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1세기를 지향하는 안전분야 변화방안

        함병호,Ham, Byeong-Ho 대한산업안전협회 1999 안전기술 Vol.18 No.-

        개별 기업들이 공개적으로 언급하기 어려운 안전분야의 현안들을 기업의 입장에서 2000년을 성공적으로 맞이하기 위한 "21세기를 지향하는 안전분야 변화방안"에 대한 연구내용을 소개한다.

      • KCI등재

        정보구조의 분절 방법

        함병호(Ham, Byeong Ho) 동악어문학회 2016 동악어문학 Vol.67 No.-

        본고는 그동안 논의되어 왔던 정보구조 분절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한국어의 정보구조에서 정합적인 정보의 분절 방법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서 크게 이분구조, 전제 또는 바탕 설정, 다층위 구조 설정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먼저, 이분법의 문제를 ‘화제-평언’과 ‘화제-초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화제-평언’은 모든 문장이 이와 같이 간단하게 구조화되지 않으며, 질문-대답 쌍에서의 ‘화제-초점’은 화제의 고유한 특징을 드러내지 못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전제-초점’에서는 전제 안의 화제와 상보적인 부분에는 관심이 없기 때문에 문장의 모든 성분을 완벽하게 분석하지 못한다는 점과, 전제가 화제나 초점과 대등한 정보적 지위를 갖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바탕을 설정하는 Vallduví(1990)의 삼항 계층 분절은 이분법에서 문제가 되었던 분절 단위들의 중복이나 불일치 현상을 해결하였지만, 화제가 초점과 대등한 위치에 놓이지 않는 문제가 있다. 질문-대답 쌍의 담화 맥락이 상정되면 ‘배경-초점’을 사용하고, 맥락이 상정되지 않은 독립된 단문에서는 ‘화제-평언’을 사용하는 다층위 방법은 두 분절이 동일하게 겹치는 경우에는 분절 체계를 방만하게 한다는 점과 정보구조가 문장 문법의 층위라면 분석 도구를 단일화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결론적으로, Vallduví(1990)의 분절 방식에서 계층적 위계를 없애고, 용어를 수정하는 방법이 가장 합리적인 분절 방법이다. 따라서 가장 정합적인 정보구조의 표상은 ‘화제-초점-배경’이다. 이러한 수평적 분절 방법에서는 질문의 맥락 여부에 따라서 ‘초점 → 화제’나 ‘화제 → 초점’와 같은 분석의 방향성을 가진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 of articulation of information structure, and contemplates real articulation method of Korean information structure, focusing on the binary structure, presupposition or ground setting and a multi-level structure setting. First, regarding the problem of binary structure, ‘topic-comment’ does not structure all sentences, and ‘topic-focus’ in the question-answer pairs fails to show the topic"s nature. Second, the ‘presupposition-focus’ does not analyse all constituents of sentence because of its lack of attention to complementary constituent of topic. The presupposition does not have equal status with the topic and focus. Although the trinominal hierarchical articulation of Vallduví(1990) solved many problems of the binary structure and presupposition setting, it still raise a problem because topic and focus does not have an equal stats. Lastly, the discourse context of the question-answer pairs uses the ‘Background-focus’. However, a simple sentence without discourse context uses ‘topic-comment’. This multi-level structure setting has limits in that it produces lax articulation system in the case of overlapping between two articulations. In addition, it has to unify analysis tool under the sentence grammar level of information structure. Therefore, to remove the hierarchical status and correct terms in Vallduví (1990)"s system is the real articulation method, or ‘topic - focus - background’. These horizontal articulation method has directional nature of the analysis of ‘focus→topic’ or ‘topic→focu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question.

