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김천택 작품의 전승 양상과 수용 방식

        허영진 ( Hur Young-jin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7

        이 글은 가집사적 맥락에서 김천택 작품의 전승 양상을 종합·분석한 후, 『청구영언(진본)』 소재 각 작품이 후대의 개별 가집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되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그동안 김천택은 최초의 가집을 편찬한 인물로서의 역할과 위상이라는 관점에서 주목을 받았지만, 다수의 작품을 창작한 작가로서의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그 결과 아직까지도 그의 작품이 가집사적으로 어떻게 전승되었고, 후대의 가집으로 전승된 작품이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되었는가에 대한 연구는 본격화하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현전 가집 93종을 대상으로 김천택 작품의 전승 양상과 수용 방식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우선 김천택 작품으로 알려진 것 가운데에서 2수는 후대인의 추가 수록 작품인데다가 자료적 신뢰성이 매우 희박하기 때문에 김천택은 모두 79수의 작품을 남겼다고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의 작품은 『청구영언(진본)』에서 30수가 최초로 수록된 이후, 해동가요계 가집에서 49수가 추가 수록되었으므로 최소한 두 가지 이상의 전승 경로가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즉 그의 작품이 『청구영언(진본)』과 『해동가요』라는 양대 가집을 중심으로 전승 경로가 확연히 구분되는 바, 김천택 작품의 해석 기반 역시 최소 두 가지 이상의 층위를 지녔다고 판단하였다. 김천택 작품의 수용 방식에 관해서는 最先本, 즉 『청구영언(진본)』 소재 작품이 후대의 다른 가집으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작가, 악곡, 노랫말의 표기 방식면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상이 포착된다는 사실을 밝혀 보았다. 이러한 변화상은 『청구영언(진본)』이 편찬된 직후부터 곧바로 나타나므로 단순히 전승·수용 과정상의 오기나 착오에 의한 것은 아니었다고 생각된다. 요컨대 그의 작품은 가집사 전 기간 동안 전승이 이루어졌으나 수용 방식면에서 보편적 인식보다는 개별적 인식이 더욱 두드러져 보이고, 각각의 작품은 개별 가집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되었음을 실증해 보였다. This study put together and analyzed the transmission patterns of works by Kim Cheon-taek and examined how the works of Cheongguyeongeon(rare book) were accepted in individual anthologies by the later generations. The study looked into the transmission patterns and acceptance methods of Kim`s works in 93 anthologies and found out the followings: There are some of his works whose authenticity has been ambiguous till today, and two of them have little material authenticity. After excluding the two, it was concluded that Kim left total 79 works. Given that 30 of his works were first published in Cheongguyeongeon(rare book) and that 49 works were added in the anthology of Haedonggayo line later, a possibility was raised that there must have been at least two transmission paths. As for the acceptance methods of his works, there were noteworthy changes to the authors, tunes, and notation of lyrics. His works had been transmitted throughout the entire history of anthologies. Individual perceptions were more prominent in the specific acceptance method of each work rather than the universal ones. Each work was accepted in individual anthologies in diverse ways.

      • KCI등재

        가집을 통해 살펴본 시조의 문학적 해석

        허영진(Hur Young-Jin) 국어문학회 2006 국어문학 Vol.41 No.-

        This thesis first discussed the value of collections of poems as data and the necessity of study on them. A collection of poems has more values than those in literature of sijo. That is because it reflects the whole process of creating, enjoying and handing down sijo. It is urgent to consider the correlation between sijo and the collection of poems and its implication on a full scale. In addition, as a new methodology, this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a collection of poems which shows literary interpretation of sijo.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four books: <Mumyeongssi> from 『Ossibon Cheonguyoungeon』, <Dangaisipmok> from 『Namchangbon Gogeumgagokjip』, 『Donggaseon』, and 『Geunhwaakbu』. Focusing on these books, this researcher examined aspects of recognizing subjects of sijo and their meaning. Subjects or literary interpretation observed in this thesis is a starting point in approach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sijo and a basis of understanding it. Although making efforts to clarify the background of the recognition in this thesis, this researcher felt the want of ability. From now on, this researcher will make up for the insufficient part.

