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Gardner의 ‘다중지능’ 및 ‘이해를 위한 교수’ 이론의지식교육에의 시사점 연구

        홍은숙 한국교육철학학회 2002 교육철학연구 Vol.0 No.28

        Recently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s(MI) Theory’ together with ‘Teaching for Understanding(TFU) Theory’ is quite influential in the area of education. In spite of its influences on education, meanings of some concepts are confusing and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related educational concepts are not clea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Gardner's MI theory and TFU theory, and examine their implications especially on knowledge education. First, Gardner's basic ideas of MI theory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explained. Gardner emphasizes individualized schooling, suggesting new role and structure of schooling. Secondly, the concept of ‘intelligence’ is analyzed in comparison with other knowledge related concepts. And Gardner's claim that ‘intelligence can be educational contents’ is examined. It is pointed out that intelligences by themselves cannot be contents of education unlike ‘domain’. And it is also pointed out that the list of multiple intelligences neither can be necessary nor sufficient elements of subject-matter. Thirdly, I examine the TFU theory, clarifying the meaning of ‘understanding’. It is explained that ‘understanding’ has not only conceptual aspect but also performative aspect, which distinguishes Gardner's theory from the traditional structures of knowledge theory. Here the nature of the TFU theory is explained in comparison with other educational theories. Especially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with structures of knowledge theory is examined. Finally, it is discussed whether Gardner's claim that ‘understanding’ is the purpose of education can be justified.

      • KCI등재

        장애아동 부모의 가족일치감(Family Sense of Coherence: FSOC) 연구 : 사회적 지지, 낙관성, 부부 협력을 중심으로

        홍은숙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 Vol.15 No.1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with the purposes of investigating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may substantially influence the family sense of coherence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 also explore the sophisticated mechanisms between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s. Method: A total of 396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were in the age group 0 to 18 year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EM) was used in the evaluation of the hypothesized model. Through latent mean analysis (LMA), differences between two parents groups (under vs. over school age) were examined. In addition, using the Sobel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couple collaboration and optimism of parents were examined. Results: First, social support, couple collaboration, and optimism of parent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family sense of coherence among the parents. Second, parents belonging to the group of children over school age appeared to have a higher level of family sense of coherence, than parents of children under school age. Third, no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was found among the parents of children over school age. Fourth, the mediating effects of couple collaboration and optimism were significant in both parent groups. Conclus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limitation were discussed. 연구목적: 장애아동 부모의 사회적 지지, 낙관성, 부부 협력 및 가족일치감(Family Sense of Coherence)의 관계에 대한 모형을 분석하고, 이 관계가 학령전기 아동의 부모 집단과 학령기 아동의 부모 집단에서 동일하게 작용하는지를 알아본 후, 그 결과를 가족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0세~18세 장애아동 부모 396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고,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두 부모 집단 간에 잠재변인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sobel검증을 통해 낙관성과 부부 협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는 가족일치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또한 낙관성 및 부부 협력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부모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 집단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가족일치감에 이르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고,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는 학령전기 자녀를 둔 부모 집단보다 가족일치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 자녀를 둔 가족의 지원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후기 허스트의 도덕교육론고찰 : ‘실천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관’에서의 도덕교육

        홍은숙 한국도덕교육학회 2006 道德敎育硏究 Vol.17 No.2

        허스트는 지난 30여년간 영미 교육철학계를 지배했던 자신의 ‘지식의 형식이론’을 부정하고, 교육내용이 지식의 형식들을 넘어서서 다양한 여러 가지 실천전통들로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실천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이라는 그의 새로운 교육 개념에 비추어 볼 때 도덕교육의 성격은 어떻게 새롭게 규정될 수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실천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 개념에 일관된 도덕교육의 성격을 탐색하되, 특히 후기 허스트의 도덕교육의 개념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허스트가 새로운 교육 개념에 비추어 도덕교육의 성격을 어떻게 새롭게 규정하는지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실천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관에 나타난 도덕교육론의 시사점 및 허스트의 논의의 문제점을 검토한다. 여기서는 가치 정당화 문제와 관련하여 내적 가치의 개념을 강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덕교육의 범위가 도덕적 영역에서 인륜적 영역으로 확장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도덕교육의 과제로서 환원주의를 극복하고 통합된 인격, 통합된 삶의 이야기를 형성할 것을 논의한다. An examination on the later Hirst's conception of moral education: Moral education in light of 'education as initiation into practices' P. H. Hirst denounced his own 'Forms of knowledge theory' in 1990s, suggesting the conception of education as initiation into pract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sists in exploring the nature of moral education consistent with this new conception of education. This study mainly examines the later Hirst's conception of moral education, discussing on the related topics. In order to explain Hirst's conception of moral education, I explain his criticisms against the rational approach and the personal fulfillment approach. Then I explain Hirst's conception of moral reason. As an alternative Hirst suggests the conception of moral education as 'initiation into practices', emphasizing the concept of 'practices' as the source of moral life. Then I discuss on the related topics. First, I deal with what kinds of values we should explore by emphasizing 'internal goods'. Second, I deal with the issue of expanding the domain of moral education from 'the moral' to 'the ethical' on the basis of internal goods. Third, I deal with the criticism against reductionism in moral education, supporting the pursuit of balanced character education and formation of narrative unity of individual life by teaching various elements of practices.

