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연구의 국제 동향에 대한 메타분석: 2010년 이후 AERA 학술대회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소경희 ( Kyunghee So ),허예지 ( Yae-ji Hu ),박지애 ( Jiae Park ),장연우 ( Yeon-woo Ch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4

        오늘날의 급속한 사회 변화는 기존의 관점과 연구 틀로는 교육과정 현상을 읽어내는 데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국제적인 학술 논의의 장에서는 다양한 관점, 이론, 방법론을 활용한 교육과정 연구가 활발히 발표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에 걸쳐 진행되어 온 교육과정 연구의 국제적인 동향을 메타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전 세계 교육연구자들의 논문이 발표되는 ‘미국교육학회(AERA)’ 연차학술대회의 교육과정 분과에서 최근 10년간(2010~2019년) 발표된 436편의 논문을 연구주제, 이론적 관점, 연구방법 측면에서 분석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연구주제에 있어서는 교육과정 관련 현상을 정치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는 ‘주류 헤게모니에 대한 비판과 저항’ 및 ‘세계화 및 탈식민화’가, 이론적 관점에 있어서는 서구, 백인, 중산층, 남성, 비장애인 중심의 근대 인식론을 비판하는 ‘탈식민주의’, ‘비판이론’, ‘페미니즘’, ‘인종이론’이, 그리고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개인적인 경험을 탐구하는 ‘내러티브연구’, ‘예술기반연구’, ‘자기-연구’ 등의 ‘질적 연구’가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1970년대 등장한 재개념주의가 여전히 교육과정 학계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또한 기존의 재개념주의라는 우산으로 포섭될 수 없는 새로운 연구들, 즉 ‘탈-언어적’, ‘탈-인간적’, ‘혼종적’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드러냈으며, 이들이 교육과정 연구의 ‘포스트-재개념주의’로 해석될 수 있음을 논의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교육과정 연구의 관심사가 좀 더 확장되고 다변화될 필요가 있음이 제언되었다. Rapid changes in today’s society have made it difficult to understand curricular phenomena within a former research framework. Accordingly, curriculum inquiries using various perspectives, theories and methodologies have been actively presented in recent international conferenc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international trends of curriculum studies in recent ten years. For this purpose, 436 articles presented in Division B in AERA annual meetings from 2010 to 2019 were analyzed from three aspects: theme, perspective, and method. Findings show that popular themes are ‘Criticism and Resistance to Mainstream Hegemony’ and ‘Globalization and Decolonization’, which articulate curricular phenomena from a political point of view. Frequently adopted perspectives are ‘Decolonialism’, ‘Critical Theory’, ‘Feminism’, and ‘Race Theory’, criticizing the modern epistemology that is western, white, middle class, male, and non-disabled-centered. A commonly used method is qualitative research exploring personal experiences, which includes ‘Narrative Inquiry’, ‘Art-based Research’ and ‘Self-study’. These results imply the dominance of reconceptualization emerged in 1970s. However, they also reveal an increase of new studies such as ‘Post-linguistic’, ‘Post-human’ and ‘Hybrid’ studies, which cannot be subsumed under the umbrella of the reconceptualization, but can be interpreted as post-reconceptualization. Consequently, the necessity of broadening the range of interests in Korean curriculum studies is suggested.

      • KCI등재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과 경향 분석

        김영은 ( Kim Young-eun ),허예지 ( Hu Yae-ji ),백경선 ( Baek Kyeong-su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3 중등교육연구 Vol.71 No.2

        본 연구는 2022년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운영에 따른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그 성과를 확인하고자 62개교 연구·선도학교의 학생 선택 교육과정 편성, 소인수 과목, 고시 외 과목, 공동교육과정,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전반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선도학교의 경험 및 연차가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 및 맞춤형 교육과정 편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25년 본격 적용 전에 전국의 모든 학교에서 운영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준비 시간을 확보하는 것, 학생들의 다양한 교육적 수요를 반영한 선택 과목을 개설 성과 이면에는 교사의 다과목 지도, 진로·학업 설계 지도, 시간표 편성 등에 따른 추가 행정 업무 등이 작용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업무 효율화, 시간표 작성 등의 시스템 지원, 교·강사의 원활한 수급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고교학점제 운영에 대한 데이터의 범위를 확대하고 축적하여 고교학점제 경험과 연차에 따른 종단적 변화나 추이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checks the results of 62 pilot schools operation in 2022 according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verall changes in term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small class operation, joint curriculum, and subjects other than the national curriculum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experience and year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that affect the expansion of students' subject choice, the following is suggested. Securing preparation time to strengthen operational capabilities in all schools nationwide before full-scale implementation in 2025, opening elective courses that reflect students’ diverse educational need; to reduce additional administrative tasks and support for work efficiency, system support such as timetable preparation, and support for smooth supply and demand of teachers and instructors.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accumulate the range of data to explore longitudinal changes or trends according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experience and years.

