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전신진동운동이 드랍랜딩점프 동작에 미치는 영향

        홍수연(Su-Yeon Hong),장영관(Young-Kwan Jang),김진현(Jin-Hyu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진동운동(whole body vibration exercise)이 드랍랜딩점프(drop landing jump) 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으로 진동운동그룹(n=5, VEG, Vibration Exercise Group)과 단순운동그룹(n=5, OEG, Only Exercise Group)을 4주 동안 트레이닝 시킨 후 운동 전과 운동 4주 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방법 3차원 영상 데이터는 10개의 적외선카메라(Vicon, UK)를 샘플링 율, 100 Hz.를 사용하여 획득하였으며, 하지 관절의 파워는 2대의 지면반력기(AMTI, USA)를 샘플링 율 1000Hz.로 데이터를 획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무게중심의 변동성은 하강국면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 점프 후 착지 시 상해위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동운동그룹은 훈련기간에 관계없이 단순운동그룹보다 점프높이가 증가하였다. 셋째, 운동그룹간의 관절파워가 4주 훈련 후 엉덩관절 P1(굴곡)과 무릎관절 P2(신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훈련기간에 따른 하지의 관절파워는 모든 국면과 운동그룹에 관계없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훈련기간에 관계없이 진동과 운동을 병행한 진동운동그룹이 운동만을 수행한 단순운동그룹보다 점프높이에 증가를 가져왔으나 점프높이와 하지의 관절 파워와의 일관성 규명할 수 없었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BVE on biomechanical factor analysis of drop landing jumps before and after a four week training program. Method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 VEG (n=5, age: 25.7±2.3 yrs, height: 170±7.6 cm, weight: 69.3±8.3 kg) and OEG (n=5, age: 24.6±3.4 yrs, height: 164±4.9 cm, weight: 58.8±9.2 kg). Ten infrared cameras (Vicon, UK) with a sampling rate of 100 Hz were used in two GRF measurement systems (AMTI, USA). Results: The variability of the center of mass was largest at the falling phase, and there was a great risk of injury when landing after the jump. Second, the jumping heights of the VEG (vibration exercise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EG (only exercise group), regardless of training period.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ip joint P1 (flexion) and knee joint P2 (extension) between the exercise groups after 4 weeks of training.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aining periods or phases. Conclusion: regardless of training periods, the VEG showed increased jump height compared with the OEG, but the consistency between the jump height and the lower joint power could not be determined.

      • KCI등재

        K-Pop 댄스 하지동작의 생체역학적 남녀 차이 분석

        장영관,홍수연,기재석,장인영,Jang, Young-Kwan,Hong, Su-Yeon,Ki, Jae-sug,Jang, In-Young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7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omechanical of K-Pop dance movement. The study was conducted on 15 male and 15 female subjects in 20-30 age groups. And they choose 150 K-Pop dance choreographies in the top 10 ranking of the main charts. We analyzed the RoM, joint moment and impulse force of the highlight movements. First, During the K-Pop dance motion, the usage of knee joints are more than the hip joints and the ankle joints, and female dancers has a larger range of motion than the male dancers. Second, male dancer uses more than female dancers when they compared the load of male dancers and female dancers. In particular,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hip joints are mostly used in this study. Third, the impulse force of male dancers was greater than of female dancers, but it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is is equal to the impulse on walking. In conclusion, Female dancers use more range of motion than male dancers, but male dancer choreography requires greater torque, which can strain joints. Most choreographic exercises involve movements such as hip joint, knee joint, flexion of ankle joint, extension, rotation, and jump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보행 시 의도적인 발 디딤 각도 변화가 하지 관절 부하에 미치는 영향