      • KCI등재

        세라 룰의 『죽은 남자의 휴대폰』에 나타난 작화와 정동적 노동

        홍은숙 현대영미어문학회 2022 현대영미어문학 Vol.40 No.1

        This paper focuses on the spiritual network which is ignored by the seduc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with a dramatic device of the dead man Gordon’s cell phone. Although Gordon is eager to call somebody at the moment of his death, he cannot call anybody, just leaving a cell phone behind. Jean, a stranger, is affected in her interiority by chance, which arouses affects in virtuality. According to Negri and Hardt, affect is power to act, power of transformation, power of appropriation, and expansive power. Thereafter, Jean confabulates for all the characters deeply related to the dead man, Gordon. Due to Jean’s nice lies of confabulation, the stage of a profound secret and mystery in Dickens’ A Tale of Two Cities and a lot of waiting and loneliness in Hopper paintings is transformed into a communicational space. Jean’s confabulation eventually reconstructs the deconstructed human relationships and brings vitality to the stage. The confabulation in Dead Man’s Cell Phone is none other than affective labor, which is ‘a spiritual pipe’ to connect to each other and ‘problem-solving and strategic brokering activities’ to recover the intimacy of human relations. The confabulation and affective labor in Dead Man’s Cell Phone produces collective subjectivities and transforms human relations. .

      • KCI등재

        교육과정에서 지식교육의 신화에 대한 기독교적 대안

        홍은숙 한국종교교육학회 2010 宗敎敎育學硏究 Vol.32 No.-

        교육에 관한 다양한 신념들 중에는 잘못된 신화들이 있어서 여러 가지 교육적 문제를 일으킨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교육과정에서 중시하는 지식교육과 관련하여 어떤 잘못된 신화들이 있는지를 일반 학문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기독교적 대안들을 탐구한다. 제2장에서는 ‘객관주의적 지식’의 신화를 비판하며, 교육적 앎의 성격과 기독교적 인식구조를 논의한다. 객관주의적 인식구조는 인식주체가 인식대상을 조작, 지배, 소유하는 적대적 관계를 가진다. 이와는 달리 기독교적 인식구조는 인격성, 상호성, 공동체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존재양식과 가치관을 내포한다. 제3장에서는 ‘지식의 가치중립성 및 도구성’의 신화를 비판하며, 지식교육의 가치문제를 논의한다. 흔히 지식은 가치중립적인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이 경우 지식은 외부의 수단 내지 도구로 전락된다. 이에 지식을 비판적으로 보아야 하며, 지식의 내적 가치를 인식해야 함을 지적한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볼 때, 지식은 생명을 살리는 것, 그리고 공동체와 개인의 정체성을 회복시키는 것임을 설명한다. 제4장에서는 ‘지식의 기초는 인간의 이성과 경험’이라는 신화를 비판하며, 인간 이성의 한계 및 여호와를 아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라는 기독교적 주장을 살펴본다. 근대에는 지식이 인간의 이성과 경험에 기초한다는 정초주의 인식론이 지배하였으나, 해석학 및 포스트모더니즘은 이것을 비판한다. 그러나 현대철학은 자칫 상대주의로 흐르며, 근본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기독교적 관점은 인식에서의 인간 이성의 한계를 지적하며, 유대인의 쉐마교육에서 나타나는 내러티브에 기초한 인지양식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지식교육이 여러 문제를 보완하되, 기독교적 영성교육에 의해 보완되는 전인교육으로 나아가야 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신화적 신비가 사라진 시대의 창작 윤리: <샌드맨: 칼리오페>에 나타난 ‘결박당한 칼리오페’

        홍은숙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人文硏究 Vol.- No.103

        The Sandman: Calliope fuses ancient Greek mythologies with SF elements, featuring a unique worldview of our time where science and mystery intermingle. The human novelists in The Sandman: Calliope use the laws of mythological mystery to bind Calliope. This paper describes ‘the capture of Calliope’ as ‘the capture of Calliope’s power to generate inspiration’. The bound Calliope becomes an object of trade among novelists, reduced to a mere writing tool, which calls into question ‘the ethics of creation’ and ‘the agony of creation’ in an age of the lost mythical mysteries. It is a story in which the spiritual and the endless are linked to the metaphysics of human life, and the interconnectedness of the mortal and the immortal suggests a new way for humanity. At a time when new thoughts and technologies such as ‘sentiment machine’ and ‘LLM’ are proliferating, the story of Calliope’s abuse represents the inevitable change in metaphysical ideas. The story implies that it is not Calliope who degrades into a writing tool, but rather a keyboard- wielding Madoc. The Sandman: Calliope raises reflexive questions on the fall of humanity as well as the mechanization of the spiritual power.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장애 영·유아교육 프로그램 실태 및 지원 요구

        홍은숙,노진아,이미애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0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omotion plan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support needs for the management of early intervention(EI)/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CSE) program in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Korea.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surveyed 32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EI/ECSE programs in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ooperation among relevant institutions was limited, (2) types of program were not various, (3) family support services were also limited, (4)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EI/ECSE program did not have adequate competence and were employed with unstable contracts, (5) specialized staff in various fields lacked, (6) there were no regulations and specific guidelines for EI/ECSE programs management. Lastly, the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promotion plans based upon these results.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장애 영·유아 교육 지원의 실태 및 지원요구를 알아보고 앞으로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장애 영·유아 전담 인력을 배치하여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교사 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 영·유아 모집과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유관 기관과 협력하고 있었지만 매우 미흡하였고, 프로그램의 운영 형태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으며, 가족지원 서비스도 제한적인 형태로 운영되고 있었다. 그리고 전담교사의 전문성이 미흡하고 고용안정성이 보장되지 못해 업무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었으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 인력이 부족하였으며, 장애 영․유아 사업에 대한 규정이나 구체적인 지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서 활성화 방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