      • KCI등재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다시 생각하는 역량 교육 : Deleuze의 존재론에 기초하여

        박지애 ( Jiae Park ),소경희 ( Kyunghee So ),장연우 ( Yeon-woo Chang ),허예지 ( Yae-ji Hu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2

        역량 교육은 근대적 지식 교육의 문제를 해결할 획기적인 대안으로 등장했으며 현장에서도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급격히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역량 교육이란 어떠한 관점에서 접근하고 해석하느냐에 따라 근대 교육과 별반 다르지 않을 수도, 근대 교육의 문제를 타개할 대안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어떠한 관점에서 역량 교육에 접근할 것인지가 그 혁신성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역량 교육을 포스트모던 관점으로 접근할 때에 역량 교육이 지닌 잠재력과 혁신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보고, 역량 교육을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다시 생각해 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역량 교육의 초석이 되는 학습자와 지식에 대한 관점을 Deleuze의 존재론에 기초하여 탐색하였으며, 이에 비추어 종래의 역량 교육 접근이 내포한 한계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드러내고, 역량 교육의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대안적 접근 방향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된 역량 교육은 학습자를 타자와 독립된 이성적 주체로 상정하고, 학습자의 사유 방식을 특정 지식의 형태로 고정시킬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근대 교육이 지닌 한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그 대안적 방향으로 역량교육이 ‘-하기(doing)’보다는 ‘-되기(becoming)’에 주목할 것과, 지식을 학습의 참조 자료이자 진원으로 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Competence-based education was acclaimed as a breakthrough in modern education and spread rapidly throughout the field. However, whether competence-based education can be a real alternative to modern education or not depends on the point of view taken.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ideals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can be achieved when it is understood from a post-modern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think competence-based education from that post-modern perspective. To accomplish this, the researchers explore a post-modern perspective of learners and knowledge based on the Deleuzian ontology. In light of this, the study includes a critical review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at has been deemed a competence-based curriculum. Also examined is an alternative approach to competence-based education through which the full potential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is realized. Study results show that the competence-based education emphasized with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till retains basic assumptions of modern education; it articulates learners as rational subjects independent from others and fixes their thoughts on knowledge of school subject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competence-based education focus on ‘becoming’ rather than ‘doing’ and see knowledge as reference materials and epicenters of learning.

      • KCI우수등재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본 지능정보사회를 위한 학교교육 정책 비판

        소경희(Kyunghee So),박지애(Jiae Park),이수한(Soohan Lee),허예지(Yae-ji Hu)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4

        이 연구는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하기 위하여 지난 25년간 추진되어 온 한국 학교교육 정책들을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먼저 Braidotti(2013/2015)의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 터해 지능정보사회의 도래가 인간 주체성 논의에 미친 영향과 이에 따라 새롭게 규정된 인간 주체성의 특징을 탐색하였다. 다음으로는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하는 한국 학교교육 정책의 주요 특징을 청와대, 대통령 직속 자문위원회, 교육부및 중앙 관계부처에서 발행된 정책 문서 52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크게 교육 환경, 교육과정 운영 지원, 교육 내용 측면으로 범주화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분석된 학교교육 정책이 전제하고 있는 지능정보기술과 인간 주체성의 관계에 대해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의 비판적 검토가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한국의 학교교육 정책들이 기계/기술을 통해 ‘향상’되는 인간, 기계/기술을‘예측 및 통제’하는 인간, 기계/기술과 ‘경쟁’하는 인간 주체성을 전제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제는 기계/기술을 인간의 목적과 의도에 따라 일방적으로 활용 및 통제되는 도구로 봄으로써, 인간과 기계/ 기술 간의 대안적 공생 관계를 가로막을 수 있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마지막 장에서는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하는 한국 학교교육 정책의 변형을 위한 방향을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past 25 years of Korean school policies for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from a posthumanist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explores Rosi Braidotti (2013/2015)’s critical posthumanism for how the arrival of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effects upon discussions of human subjectivity and what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defined human subjectivity are. Next, 52 policy documents issued by Cheongwadae, presidential advisory committees, Ministry of Education, and relevant ministries are collect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school policies for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The result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educational environment, operational support for curriculum, and educational contents. In addition, a critical review is made from the posthumanist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chines/technology and human subjectivity which the analyzed school policies presuppose. The results show that the policies presuppose human subjectivity that would be improved through’, predict and control , and ‘compete with’ machines/technology. Machines/technology are seen as mere tools that are unilaterally utilized and controlled according to human purposes and intentions, which obstructs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m. Based on the results, the last chapter discusses alternative directions for Korean school policies in response to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