      • KCI등재

        19세기 전반의 가곡과 『歌譜』의 존재 양상

        허영진(Hur. Young-jin) 우리문학회 2002 우리文學硏究 Vol.15 No.-

        This thesis is to study the development process of songs and the aspect of existence of collections of songs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hich are found in the 'Genealogy of Songs' in the possess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Genealogy of Songs' is a collection of songs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in which songs have been reorganized into Wujo(羽調) and Gyemyeonjo(界面調) and kinds of songs have been reassigned.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is described as the period when experimental studies were actively<br/> conducted to edit songs in arrangement styles, and the confusion and unfamiliarity which are found in the 'Genealogy of Songs'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in such a tendency. However, fundamental verification work has nol yet been completed regarding the time of editing of the collection of songs, its editor, intention of editing, system & organization, criteria of collection, and aspects of entry of editorials on pieces of work. Accordingly, this thesis is first going to estimate the time of editing by surveying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that 'Genealogy of Songs' possesses as a collection of songs and intensively examining the composition of the collection of songs, and then grasp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the editor and the collection of songs. This thesis is offered as a starting point for the perfect understanding and reconsideration of songs and collections of songs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br/>

      • 한국 궁중 정재의 전승과정과 유희성(遊戱性)에 관한 연구

        허영일 ( Hur Young-il )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06 민족무용 Vol.10 No.-

        한국 궁중 무용은 정재(呈才)라고 불리며, 글자 그대로 “봉헌 재능”을 의미한다. 정재는 왕의 시민 업적을 찬미하기 위해서 그리고 유생의 정신을 보여주기 위해 만들어졌다. 따라서, 명상적으로 보이기도 하고, 의식처럼 취급되는 경향도 있다. 이제까지의 한국 궁중 무용 연구는 주로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하지만, 한국 궁중 무용은 왕에 대한 찬미를 표하고 화합과 평화의 정신을 보여주는 것뿐만 아니라, 무용 레퍼토리의 해석을 통해 궁정의 오락으로서 공연되었다. 전형적인 예는 ‘포구락(抛毬樂)’ 일 것이다. 고려(高麗) 시대부터 여러 종류의 연회에서 공연되었던 유명한 궁중무용의 하나로, 무용수는 한명씩 문 모양을 한 소품인 포구문(抛毬門)의 작은 구멍에 공을 던진다. 만약 무용수가 구멍에 공 던지기를 성공시키면 상으로 꽃을 받고, 실패하면 벌로 얼굴에 먹물을 칠한다. 무용뿐 만 아니라 오락까지 두 가지를 즐길 수 있었던 것이다. 고려 시기에, 이 연회는 연희의 흥겨움과 어울려져 큰 인기를 모았다. 그러나, 그것의 오락성은 조선시대 금욕주의 신유생들에 의해 혹독하게 비판 받았다. 비록 유생들이 이 작품에 비판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긴 했지만, 조선시대에도 이 작품은 인기를 끌었다. 포구락은 그것이 전해주는 즐거움과 유쾌함으로 인해 대중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었으며, 이 후 아무런 장애 없이 전승될 수 있었다. 한국 궁중 무용은 의식으로서나 오락으로서나 아주 훌륭한 공연물이다. 포구락은 서울뿐 아니라 지방에서도 공연되면서, 원래의 형태가 상황과 환경에 따라 약간 변형되었다. 그 결과 한국 궁중무용은 시류에 뒤떨어지지 않게 변화, 보존될 수 있었다. Korean court dances is called Jeongjae(呈才) literally meaning "offering talent". Jeongjae, which is conceived as a symbol of a universe, was made to praise civil achievements of the kings and to show the Confucian spirit. Therefore it seems to be contemplative, and the performance tends to be treated as a ceremony. In many cases of the study about Korean court dances are focused on this point. But, it is found that Korean court dances had been not only presented for the praise of the kings and showed for the spirit of harmony and peace but also performed for amusement in the cour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pertory of the dances. A typical example of the cases should be 'Pogurak(抛毬樂)'. It has been one of the popular court dances performed since the Goryeo(高麗) period at various banquets. In this dance the performers, one after another, throw a ball into the small hole of the Pogumun(抛毬門) which is a gate-shaped dance property. If a dancer succeeds in throwing the ball into the hole, she receives a flower for a reward, otherwise, her face is smeared with ink for punishment. Both the dance movements as well as the game can be enjoyed. In Goryeo period, for its entertainment went well with the fuss and feathers of banquets, it was quite popular. However, the entertainment of it had been sternly criticized by abstinent neo-Confucian in Joseon(朝鮮) period. Although Confucian had assumed a critical attitude toward it, it had acquired popularity during Joseon period. Then it can be transmitted without any break that is only because the aspects of its fun and enjoyment had strongly appealed to people. Korean court dances are excellent performances either as the ceremony or as the entertainment. Moreover, it was performed the provinces as well as Seoul and the original form has been slightly altered by the situations and the circumstances. The Korean court dances, therefore, has been changing and keeping abreast with the times.

