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시재생 정책의 흐름과 실현에 관한 연구

        황수빈(Hwang, Su Bin),지욱(Hwang, Jee Wook) 한국지역개발학회 2021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eal whether the improvement of urban regeneration policies is being properly realized in the promo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scop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urban regeneration policies by period from 2014 to 2020 and the current status and implementation evalua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argeting Jeollabuk-do.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s selection through analysis of changes in urban regeneration policies were “introduction of national support” in 2014, “strengthening support systems” in 2016, “expanding participation in public institutions” and “differentiation between regions” in 2019, and “strengthening implementation capabilities” in 2020. As such, urban regeneration policies have been supplemented in various aspects, and among them, the system has been continuously improved by focusing on the “execution power of the project” that encompasses “appropriate scale,” “early initiation,” and “implementation capabilitie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se policies, the appearance reflected in the promotion of local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Jeollabuk-do was found to be the priority designation of business areas and the reduction of spatial scale. Furthermore, in light of the 2019 implementation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selected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overall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was insufficient due to the securing of sites that could be secured at the planning stage, lack of detailed implementation measures, and lack of governance. In the end, the government’s continuous efforts to increase the execution power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limited to the level of preparing requirements for local governments to apply for projects such as establishing higher-level plans and setting appropriate project size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is did not yet reach the establishment of a plan to implement actual projects, such as securing reasonable sites and preparing implementation plans. He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limitations of not high performance of the project due to the integrated promotion of social, economic, and physical functions, which are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the head of governance between various subjects. In addition, this phenomenon was not simply viewed as a problem only for local governments in charge of the project, but was judged as a task that the government should solve together. As a result, in order for what is pursued through urban regeneration policy improvement to be properly realized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plan local urban regeneration must be accompanied, and a system that can support and supplement it must be prioritized.

      • KCI등재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고속/시외버스의 사용성평가 시나리오 및 지표 개발

        황수빈 ( Hwang Su-bin ),김종배 ( Kim Jong-bae ),홍현 ( Hong Hyeon ),모세 ( Hwang Mo-se ),장완호 ( Jang Wan-ho ),김정현 ( Kim Jeong-hyeon ),김정란 ( Kim Jeong-ra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2

        본 연구는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고속/시외버스의 사용성평가 시나리오 및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포커스그룹인터뷰, 델파이기법을 활용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사용성평가 항목을 도출하고,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해 사용성평가 시나리오 초안을 개발하였다. 12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1차 및 2차 델파이조사를 통해 사용성평가 시나리오 및 평가지표를 검증하였다. 1차 델파이조사 결과, 휠체어 사용 대상자 및 버스기사 대상자를 위한 사용성평가 시나리오가 각각 2가지 항목이 추가되었으며, 일부 시나리오 내용의 정의가 더 명확하게 수정되었다. 하위지표로는 성공여부, 오류횟수, 오류번호, 과제노력도, 수행시간, 기술수용도, 과제난이도, 제품만족도가 도출되었다.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휠체어 사용 대상자 및 버스기사 대상자를 위한 사용성 평가지표는 각각 3개의 사용성 상위지표와 12개의 하위지표, 10개의 세부지표로 구성되었다. 사용성평가 시나리오는 휠체어 사용 대상자를 위한 2개의 수행영역과 8개의 수행과제로 구성되었고, 버스 기사 대상자를 위한 4개의 수행영역과 14개의 수행과제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사용성평가 시나리오 및 지표를 기반으로 향후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고속/시외버스의 사용성 평가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cenarios and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usability test of express/intercity buses for wheelchair users. The research methods used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delphi technique.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usability evaluation items were derived and the usability evaluation scenario draft was develop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Twelve experts were tested for usability evaluation scenarios and evaluation indicator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s. As a result of the first delphi survey, two usability evaluation scenarios for wheelchair users with disabilities and bus drivers were added, and some of the definition of scenarios were more clearly modified. Sub-indicators were success, error frequency, error number, task effort, performance time, task acceptance, task difficulty, product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econd delphi survey showed that the usability evaluation indicators for wheelchair user and bus driver subject was composed of three usability upper-indicators, 12 lower-indicators and 10 detailed-indicators, respectively. The usability evaluation scenarios consisted of 2 performance areas and 8 performance tasks for the wheelchair users and 4 performance areas and 14 performance tasks for bus driver subjects. Based on the usability evaluation scenarios and indicators derived from this stud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express/intercity buses for wheelchair users in the future.