      • KCI등재

        보조사 ‘도’ 통합형 접속어미에 대한 연구

        함병호(Ham, Byeong Ho) 동악어문학회 2013 동악어문학 Vol.60 No.-

        본고는 보조사 ‘도’가 통합형 접속어미의 구성요소가 되는 이유와 실현하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와 어미는 문법적 단어이므로 복합어와 동일하게 통합형 접속어미의 구성요소를 분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견지에서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접속어미 ‘-고도’, ‘-더라도’, ‘-라도’, ‘-을지라도’, ‘-음에도’, ‘-아/어도’에서는 보조사 ‘도’가 분석된다. 여러 보조사 중에서 ‘도’가 통합형 접속어미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는 것은 ‘도’의 문법적 기능과 종결어미 뒤에 결합했던 ‘도’의 분포적 특성에 기인한다. ‘도’는 첨사로 불리는 일군의 보조사들과 문법적 특성을 공유하는데, 전제된 명제와 외현된 명제를 연결하는 ‘도’의 문법적 기능은 접속어미가 선행절과 후행절을 연결하는 양상과 동일하다. 또한 ‘도’는 중세국어에서 종결어미 뒤에 결합할 수 있는 분포적 특성이 있었다. 종결어미의 후행요소는 독립된 두 문장이 연결될 때 두 문장의 의미 관계를 긴밀하게 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도’는 통합형 접속어미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선행 연구에서는 ‘도’ 통합형 접속어미의 의미로 ‘양보’, ‘양보적 조건’, ‘조건’ 등이 논의되었다. 그러나 ‘양보적 조건’은 선행절이 가정 상황일 경우에 국한된 개념이지만, ‘도’ 통합형 접속어미들은 사실과 미래의 상황을 모두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한국어에서 ‘양보적 조건’이라는 개념은 불필요하다. 또한 ‘양보’가 ‘조건’의 하위부류라는 논의들도 접속어미의 의미 체계에서 ‘양보’가 독립적으로 존재함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한국어에서 ‘도’ 통합형 접속어미의 의미는 모두 ‘양보’로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도’ 통합형 접속어미의 사용 빈도순은 ‘-아/어도 > -라도 > -더라도 > -을지라도 > -고도 > -음에도’이다. 이 같은 빈도의 양상은 유사한 의미를 나타내는 다른 형태의 저지(blocking)과 접속어미에 통합하는 구성요소의 특성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ason why the postposition ‘do’ can be a component of compound conjunctive endings and the meaning of ‘do’ compound conjunctive endings. Because of the Josa and Ending are grammatical word, they can be analyzed in the same compound words. So the postposition ‘do’ can be analyzed in ‘-kodo’, ‘-derado’, ‘-rado’, ‘-eulcirado’, ‘-eumedo’, ‘-ado/eodo’ listed in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Of many postpositions, the reason why ‘do’ can be a component of compound conjunctive endings is because of the grammatical function an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 that combines behind the final ending. The ‘do’ that shares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with particles connects presupposition propositions with explicit propositions. And it is in the same aspect that two clauses in the complex sentence combine. And the ‘do’ had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 that combines behind the final ending in the Middle Ages korean. The elements that combine behind the final endings can be closely two sentences’s meaningful relationship when two independent sentences are connected. The meaning of ‘-do’ compound conjunctive endings had been discussed as ‘concession’, ‘concession condition’, ‘condition’. Though the concept of ‘concession condition’ is limited to the situation to assume, the ‘-do’ compound conjunctive endings can represent the situation of the fact and future. So the concept of ‘concession condition’ in Korean is not necessary. Also arguments that the ‘concessions’ is the sub-categories of ‘conditions’ did not properly identify that the ‘concession’ exists independently in the semantics of the conjunctive endings. In conclusion, it is reasonable that the meaning of ‘-do’ compound conjunctive endings is stipulated as the ‘concession’. The frequency of ‘-do’ compound conjunctive endings is ‘-ado/eodo’ > ‘-rado’ > ‘-derado’ > ‘-eulcirado’ > ‘-kodo’ > ‘-eumedo’. It is due to the blocking of different forms representing similar meaning and nature of the components of compound conjunctive endings.

      • KCI등재

        한국어의 주제

        함병호(Ham, Byeong-Ho) 한국어학회 2021 한국어학 Vol.91 No.-

        본고는 한국어학에서의 주제 개념과 특성을 논의하였다. 한국어학에서 수용되는 주제의 정의에는 언급대상성, 관계적 구정보, 정언판단의 대상, 틀 주제가 있다. 각 주제의 정의들은 모두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주제의 다양한 양상을 포괄하기 위해서는 주제의 정의에 언급대상성과 틀이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주제는 ‘언급대상성을 나타내거나 시공간의 틀이 되는 정보 단위’로 볼 수 있다. 지시성과 대조성을 반영하면 주제는 인가 주제와 비인가 주제, 대조 주제로 분류될 수 있다. 한국어에서는 여러 유형의 주제에 ‘은/는’이 사용되는데, ‘은/는’은 대조의 의미 기능과 주제의 화용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다. 한국어는 주제가 통사구조에 반영될 수 있기 때문에 문장 성분으로서의 주제어를 설정할 수 있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topic in Korean. The definitions of topic accepted in Korean studies were categorized into aboutness, relational old information, object of categorical judgement and frame topic. The definitions of each topic have its strengths, but in order to cover various aspects of the topic, the aboutness and the frame must be reflected in the definition of the topic. Therefore, the topic can be viewed as an information unit that indicates aboutness or becomes a frame between space and time. Topic can be classified into ratified topic, unratified topic, contrastive topic by reflecting the referentiality and contrastiveness. ‘un/nun’, which is used in various topic, has both the meaning function of contrast and the pragmatic function of the topic. In Korean, since the topic can be reflected in the syntactic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et the topic word as a sentence constituent.