        고은애 ( Eun Ae Go ),홍수연 ( Su Yeon Hong ),이기광 ( Ki Kang Lee ),안근옥 ( Keun Ok An ) 한국운동역학회 2013 한국운동역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일반보행을 하는 건강한 20대 성인남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일반보행, 의도적인 안장보행과 팔자 보행의 세 가지 형태의 보행을 하도록 하였고 이때 발생하는 무릎 내전 모멘트와 몸통, 골반의 움직임이 하지관절 부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 하였다. 첫째로 발 디딤 유형에 따른 내전과 외전의 결과에서 일반보행을 기준으로 HC, TO시기에서 각각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러한 결과는 HC, TO시기의 안장보행과 팔자보행의 내번과 외번의 차이를 보여주며, 착지와 이지하는 순간의 걸음 패턴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HC되는 순간 보행의 형태를 결정하여 나타나는 결과로 보여 진다. 보행형태에 따른 모멘트 값의 결과는 안장보행에서 무릎 내전 모멘트 값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고(p=.05), 의도적인 팔자보행에서 가장 작은 무릎 내전 모멘트의 값이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는 Wang et al.(1990)의 연구에서 팔자보행 시 무릎 내전 모멘트가 감소한 것과 같은 양상을 보였다. 또한 Guo, Axe와 Manal(2007)의 연구에서는 무릎관절염환자를 대상으로 보행 시 무릎의 내전 모멘트를 분석한 결과 디딤 각이 클수록 무릎내전모멘트의 두번째 피크값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고 보고하며 그에 따라 팔자보행을 무릎관절염 환자에게 도움을 주는 보행 기법임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팔자보행이 환자들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무릎통증 및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보행형태라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발 디딤 각에 따른 몸통과 골반의 회전 움직임은 일반보행, 팔자보행의 Z축 ROM값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이러한 결과는 팔자걸음의 보행이 몸통과 골반의 움직임에 있어 비대칭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im(2009)의 연구에서는 골반 좌우 움직임은 생체 역학적 스트레스와 근육의 불균형을 초래하며, 발 디딤 각에 따라 몸통과 골반의 회전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도적으로 발 디딤 각의 변화를 줄 때 팔자 보행에서 몸통과 골반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Park과 Kim(2008)의 연구에서 요통노인의 발끝방향을 측정한 결과 외측으로 향하는 보행패턴을 보였고, 이러한 팔자보행의 패턴은 몸통과 골반의 비대칭적인 움직임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따라서 팔자 보행은 몸통과 골반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며, 신체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팔자보행은 일반인의 골반 움직임, 골관절염 및 만성요통 환자들의 무릎 통증에 대한 보상기전에 의한 것으로 보이며, 건강한 성인 남자의 팔자 보행에서 모멘트가 작게 나타난 결과 역시 의도적으로 보행을 한 결과 몸통과 골반의 스트레스에 대한 보상기전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올바른 보행은 조화로운 골반회전패턴과 알맞은 근육활동으로 동적 평형성을 유지하며, 에너지를 감소시키고, 보행시 발생할 수 있는 헛디딤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며(Stokes et al.,1989; White & McNair., 2002), 이러한 보행 특성에 관한 연구는 보행의 메커니즘을 연구하는데 꼭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팔자 보행이 내전모멘트를 줄여주는 것을 볼 수 있었지만, 팔자로 보행 하는 것은 추후 골반의 비대칭을 가져올 수 있다. 아울러 그에 수반되는 무릎통증 및 요통 등은 신체에 상해를 입히는 요인이 된다. Efficient gait is compensate for a lack of exercise, but the wrong walking can cause disease that joints, muscles, brain and body structure(Scott & Winter, 1990). Also many researchers has been studied gait of positive mechanism using analytical methods kinetic, kinematic. This study is to identify nature of knee adduction moment, depending on different foot progression angle and the movement of rotation of pelvis and body. Health study subject conducted intended walking with three different ang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lassified three types of walking; walk erect, pigeon-toed walk and an out-toed gait. Ten university students of K without previous operation and disease record selected for this study. For accuracy of this study, three types of walking carried out five times with 3D image analysis and using analysis of ground reaction force to analyze nature of knee adduction moment and the movement of rotation of pelvis and body. Firstly, the HC(heel contact) section value of intended walk erect, pigeon-toed walk and an out-toed gait was not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TO(toe off) section value was shown that the pigeon-toed walk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value of pigeon-toed walk was smallest knee adduction moment(p< 0.005). Secondly, X axis was the change of rotation movement body and pelvis when walk erect, pigeon-toed walk and an out-toed gait. Shown statistically Y axis was not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Z axi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These resul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O section when walking moment reaches HC, it decides the walking types and rotates the foot.