      • KCI등재
      •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삶의 질에 대한 동향 분석 : 2011년~2021년 논문을 중심으로

        윤혜정(Yoon Hye Jeong),예림(Hwang Ye Rim),수빈(Youn Su Bin) 한국장애인재단 2021 장애의 재해석 Vol.2021 No.-

        본 연구는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삶의 질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삶의 질 관련 연구에 대한 향후 연구 방향과 주제를 모색하고 활성화시키며, 근로 장애인을 위한 방안 마련과 제언적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이는 현재 장애인일자리사업이 갖는 현실적인 문제와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연구 방향에 길잡이가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논문, 학위논문(박사), 학위논문(석사) 34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제언 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삶의 질 관련 연구는 2011년~2017년 사이 급증하였고, 그 이후 다소 주춤한 동향을 보이고 있다. 둘째,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삶의 질 관련 연구의 주제는 장애인 일자리사업과 영향요인의 주제에 편중되어 이루어져 온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삶의 질 관련 연구의 대상은 장애인고용패널조사 등의 문헌대상이며 연구대상이 가장 다양하게 나타난 시기는 2017년~2019년이다. 넷째,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삶의 질 관련 연구의 자료수집방법은 양적연구가 32편(94%)을 차지하였으며, 양적 연구 중 실험법을 통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직무개발 및 배치를 통한 고용의 질 향상’, ‘물리적, 사회적인 근무환경 개선’ 등은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삶의 질 관련 연구에서 10년동안 꾸준하게 제시되는 제언이며 최근 2020년대에 들어서, 초기에는 제시되지 않은 새로운 제언들의 패러다임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양적인 분석과 적은 연구대상으로 심층적 분석에 어려움을 가짐을 밝히며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을 제고한다. 또한, 이에 관련된 현실적 문제를 개선하고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현대적인 패러다임을 수반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on job program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 d, sought and activa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topics on job program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and suggested a new paradigm for the disabled.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that serves as a guide to the direction of research that can respond to the practical problems and demands of the current job program for the disabled. To this end, from 2011 to 2021, 34 academic papers, dissertation (Doctor’s/Master"s thesis) published in Korea were analyzed for research period, research topic,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suggestion tre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job program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increased rapidly between 2011 and 2017, and has been somewhat stagnant since the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opics of research related to job program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topics of job programs for the disabled and influencing factors. Third, the subjects of research on job program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are personal subjects such as the Employment Panel Survey for the Disabled, and the most diverse subjects were from 2017 to 2019. Fourth, 32 quantitative studies(94%) accounted for the data collection method of research related to job program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and most of the quant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through experimental methods. Finally, “improv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through job development and placement” and "improving the physical and social working environment" are proposals that have been steadily presented for 10 years in research on job program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and in the 2020s, a paradigm of new proposals has emerged. This study reveals that it is difficult to analyze in-depth with quantitative and small research subjects, and enhances interest in job program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research that can improve the practical problems related to this reserch,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involve a modern paradigm is needed.