      • KCI등재

        간접 인용절의 통사적 지위

        함병호(Ham, Byeong-ho) 국제언어문학회 2020 國際言語文學 Vol.- No.47

        본고는 명사절, 부사절과의 관련성을 통해서 내포절 체계에서 간접 인용절의 통사적 지위를 논의하였다. 먼저, 명사절의 형식, 직접 인용절의 특성, 조사 ‘고’의 생략, 대상성의 의미를 고려하면 간접 인용절을 명사절로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다고, -냐고, -라고, -자고’의 부사형 어미화와 다양한 통사적 특성을 고려하면 간접 인용절을 부사절로 분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간접 인용절은 부사절과 명사절의 지위를 모두 가질 수 있다. 종결어미와 조사 ‘고’가 결합한 형태는 부사형 어미이기 때문에 이 어미들이 결합한 간접 인용절은 부사절이다. 그러나 ‘고’가 생략되어 종결어미로만 구성된 간접 인용절은 명사절의 여러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명사절이다. 이때에는 종결어미가 절 표지로 기능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syntactic status of indirect quotative clause in the embedded clause system through the relevance of nominal clause, adverbial clause, and complement clause. First, considering the form of a nominal cla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rect quotative clause, the omission of the josa ‘고’, and the meaning of objectivity, indirect quotative clause can be analyzed as nominal clause. Also, considering the adverbial endings ‘-다고, -냐고, -라고, -자고’ and various syntactic characteristics, the indirect quotative clause can be analyzed as an adverbial clause. In conclusion, indirect quotative clauses can be analyzed as adverbial clause or nominal clause. Since the form in which the final ending and the josa ‘고’ are combined is an adverbial ending, the indirect quotative clause combined with these endings is an adverbial clause. However, an indirect quotation clause consisting only of a final ending is a nominal clause because it has several characteristics of a nominal clause syntactically and semantically.

      • KCI등재

        제시어와 화제

        함병호 ( Byeong Ho Ham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6 언어와 정보 사회 Vol.28 No.-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nature of unratified topic of Korean presentation words. What this paper argu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typical that nominal coindexation is not used in the presentation word construction. Presentation words are mainly used to introduce discourse referents. The combination of presentation words and ‘-i/ga’ is related to the focus function of ‘-i/-ga’. Second, presentation words are unratified topics that is not activated and presupposed. Third, coindexical nominals of sentences in the presentation word construction are devices that help hearer access to discourse referents. Lastly, the presentation word construction which has ‘-eun/neun’ constituent is dual topic construction.

      • KCI등재

        한국어 문형에 대한 일고찰

        함병호(Ham, Byeong-Ho) 동악어문학회 2020 동악어문학 Vol.81 No.-

        본고는 한국어 문형의 유형과 각 유형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먼저, ‘문장의 기본적인 틀’로 정의되는 기본문형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① 필수성분으로 구성된다. ② 주어와 서술어를 갖추고 있는 평서문이다. ③ 담화 맥락을 반영하지 않으며, 무표적인 어순을 가진다. ④ 단문이다. ⑤ 명사구와 격조사가 결합한 형식이 반영된다. 문형의 유형에는 기본문형 이외에도 변이문형과 원체문형이 있다. 기본문형이 논항구조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이론적인 문형인 반면에 변이문형은 선행 맥락이나 화자와 청자의 지식과 관련되어 기본문형에서 확장된 문형이기 때문에 논항구조와 정보구조가 함께 반영된 문형이다. 그리고 원체문형은 모든 문형의 출발점으로, 말하고자 하는 대상과 이에 대한 설명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인간의 사고를 반영하는 가장 추상화된 문형이면서 ‘화제-평언’의 정보구조가 반영된 문형이다. 따라서 문형은 ‘원체문형→기본문형→변이문형’의 순서로 추상적인 형식에서 구체적인 형식으로 실현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types of Korean sentence pattern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main poi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basic sentence pattern is defined as the ‘basic sentence frame’ that represents various sentences. The basic sentence pattern in Korean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① The sentence pattern is composed of essential components ② The sentence pattern is a declarative sentence with subject and predicate. ③ The sentence pattern does not reflect the discourse context. ④ The sentence pattern is simple sentence ⑤ The sentence pattern reflects the form in which noun phrases and case Josa combine. In addition to the basic sentence pattern, the variant sentence pattern and the original sentence pattern exist in the sentence pattern. While the basic sentence pattern is a theoretical sentence pattern that is based on the argument structure, the variant sentence pattern is an extension of the basic sentence pattern, so it is a sentence pattern that involves information structure such as precedent context and knowledge of speakers and listeners, in addition to the argument structure. And the original sentence pattern is the starting point of all sentence, and is the most abstract sentence pattern that reflects human thinking in that the sentence consists of the object to be spoken and a description of it. Therefore, sentence patterns appear in the order of "original sentence pattern → basic sentence pattern → variant sentence pattern" from abstract form to concrete form.

      • KCI등재

        독립어로서의 주제어 설정에 대하여

        함병호 ( Ham Byeong-ho ) 한말연구학회 2020 한말연구 Vol.- No.58

        This paper discusses the validity of the topic word setting as a subclass of independent words. What this paper argu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opic of information structure and the topic word of syntactic structure differs in the definition of the topic, reflection of the discourse context, direction of analysis, and essentiality. Second, topic words can be included in subclasses of independent words. Both the topic word and the independent word have a common characteristic of a sentence component that deviates from the argument structure of the verb.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the presentational word in the system of independent word allows the topic word to be viewed as an independent word. Third, the topic word and the presentational word have a fixed position in the sentence, and represent different types of topic. Therefore, they should be included in each subclass of independent wo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