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복강내결핵의 임상적 고찰

        홍성만(Sung Man Hong),김대황(Dae Hwang Kim),이환(Hwan Hyo Lee),(Hyo Gong),우제홍(Ze Hong Woo) 대한소화기학회 1994 대한소화기학회지 Vol.26 No.6

        N/A We analysed 48 patients with intraabdominal tuberculosis and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General Surgery, National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85 to December. We evaluated the efficiency of diagnostic modalities for intraabdominal tuberculosis and provided the guideline for therapeutic trials.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 1.1. The peak inciodence were the second(27.1%) and third decades(22.9%). The frequent symptoms were abdominal pain (75%), nausea and vom- iting(33.3%), and abdominal mass(25.0%). The duration of symptom was within 1 month (77.1%) mostly. Twenty two cases (45.8%) were associated with pulmonary tuberculosis,' other 3 cases extrapulmonary tuberculosis. In the AFB smears of ascites, 2 cases(13.3%) showed positive reaction. The correct preoperative diagnosis was possible in 23 cases(64.9% ). Thirty six cases(75.0%) needed operation '. 20 cases(55.5%) received emergency operation and the other elective operations. The major operative procedures were right hemicolectomy (22.8%) and segmental rescetion of small bowels(22.8%). The frequent operative findings were tuberculous mesenteric lymphadenopathy(52.8%), adhesion(38.9%), intestinal perfora- tion(25.0%), ascites(22.2%).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ing wound infections, pneumonia and enterocutaneous fistula were occurred in 11 cases(31.6%). Other 12 cases were not operated and took antituberculous medications, and improved symptomatically. We suggests that intraabdominal tuberculosis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various surgical abdo- men with vague symptoms or signs, especially in young patient. We recommend antituberculous medications in suspicious case. In complicated cases, emergency operations such as intestinal resection or enterostomy should be performed.(Korean J Gastroenterol 1994; 26: 1021-1028)

      • KCI등재

        여성기업가와 집적의 경제

        홍성효(Hong, Sung Hyo)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4 아시아여성연구 Vol.53 No.1

        최근 여성 학력의 신장은 이들의 보다 적극적인 경제활동 참여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여성기업가의 상대적으로 높은 여성고용비율은 여성일자리 창출을 위한 여성창업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하지만, 여성기업가는 가사나 육아에 대한 부담으로 상대적으로 근거리 통근을 해야만 하고 이로 인해 지리적으로 격리되어 집적의 경제로부터의 편익을 얻는데 있어 한계를 지니는 것으로 주장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료를 이용해 실제로 여성기업가가 남성기업가에 비해 지리적으로 군집을 덜하고 지리적으로 격리되어 집적의 경제 효과를 충분히 누리지 못하며 이에 대한 이유 가운데 하나가 가사 혹은 육아에 대한 부담에 기인함을 실증분석을 통해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리나라에서 여성기업가들이 지리적으로 군집하고 기존 기업들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지적한다. The recent increase in females" educational attainments suggests the necessity of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nd the relatively higher rate of females in employment with female entrepreneurs places an emphasis on female start-ups to create jobs for females. However, it is argued that female entrepreneurs obtain only partial benefits from agglomeration economies because they have to commute relatively shorter distance due to the burden of their housework or child-care and thus are geographically segregated. Using Korean data, this study empirically shows that female entrepreneurs do not enjoy sufficient agglomerative effects by being less co-located and geographically more segregated and that such insufficient agglomeration economies with female entrepreneurs originate partly from females" housework or child-care burden. These empirical results point out that policy efforts are required for female entrepreneurs to geographically cluster and form networks with nearby existing firms.

      • 소규모 건물의 안전진단 사례 분석 및 시사점

        홍성효(Hong, Sung-Hyo),배웅규(Bae, Woongkyoo) 한국주거학회 2023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Currently, as buildings in Korea are aging, the importance of safety diagnosi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uildings, maintenance management, and reconstruction decisions is increasing. However, although the standards for safety diagnosis for large-scale buildings are clearly set according to the current laws of Korea, the standards for small-scale buildings are not clearly set, so working-level workers are having difficulties in conducting their work. Therefore, in this study, after defining small-scale buildings, the contents of the current laws are classified and organized by type. And based on the organized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presentative cases by type to derive problems and provide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여성기업가와 여성고용: 대구시 사례

        홍성효 ( Sung-hyo Hong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8 지역개발연구 Vol.50 No.1