      • 한국과 일본의 불교무용 비교 연구 -영산재와 엔넨(延年)을 중심으로-

        허영일 ( Hur Young-il )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05 민족무용 Vol.7 No.-

        이 논문은 한국과 일본 불교무용의 면모를 비교무용학적 관점에서 추찰하기 위한 목적에서 우리나라 봉원사 영산재의 의식무용과 일본 모쓰지(毛越寺)의 엔넨(延年)의식에서 연행되는 무용 종목들을 중심으로 그 제의적 연행구조와 취의, 양식특성 등에 관해 살펴보았다. 우선 양국의 불교무용의 취의와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영산재와 엔넨의 전체의 구조를 살펴보고 나아가 각 무용 종목들의 내용과 의도 및 양식특징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두 불교의식에 포함된 양국의 불교무용은 제불과 보살, 신도들에 대한 행위공양으로서 공히 불승들에 의해 연행된다는 제의적 취지 면에서 공통점을 지니는 반면 양식면에서는 엔넨무용이 영산재의 작법무용에 비해 연극성과 오락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변별양상을 노정하였다. 이는 영산재의 작법무용이 제의절차의 일부로서 연행되는 데 반해 엔넨무용은 선행되는 법회의식이 끝난 후 일종의 축하행사의 일환으로 연행된다는 점에서 그 변별근거를 찾을 수 있다. Yeongsanjae is a representative form of Korean Buddhist ritual dance performed by Buddhist monks in the temple. Basically, it is a typical Buddhist ceremony which has been executed to appease and, thereby, to guide dead spirits to the other world by consoling them by music and dance. In the historical context, it is said that this ritual dance had been performed to commemorate, praise the Buddha's first preach, and later came to be adopted as an important part of the mass for the repose of the dead. On the other hand, Yennen is a Japanese Buddhist ritual enacted not only to bless the Buddhist temple where the Buddha is believed to reside but also to pray the long life and prosperity of all beings in this world. Dance and music are important parts of the ceremony under the belief that they vitalize life power and thereby ensure the longevity. Likewise, Yeongsanjae and Yennen have some common features in the point that they are Buddhist rituals where various forms of traditinal music and dance are performed as the offerings to the Buddha to procure the prosperity and appeasement of mankind. In Yeongsanjae, Bara-chum(cymbal dance) and Nabi-chum(butterfly dance) are performed while Bugaku and Dengaku Odori are performed in Yennen as main dance numbers. However, there is found a basic difference between both, in that the sequences of Yennen have less corelation that those of Yeongsanjae. This difference comes from the fact that dance is performed as a part of entertainment after the formal rite in case of Yennen whereas it is enacted as a part of the rite itself in Yeongsanjae. Another clear difference is observed in dance style. Dance in Yeongsanjae has more ritualistic, symbolic elements in its atmosphere and movement patterns while Yennen dance shows more realistic style with its imitative gestures and movements which represent dramatic episodes.

