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측면에서 본 방과후학교

        허경철(Huh, Kyung Chul),양애경(Yang, Ae Kyeo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4 방과후학교연구 Vol.1 No.1

        우리나라의 ‘방과후학교’ 는 2006년부터 기존의 방과후 교육활동을 혁신적으로 도입·추진해오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양적, 질적으로 많은 성장을 해 왔다. 방과후학교에서 어떠한 교육적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인가도 학교의 정규 교육과정의 취약점이 무엇인가를 분석하고, 그러한 부분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학교 교육과정 측면에서 본 방과후학교는 학교의 공식적 교육과정에 어떠한 방법으로든 도움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며 그러한 의미에서의 방과후학교 도입의 의의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는 학교 교육과정의 범람 현상을 완화시켜준다. 방과후학교는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의 넘쳐 나는 요구를 분담함으로써 학교 교육과정의 부담을 완화시켜준다. 둘째, 방과후학교는 공식 학교 교육과정이 충실하게 달성할 수 없는 학교 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 교육목표들은 학교 교육과정에서 제공할 수 있는 교육 시간만을 통해서는 도저히 달성할 수 없는 것들이다. 이러한 부분들을 방과후학교에서 집중적으로 다룸으로서 그 성취를 의미 있게 도울 수 있다. 셋째, 방과후학교는 공식 학교 교육과정의 질적 개선을 위한 계기를 마련해 준다.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설정, 운영하는 것은 학교 교육과정의 질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Since 2005, our nation’s ‘After-school’ has innovatively changed established after school educational activities. Then it has started to phase in and push ahead with the activities and has sought growth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to the present. It is advisable for educational after-school programs to set the direction that is to analyze and to supplement the weakness of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On the side of school curriculum, it is as in the following to describe the significance of after-school introduction in the sense of how after-school helps formal education. First, after-school alleviates inundation phenomenon of school curriculum. It eases the burden of school curriculum by sharing a superabundance of demands. Second, after-school contributes greatly to achieve the goal that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can not fully reach. The goals of education can not be attained only with time of education that formal education provides. After-school can help meaningfully that by dealing intensively. Third, after-school provides opportunities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formal education. To set after-school programs in the desired direction is can be a chance to develop in the better direction.

      • 개선된 ARM 7 코어와 peripheral 내장 프로세서 설계

        조현우(Hyun-Woo Cho),허경철(Kyung-Chol Huh),송승원(Seung-Won Song),조군식(Koon-Shik Cho),최원태(Won-Tae Choi),김태훈(Tae-Hoon Kim),박주성(Ju-Sung Park) 대한전자공학회 2007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7

        This paper deals with design of RISC processor, which is compatible with ARM7 and has some improvement. We designed a pipeline for the processor based on a p flip-flop, which solved the problem with the latch-based pipeline. Also, by modifying the structure of multiplier of the ARM7 core, we attempt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ore. Additionally, the design includes AMBA BUS, audio codec interface, MMU, and built-in RAM of 192kbyte. The designed processor is fabricated with 0.18㎛ CMOS process. It is confirmed that the chip is compatible with the ARM7 through unit instruction test, combinational test of instructions, and running applications.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designed 32bit RISC processor has less calculation cycles in all applications than ARM7.

      • 향토경관을 고려한 익산 소룡마을의 생태적 웰빙촌 조성계획

        신상섭 ( Sang Sup Shin ),신병 ( Byung Chul Shin ),강민효 ( Min Hyo Kang ),허경아 ( Kyung A Huh ) 한국녹지환경디자인학회 2005 녹지환경학회지 Vol.1 No.2

        The Soryong Village in Iksan that keeps Korea`s typical rural scenery and Vernacular Landscape, developing rural scenery into tourist attractions and a tourism route, forming a wild flower garden, forming a plantation for autogenous tea bushes that is being limited to northern border area, etc. were reflected in the master plan for developing ecological well-being village. The followings show the outcomes. A yard and village grove were formed around village entryway so that such spaces may function as a MADANG(agora) for inhabitants and visitors, and an orchard and a fruitful tree garden(arcadia) was so formed that urban children experience rural life and that animals and plants can well inhabit the green tract. Korea`s traditional garden was built with the intention that visitors can experience its elegance, and farmlands and reservoirs were applied to developing an aquatic plant colony(wet fog garden). Environment-friendly water circulation system was constructed and the wild flower plantation(rainbow garden), which makes inhabitants gain large income, was expanded so that beautiful scene harmonized with rural plants and flowers may be created. It is expected that such activities may contribute to tourist attractions, large income and inhabitants` amenity.