        본 연구는 대구시를 사례로 기업의 대표자 성 간 해당 기업 내 여성고용 규모의 차이를 성향점수 매칭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기업들의 특성이 유사함을 전제로 남성 대표자 기업에 비해 여성 대표자 기업에서 여성고용의 창출규모가 보다 큼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의 고용을 창출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여성의 창업지원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적어도 효율성 측면에서 타당함을 함축한다. 하지만, 산업별로 남성 대표자 기업 대비 여성 대표자 기업의 여성고용 창출규모가 상이해 산업별로 차별화된 혹은 선별적 정책의 추진이 요구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gap in female employment between femaleand male-owned firms for the case of Daegu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female-owned firms tend to create more female employment than male-owned firms do on condition that the firms' characteristics are similar.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policy efforts to efficiently support female start-ups as a way to create female employment could be valid. However, it is still required to implement an industry-specific or selective policy since the degree to which female-owned firms generate female jobs relative to male-owned firms is different among industries.

      • 폐가의 주택가격에 대한 영향

        홍성효(Hong, Sung Hyo),임준홍(Im, Jun-hong) 한국주거학회 2017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1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influence of abandoned homes on housing prices in the neighborhood. Vacant homes, especially abandoned homes deteriorate amenities for living and decrease the price of housing units in the neighborhood because they harm the view and become the place of crime. However, since the decision to abandon homes is made theoretically when the value of a home is smaller than its maintenance costs, the housing price would affect the number of abandoned homes in the neighborhood.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study based on two-stage least square estimation in order to take into account the endogeneity, the average price of housing units in the neighborhood falls on average by 120 Korean Won when the ratio of abandoned homes to all housing units in the city, county or ward rises by its standard deviation (i.e., 0.64%). Thus, because policy support to improve the ability to re-use the abandoned homes (e.g., re-building or conversion of usage) would increase the housing price and thus it contribute the public finance via property tax, it is required to obtain the feasibility of the policy through the analysis on benefits and budgets invested on the related policy.

      • KCI등재

        중소기업 R&D 활동에서 외부조달 재원의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홍성효(Hong, Sung Hyo),김경근(Kim, Kyung Geun) 한국경제통상학회 2015 경제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R&D활동에 대한 공적 지원의 효과를 중소기업의 특성과 연관하여 2 단계 분석(DEA/Tobit)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1단계에서는 자료포락분석을 통해 개별 중소 기업의 R&D활동에서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측정된 효율성을 R&D투자 액의 함수로 정의하고 이의 효과를 Tobit모형을 이용해 추정한다. 분석결과는 R&D투자가 해당 중소기업의 R&D활동관련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R&D투자를 재원별로 구분하는 경우 내부자금 에 의한 R&D투자와 함께 외부 공공 R&D투자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제시한 다. 하지만, 외부 공공 R&D투자의 효과는 기업특성 간 상당한 차이를 보이며, 운송장비 제조 업 혹은 첨단 제조업, 중간기술, 50인 이상 99인 이하, 설립 이후 11년 이상 경과한 기업에서 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낸다. 중소기업의 R&D활동에 대한 공적 지원은 대기업에 비해 약자로서의 중소기업을 지원한다는 측면에서 형평성 차원의 고려와 R&D활동이 공공재적 성격을 지닌다는 점에서 그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지원의 규모를 고려할 때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공적 지원의 효율성에 대한 고려 역시 수반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하나의 방편이 기업의 특성에 따른 지원의 차별화일 것이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public subsidies o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R&D activities through two-step procedures (DEA/Tobit) associated with the firm’s characteristics. The first step of the procedure measures each firm’s efficiency in its R&D activities, and the second step using Tobit model estimates the effect of R&D investment on the efficiency measured in the first step. The results show that an individual firm’s total amount of R&D investment improves that firm’s R&D activity-related efficiency, and that R&D investment which is financed externally and publicly as well as internall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hen the total amount of R&D investment is decomposed by its source. The effect of externally and publicly financed R&D investment seems to be different remarkably across firms’ characteristic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show up with the firms being in transport equipment manufacturing or high-tech manufacturing sector, having a medium level of technology, employing between 50 and 99 workers, or having been in the business at least 11 years since its establishment. Public subsidies to small- and medium-sized firm’s R&D activities could be justified in terms of equity issue where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re regarded as the disadvantaged compared with large firms as well as the fact that R&D activities work as a public good. However, the consideration of efficiency which allows the largest effect with the smallest cost needs to be accompanied when the amount of subsidies is huge. And one way to realize the efficiency would be to differentiate the subsidies according to firms’ characteristics.