      • 조선(朝鮮) 전기(前期) 창작(創作)된 당악(唐樂) 형식(形式)의 향악(鄕樂) 몽김척(夢金尺)의 성격(性格)과 전승(傳承) 양상(樣相)

        허영일 ( Hur Young-il )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07 민족무용 Vol.11 No.-

        몽금척(夢金尺)은 조선 초기에 창작된 당악(唐樂) 형식의 정재로, 꿈에 한신인이 금척을 주었다는 태조의 고사에서 유래하여 조선 왕조 개국의 정당성과 왕실의 권위를 높이는데 사용된 정재이다. 몽금척은 다른 정재들과 차별되는 몇 가지 특이점을 보이고 있다. 가장 큰 특징은 모든 궁중 연회 행사의 거의 첫 부분에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는 조선의 정당성을 알리는 국가 의례적(儀禮的)인 성격을 지닌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몽금척이 수보록과 더불어 왕의 문덕과 무공을 기리는 역할을 하고 있음에서 알 수 있다. 몽금척의 또 하나의 특징은 조선에서 만들어진 정재임에도 불구하고 당악의 형식을 띄고 있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당악의 형식을 따르는 작품들의 대체적인 성격은 유희적이고 심미적인 것이 아니라 왕실의 권위와 정당성을 부여하는 작품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몽금척뿐 아니라 이 당시 창작된 유사한 성격의 정재들에서 보이고 있는 공통된 특징으로, 조선 전기 창작된 대부분의 작품이 당악의 형식을 따르는 이유는 바로 이러한 정치적 목적에서 제작되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몽금척이 국가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작품임에도 조선 중기에 오면서 몽금척이 담고 있는 내용이 성리학적 합리주의와 충돌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성리학적 사상을 신봉하는 사림들이 득세하기 시작하는 중종 대에는 몽금척 또한 잡희로 불리며 위기를 맞는다. 그러나 이후 영조와 정조 대에 다시 왕권이 강화 되면서 몽금척은 왕실의 권위와 조선의 정당성을 알리는데 적극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정조 대에는 몽금척의 고사가 사대부들의 관리 등용문인 과거 시험의 문제로 등장하기까지 한다. 이러한 현상은 학문적 사상적 관점에서 해석해 볼 수도 있으나 또 한편으로 왕권 정치와 신권 정치의 권력 대결 사이에 몽금척을 비롯한 정재들이 놓여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궁중 정재가 단순한 궁중 연향에 사용된 것이 아니라 각 정재가 지닌 의미하는 정치적 상징성이 매우 큰 것임을 보여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Mong geum-chuck, created in early Chosun, is Dang-awk in Jung-jae style. This Jung-jae is originated from the folklore of Tae-jo about the Geum-chuck given by one poet in the dream and is used to justify the foundation of Chosun dynasty and to hold the authority. Mong-geum -chuck has some differences with other Jung-jaes.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 is that it is used in the beginning of the Royal ceremony. This is because Jung-jae has national ceremonial trait announcing the justification of Chosun and applauding king's both military and literary achievement like Suborog. One of the other characteristics of Mong-geum-chuck is that it has Dang-awk Style even though this Jung-jae is made in Chosun. It is because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pieces following the Dang-awk is not for entertainment and athletic but for giving the authority and justice. It is the common trait represented not only in Mong geum-chuck but also in other similar characteristic Jung-jae created at that time. The reason why most pieces created in early Chosun followed Dang-awk style is that this artistic creation is based on the political intention. Lastly, though Mong geum-chuck is the piece giving the justification of nation, the text included in Mong geum-chuck conflicts with rationalism in the middle Chosun. Especially, Mong geum-chuck was at the crucial moment when the votary of the Sungrihack gained power and called it silly entertainmet. But after strengthening the authority in Young-jo and Jung-jo period, Mong geum-chuck is aggressively used to announce the power and justice of Chosun. Specially in Jung-jo period, the folklore of Mong geum-chuck became one of questions for Sadebu's test. Considered from the criteria mentioned above, it can be approached relying on the academic view however, on the other wise, it can also be explained that there was Mong geum-chuck as well as other Junng-jaes between the conflicts of theocracy and royal powers. It infers that each Jung-jaes has their own powerful political symbolis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