      • KCI등재후보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철학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

        허경철 한국교육과정학회 2002 교육과정연구 Vol.20 No.2

        7차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을 현실화했을 뿐만 아니라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했다. 이제 단위 학교들은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해야 할 뿐 아니라 그 과정과 결과에 대하여 평가를 받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그리고 이에 대한 평가 활동이 점차 제도화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를 어떻게 시행하여야 하는가 하는 문제는 두 가지의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첫째는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가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과 질, 편성과 운영의 방향 등을 결정하게 된다는 점이고, 둘째는 도입기의 평가 시행 방식이 결국은 후속되는 평가의 시행 방식을 결정하게 된다는 점이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의미를 지니는 학교 교육과정 평가 활이 바르게 정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핵심적 개념들 즉, '교육', '평가', 그리고 '교육과정'이란 용어들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교 교육과정 평가'라는 본 주제의 여러 측면들, 예컨대 학교 교육과정 평가라는 개념의 출현 배경, 시행의 주요 목적, 관련되는 주요 개념들 및 평가의 주요 영역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 교육과정 평가'와 관련되어 제기되는 주요 항목에 대한 필자의 개인적 입장을 제언 형식으로 제시하였다. The 7th curriculum made it necessary for the schools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school based developed curriculum and also introduced the concept of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Korean history in the field of curriculum studies and practices. Under the system of the 7th curriculum, every school in Korea must develop school based curriculum for herself and receive an evaluation for the results of her behaviors related to the school based curriculum. In this situation, where the activities of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school curriculum are being gradually institutionalized, how to evaluate school curriculum bears two important meanings: firstly, the way in which school curriculum is to be evaluated determine in a substantial degree the quality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direc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secondly, the way used in the early stage of evaluation would determine the way that would employ in the later stage of evaluation. In this article, such critical and higher order concepts as `education', `evaluation', `curriculum' and `school curriculum'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contributing to the successful practice of the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Also some respects of the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such as background, main purposes, major concepts and fields were described. Finally, some recommendations were proposed for the desirable implement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 KCI등재

        지식 生成 교육을 위한 지식의 성격 분석

        허경철,조덕주,소경희 한국교육과정학회 2001 교육과정연구 Vol.19 No.1

        '지식'이라는 용어는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키-워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는 새로운 지식의 생성에 두어지고 있다. 따라서 학교 교육도 지식의 습득이나 적용보다는 지식의 생성, 산출, 창출하는 능력의 향상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지식을 새롭게 생산할 수 있는 인재들을 양성하기 위한 학교의 지식 교육은 어떠해야 하는가를 밝히기 위하여 본 고에서는 지식의 여러 가지 성격이나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지식과 정보는 근본적으로 구별된다는 점, 지식은 기본적으로 명제적 지식과 방법적 지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는 점, 모든 지식은 명시적 부분과 암묵적 부분으로 구성된다는 점, 지식은 지적 요인과 함께 정의적 요인도 포함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지식의 탐구는 하나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등을 지식의 주요한 특징적 성격으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지식의 성격에 근거하여 지식 교육, 특히 지식 생성 교육에서 중요하게 유의하여야 할 점들을 7가지로 요약하여 제시한 후 추후 수행되어야 할 연구과제들을 제시하였다. The term of 'knowledge' is regarded as the key-word in the knowledge based society in the 21 century. In this society, the most important value is put on the production of the new knowledge. Accordingly, enhancing the knowledge production ability rather than knowledge acquisition or application abilities became more important objective in school education. In the present paper, the nature of knowledge was analyzed to get implication on the directions of knowledge education which can bring about able men who can produce new knowledge. Those facts that knowledge is distinguished from information, that knowledge in basically divided into two forms such as 'proposition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that knowledge is composed of two parts of 'elucidated part' and 'tacit one', that knowledge contains cognitive aspect as well as affective one, and that the activities of knowledge inquiry form an special type of structure were found to be the salient traits of knowledge. Based on these traits, seven guidelines were extracted for the knowledge education. Even though the present paper has some degree of value in that it provided some important guidelines for the knowledge production education, it bears some limitations. One is that the guidelines presented in the present paper are too general in nature to be directly applied to in the real classroom teaching situation. The other is that the nature of the knowledge was not analyzed in terms of the 'type' or 'domain'. Knowledge could be divided into by the type or domain, such as 'natural-scientific knowledge' and 'humane-social knowldege', and the nature of these two types of knowledge would be different in some degree, which would demand different strategies for teaching these different kind of knowledge. Thus, these problems untouched in this paper need to be studied in the next stud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