      • 빈집의 지리적 분포와 빈집발생 결정요인

        홍성효 ( Sung Hyo Hong ),박동규 ( Dongkyu Park ),조인성 ( In-sung Cho ),박찬일 ( Chan Il Park ) 충남연구원 2021 충남연구 Vol.5 No.1

        본 논문은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2010년 자료를 이용하여 빈집의 지리적 분포와 비유사성 지수를 통한 지역 간 불균형 혹은 편중의 정도를 살펴보고 빈집의 발생원인을 회귀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고찰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주로 시지역-특히, 광역시-에서 빈집의 지리적 편중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며, 시군구 내 1년 이상 비어 있는 빈집의 수가 이의 표준편차(725호)만큼 증가하면 해당 시군구 내 신규로 발생하는 빈집의 수는 297~326호에 달해, 빈집의 부정적 외부효과가 자기-강화적(self-reinforcing) 성향-즉, 빈집이 많은 지역일수록 보다 많은 신규 빈집이 발생하는 성향-을 지님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와 함께 빈집이 해당 지역에 악순환을 야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고려할 때, 적어도 지방정부 차원에서는 빈집의 문제에 대해 보다 심각하게 간주하고 대처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vacant homes and their geographic disparity or unequal distribution through a dissimilarity index based on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0 from Statistics Korea, and empirically analyses the determinants of housing vacancy through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show that, mainly in cities,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vacant homes is severely unequal, especially in metropolitan areas. When the number of homes vacant for at least one year in a city, county or ward increases by its standard deviation (i.e., 725 units), the number of homes that are newly vacated in the same area ranges between 297 and 326 units. This result confirms that the negative external effect of vacant homes tends to be self-reinforcing (i.e., new vacant homes are more likely to occur in an area with more existing vacant homes). Given the possibility that vacant homes can cause a vicious cycle in local areas, it is necessary for local governments to treat the housing vacancy issue more seriously and implement appropriate policies.

      • KCI등재

        아산시 청년층의 ‘충남형 더 행복한 주택’에 대한 수요와 정책적 함의

        홍성효 ( Hong¸ Sung Hyo ),임준홍 ( Im¸ Jun Hong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0 지역개발연구 Vol.52 No.2

        본 논문은 “충남형 더 행복한 주택”사업과 관련한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수요와 이의 정책적 함의에 관해 논한다. 해당 사업이 추진 중인 아산시 지역에 거주하는 500명의 신혼부부와 미혼 청년층을 대상으로 충남형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입주의향, 선호하는 면적, 적정 임대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응답자의 속성에 따라 이들 세 변수에 나타내는 영향이 상이하기 때문에 공공임대주택 공급계획의 수립시 잠재적인 입주자가 누가될 것인지를 명확히 하여 이들의 선호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입주의향에 있어, 다른 정책적 요인들에 비해 주변 환경이 보다 중요하며 거주지로서 도시와 농촌 간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공급 면적에 있어, 보다 큰 면적의 주택을 선호하는 경우에는 생활편의 및 주민복지시설, 시세와 가격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난다. 적정 임대료에 있어, 읍면동단위의 거주지역 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나 입지선정 역시 중요함을 함축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preference on public rental housing related with “Chungnam More Happy House” and its policy implication. It analyzes empirically intention to reside, preference on size of housing, and willingness to pay as a monthly rent for 500 people who are newly married, to be married, or single and young among residents of Asan where the project is in progres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required to identify who are more likely to move in to the public rental housing and reflect the potential renters’ preferences for the supply plan because those three variables are influenced differently for distinct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Regarding intention to reside, surrounding amenities are important and prominent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exist. With respect to the size of housing, those who prefer larger size regard living-convenience and welfare facilities together with price as key factors in their decision. For willingness to pay for a rent, location at the level of Eup, Myun, and Dong is also important because the willingness to pay shows a large geographic gap across those areas.

