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칼슘의 다량 섭취는 미량원소의 대사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필요한 미량원소의 경우 장에서 흡수시에 무기질간의 경쟁을 고려하여 적절한 양을 섭취하도록 권장량 설정에서 고려해야 할 것이다. Intakes and excretions of zinc and copper were determined for 8 female adolescents (aged 16.4±0.5 y; body mass index 20.4±1.3 kg/㎡; body fat 33.3±2.5%; bone mineral density of lumbar spine in L2-L4; 0.96±0.08 g/㎠) when they consumed diets basal and high in calcium for 6 days each. All subjects consumed a basal Ca diet containing 800 mg, Korean RDA level of the subjects, and a high Ca diet containing 1200 mg, RDA plus 2 SDs of calcium intake. The diets provided 58% of energy intake as carbohydrate, 25% as fat, and 17% as protein. Food, urine and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during the last 3 days of each feeding period and were assayed. Mean daily intakes on the basal and high calcium diets, respectively, were 6.57 and 6.37 mg for zinc and 910 and 812 μg for copper. Fecal excretion of copper and zinc in relation to intake was significantly greater on the high calcium than on the basal calcium diet. Hence, apparent absorption rate was significantly lowered from 98.7% on the basal calcium diet to 97.9% on the high calcium diet for zinc and from 66.3% to 56.4% for copper, respectively. Urinary loss of copper was not detectable but that of zinc was 0.38 mg on the basal diet and 0.47 mg on the high calcium diet. Copper retention was 899±105 μg/day on the basal calcium diet and 792±20.8 μg/day on the high calcium diet, and zinc retention was 3.95±0.91 mg/day and 3.11±0.89 mg/day. Thus, copper and zinc reten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high calcium diet (p<0.05). Summarizing the results, apparent absorption and retention of zinc and copper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calcium supplementa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interactions among minerals should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RD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