      • KCI등재

        Estimating the Global Inflow and Stock of Plastic Marine Debris Using Material Flow Analysis: a Preliminary Approach

        장용창,이종명,홍선욱,최현우,심원준,홍수연,Jang, Yong Chang,Lee, Jongmyoung,Hong, Sunwook,Choi, Hyun Woo,Shim, Won Joon,Hong, Su Yeon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 2015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18 No.4

        전세계 플라스틱 해양쓰레기의 유입량과 현존량을 추정하였다. 한국에서 플라스틱 해양쓰레기의 연간 유입량(72,956톤)은 플라스틱의 연간 소비량(5.2백만톤)의 1.4%로 추정되었다. 유출량이 0이라는 가정과 함께, 이 1.4% 유입률을 1950년부터 2013년까지 전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에 적용함으로써, 2013년 전세계 연간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유입량은 4.2백만톤이며, 2013년말 현재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현존량은 86백만톤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로지스틱 모델에 따라, 석유생산량의 4%가 플라스틱으로 생산될 때 플라스틱 해양쓰레기의 최종 현존량은 199백만톤이 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유입량과 현존량은 전혀 다른 측정단위이기 때문에, 유입 저감 정책의 효과성을 평가할 수 있는 개선된 지표가 필요하다. 또한,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오염은 거의 회복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는 대책의 가치는 훨씬 더 높게 평가되어야 하며, 사전주의의 원칙에 따라 더 강력한 예방 대책이 시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제한적인 정보에 근거한 예비 연구에 해당하므로 플라스틱 해양쓰레기의 유입량과 현존량의 경향을 규명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We estimated the global inflow and stock of plastic marine debris. In South Korea, we estimated that the annual inflow of plastic marine debris (72,956 tons) was about 1.4% of annual plastics consumption (5.2 million tons) in 2012. By applying this 1.4% ratio to global plastics production from 1950 to 2013, we estimated that 4.2 million tons of plastic debris entered the ocean in 2013 and that there is a stock of 86 million tons of plastic marine debris as of the end of 2013, assuming zero outflow. In addition, with a logistic model, if 4% of petroleum is turned into plastics, the final stock of plastic marine debris shall be 199 million tons at the end. As the inflow and the stock are different units of measurement, better indicator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inflow-reducing policies are needed. And, as the pollution from plastic marine debris is almost irreversible, countermeasures to prevent it should be valued more, and stronger preventive measures should be taken under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s this is a preliminary study based on limited informa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larify the tendency of inflow and stock of plastic marine debris.

      • KCI등재

        후진 보법을 이용한 전방향 보행의 생체역학적 연구

        하종규(Hah, Chong-Ku),정왕수(Jeong, Wang-Soo),홍수연(Hong, Su-Yeon),장영관(Jang, Young-Kwan),기재석(Ki, Jae-Su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생체역학적 변인을 근거로 하여 후진보법의 전방향 보행(댄스보행)이 후방보행처럼 재활과 걷기운동으로써 가능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실행대상자는 13명의 여성댄스 전문가로 자료수집을 위하여 12대의 적외선카메라와 2대의 지면반력기가 동조되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댄스보행의 보속, 활보장과 양 하지지지기시간은 후방보행보다 크고, 활보폭은 작았으며 관절각범위, 관절모멘트와 관절파워의 최대치 출현 빈도에서 댄스보행이 후방보행보다 더 많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댄스보행이 재활과 걷기 운동에 후방보행에 버금가는 훌륭한 도구임을 판단하는데 충분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rstigate possibility of a forward gait with backward meehanism(dance gait) as rehabilitation and/or walking exercise by means of biomeehanical variables. Thirteen professional women dancers(age, 21,1±1.3 yrs; height, 159.3±7.2 cm; body mass, 45.1±8.4 kg)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found that speed, stride length and double limb support time of a dance gait were more greater than backward gait, but stride width of dance gait less than a backward gait. Maximum RoMs, moments and powers of the lower limb joints on a dance gait were more frequent than a backward dance. These results were judged to be sufficient by the possivility of dance gait as rehabilitatiob and walking exerc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