      • 집적의 경제와 충남 내 지역 간 양극화: 제조업 사례

        홍성효 ( Sung Hyo Hong ) 충남연구원 2021 충남연구 Vol.5 No.2

        본 논문은 집적의 경제와 충남 내 지역 간 양극화 사이의 관계를 제조업을 사례로 분석한다. 비유사성 지수에 의한 읍면동별 사업체수 분포의 지역 간 격차는 1995년 0.252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9년에는 0.440에 이른다. 이는 사업체수 기준 전산업 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읍면동 간 균등하게 분포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읍면동에서 그렇지 않은 읍면동으로 이전해야 하는 제조업 사업체수 비중을 의미하기 때문에 동 기간 격차의 정도가 1.7배 증가하여, 제조업에 있어 충남 내 지역 간 양극화가 심화되었음을 의미한다. Tobit모형을 이용한 신생기업 입지결정에 대한 회귀분석결과는 충남 제조업에서 집적의 경제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이는 지리적 군집을 통한 외부 편익이 혼잡으로 인한 외부비용을 능가함을 의미하여 적어도 단기적으로 충남 내 제조업 입지에서의 지역 간 양극화가 보다 심각해질 수 있음을 함축한다. 충남의 내륙권, 특히 청양군이나 예산군과 같이 인구감소가 지속되고 있는 지역에서의 제조업의 위축은 일자리 감소, 소득 하락, 정주 및 노동 공급 감소,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 감소, 재정건전성 악화, 공공재 공급 감축 등을 통한 악순환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북부권 중심의 제조업 집중에 따른 긍정적 외부효과를 지속시키되 이외 지역에서의 최저 산업규모를 유지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고령-친화 산업의 육성이나 소비도시로서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도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agglomeration economies and the inter-regional polarization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Chungnam in the form of a case study. According to the dissimilarity index, the regional disparity in the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businesses by administrative unit (Eup, Myeon or Dong) continued to increase from 0.252 in 1995 to 0.440 in 2019. This refers to the proportion of manufacturing establishments that would need to be relocated from regions with a relatively high ratio to regions with a relatively low ratio in order to evenly distribute the proportion of manufacturing compared to all industries, and it shows that the degree of disparity increased by a factor of 1.7 over the period mentioned. Thus, the inter-regional polarizatio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in Chungnam has deepene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of the location choices of new firms using the Tobit model indicate that there are agglomeration economi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Chungnam. This implies that external benefits from geographic clustering outweigh external costs caused by congestion, which indicates that the inter-regional polarization in manufacturing locations in Chungnam may even become more serious, at least in the short term. Shrinking of the manufacturing sector in the inland area of Chungnam, especially in areas with continuing population decline such as Cheongyang-gun or Yesan-gun, would cause a vicious cycle through job loss, income decline, decrease in settlement and labor supply, decrease in demand for goods and services, deterioration of fiscal soundness, and supply of public goods. Therefore, it is not only necessary to maintain the positive externalities of the concentration of manufacturing in the northern region, but also to maintain some industries at or above a minimum margin in other regions. Fostering an aging-friendly industry or strengthening the consumption function of cities may be possible ways.

      • 이전기업의 고용창출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충남의 사례

        홍성효 ( Sung Hyo Hong ) 영남대학교 한국균형발전연구소(구 영남대학교 영남지역발전연구소) 2012 한국균형발전연구 Vol.3 No.3

        고용창출의 방안으로써 지자체 간 기업유치의 경쟁은 나날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이를 동해 지역 간 기업의 이전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충남으로 이전한 기업의 고용창출효과를 중심으로 이전(혹은 유치)기업의 지역경제 기여를 분석한다. 통계청의 자료를 이용해 이전기업과 기존 기업 간의 고용변화를 비교분석하는 이중격차모형의 결과에 따른면, 이전기업의 고용창출효과는 규모가 작은 기업에서 보다 크게 나타나며, 본사가 함께 이전하는 경우에 비해 분공장만 이전하는 경우 고용창출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들은 지자체의 기업유치정책관련 전략이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In order to create jobs, local governments` efforts to attract firms outside the region become more severe, and firms` relocation across the border of regions tends to be more frequent. This study analyzes relocating (or attracted) firms` contribution to the hosting region`s economy mainly in terms of job-cre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in-differences estimation that compares employment change of relocating firms with that of non-relocating firms, relocating firms` job-creation effect appears to be relatively larger when the relocating firms are smaller, and compared with a plant’s relocation together with its headquarter, relocation of a branch plant only seems to have a smaller effect on job-creation. These findings in1ply that the strategies related with local governments` firm-attraction policy needs to be changed at least in terms of job-cre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