      • KCI등재

        스케일링 교육경험 및 치과위생사의 태도가 치과공포에 미치는 영향

        서지수(Ji-Soo Seo),황수빈(Su-Bin Hwang),정유빈(YuYeon Jung) 한국산업기술융합학회(구.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2023 산업기술연구논문지 (JITR) Vol.28 No.4

        구강병과 같은 만성질환은 정기적인 검진과 예방 시술을 통해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치과공포로 치과치료가 필요할 때 내원하지 못해 구강건강관리를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강원도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20대 에서 60대의 성인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297명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치과공포도를 측정하고, 수집된자료는 SPSS 22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치과공포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스케일링 교육경험에 따라 공포도가 낮았다. 또한, 치과위생사의 스케일링에 대한 전반적 설명을 동반하거나 치과위생사의 친절도는 대상자의 공포도를 낮게 하는데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 대상자가 치과공포를 극복하고 치과에 내원하여 예방처치에 참여하여 건강한 구강에서 전신건강까지 관리할 수 있도록 치과위생사들의 구강보건교육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incidenc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oral diseases can be reduced through regular dental checkups and preventive procedures. However, some individuals are unable to visit dental clinics when necessary due to a fear of dentistry.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on 297 adults in their 20s to 60s living in Gangwon-do and Gyeonggi-do to measure dental fear,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 Dental fear increased with age however, it decreased with scaling education experience. In addition, the dental hygienist's friendliness and general explanation of scaling were important factors in lowering the subject's dental fear. Therefore, oral health education by dental hygienists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fear of dentistry, visit the dentist, participate in preventive treatment, and manage oral cavity and overall health.

      • KCI등재

        한국형 휠체어 탑승 고속버스에 대한 사용성 연구

        김정현(Jeong-Hyun Kim),김종배(Jongbae Kim),황수빈(Su-Bin Hwang),장완호(Wan-Ho J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7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휠체어 탑승 가능한 고속버스의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여 휠체어 탑승 시스템에 대한 효과성, 효율성,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수동휠체어 사용자 11명, 전동휠체어 사용자 9명을 모집하여 휠체어 탑승 버스 승차하기, 휠체어로 내부에서 이동하기, 휠체어 탑승 버스 하차하기의 3가지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효과성은 과제 성공 여부로 측정하였으며, 효율성은 과제의 난이도와 수행의 노력도, 만족도는 제품에 대한 수용도와 전반적인 시스템 사용도 지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휠체어 사용자 20명은 3가지 시나리오 수행을 완료하였으며, 효율성에서 난이도 측정결과0.33점(적당하다)과 1.36점(조금쉽다) 사이에 분포 하였다. 수행의 노력도는 8.36점(전혀 힘들지 않음)부터 11.78점(가벼움)으로 측정되었다. 만족도에서 수용도는 1.00점(조금은 받아들일 수 있다)부터 2점(받아들일 수 있다) 사이에 분포하였으며, 전반적인 시스템 사용도는 수동휠체어가 70.7점으로 C등급의 수용가능한 경계선의 시스템으로 측정되었고, 전동휠체어는 73.1점으로 B등급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된 한국형 휠체어 탑승 고속버스에 대하여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대상으로 사용성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장애인의 대중교통 접근성과 이동성 확보 및 연구 방법에 대한 기초적인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추후에는 사용성에 대한 근거 수준의 질적 향상을 위해 다수의 연구 참여자와 다양한 휠체어 종류를 통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usability of express buses for wheelchair user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satisfaction of wheelchair boarding systems. The usability of 11 manual wheelchair users and nine powered wheelchair users was evaluated using the following three scenarios: boarding the wheelchair accessible bus, moving inside, and alighting the bus. The results showed that 20 wheelchair users completed three scenarios, which was distributed between 0.33 and 1.36 in the difficulty rating scale of the efficiency. The task effort of the efficiency was measured from 8.36 to 11.78. The acceptability of the satisfaction was distributed between 1.00 and 2.00, and the system usability scale was measured in an acceptable boundary of the C grade at 70.7 points with manual wheelchair users and a B grade at 73.1 points with powered wheelchair users.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because it provides basic evidence for accessibility, securing the right to movement and research methods of public transport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improve the quality level of usability in the future, more study with a larger number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various wheelchair types should be stud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