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지우,조용남,Han, Ji Woo,Jo, Yong Nam 한국재료학회 2019 한국재료학회지 Vol.29 No.12
The self-discharge behavior of zinc-air batteries is a critical issue induced by corrosion and hydrogen evolution reaction (HER) of zinc anode. The corrosion reaction and HER can be controlled by a gelling agent and concentration of potassium hydroxide (KOH) solution. Various concentrations of KOH solution and polyacrylic acid have been used for gel electrolyte. The electrolyte solution is prepar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KOH (6 M, 7 M, 8 M, 9 M). Among studied materials, the cell assembled with 6 M KOH gel electrolyte exhibits the highest specific discharge capacity and poor capacity retention. Whereas, 9 M KOH gel electrolyte shows high capacity retention. However, a large amount of hydrogen gas is evolved with 9 M KOH solution. In general, the increase in concentration is related to ionic conductivity. At concentrations above 7 M, the viscosity increases and the conductivity decreases. As a result, compared to other studied materials, 7 M KOH gel electrolyte is suitable for Zn-air batteries because of its higher capacity retention (92.00 %) and specific discharge capacity (351.80 mAh/g) after 6 hr storage.
한지우(Han, Jiwoo),김혜원(Kim, Hyewon),이병흔(Lee, Byeongheun),진승현(Jin, Seunghyeon),권영진(Kwon, Youngjin)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1
본 연구는 건축물 화재 시 개구부를 통한 화재확산방지를 위하여 개구부에 설치되는 유리 종류별 내화성능을 분석한 시험적연구이다. 강화유리, 접합유리, 복층유리, 일반유리 등 4가지 재료를 대상으로 유리구획 부분의 내화시험(KS F 2845)을 실시하였으며, 유리 종류별 화재에 대한 위험성을 분석하기 위해 건축물 용도별 화재실 온도예측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리종류중 접합유리가 617 ℃에 파열되었고, 열에 가장 잘 견디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구획화재온도를 예측한 결과 약 2분만에 617 ℃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되어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개구부에 설치되는 유리에 성능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This is an experimental study that analyzes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types of glass installed in an opening to prevent a fire from spreading through the opening. The fire resistance test for glazed elements (KS F 2845) was performed on four materials: laminated glass, general glass, double-layer glass, and toughened glass. To analyze the risk of fire of each glass type, the temperature prediction of the fire room in the building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laminated glass ruptured at 617 ℃, and it was found to be the most resistant to heat amongst all the glass types. Additionally, the temperature of the fire in the compartment was predicted to reach 617 ℃ in 3 min. A performance review is required for the glass installed in the opening to prevent the fire from spreading.
원격검침용 수도계량기 데이터의 결측치 유형별 보완 방법에 관한 비교 연구
한지우 ( Jiwoo Han ),김태현 ( Taehyeon Kim ),김기범 ( Kibum Kim ),형진석 ( Jinseok Hyung ),구자용 ( Jayong Koo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최근 ICT 융합, 빅데이터, IoT와 같은 기술의 발달로 상수도 분야에 해당 기술들이 융합된 사업이 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스마트워터시티(Smart Water City, SWC) 사업이 있다. 국내에서는 2010년대 중반부터 여러 지자체에서 SWC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SWC 사업에 필요한 핵심 기술 중 하나가 원격검침용 스마트 수도계량기이다. 원격검침용 스마트 수도계량기는 각 수용가의 시간별 물 사용량을 수도사업자에게 원격으로 전송해 기존의 인력 기반 계량 방식을 보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통신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일부 데이터의 결측(missing)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원격검침 데이터의 결측 문제는 수용가별 실시간 물 사용량 모니터링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결측치 보완 기법 중 최적의 보완 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평균대체법, 선형보간법 등 기본적인 통계 방식을 활용하여 데이터의 결측치를 보완하는 방식을 제시하였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수용가의 기존물 사용량 패턴 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연구대상지역의 수용가별 물 사용량 원격 검침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계수, ARIMA 기법, SVM 기법을 이용한 결측치 보완 기법의 예측 정확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물 사용량을 모두 알고 있는 데이터를 각각 5%, 10%, 20%의 결측률을 갖도록 전처리를 수행한 후, 각 Case별로 연속 결측 시간 유형을 단기(1시간), 중기(6시간), 장기(24시간)로 구성하여 총 9가지 Data set을 구성하였다. 생성된 Data set의 결측값을 앞서 제시한 기법으로 보완하여 Data set 별로 예측값과 실제값 간의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기법을 선정하고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법을 활용을 통해, 실시간 물 사용량 모니터링 시 원격 검침 데이터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실시간 야간 최소유량 산정, 실시간 유수율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위험성 분석 및 현장조사에 관한 연구
한지우 ( Han Ji-woo ),이병흔 ( Lee Byeong-heun ),진승현 ( Jin Seung-hyeon ),권영진 ( Kwon Young-j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8 No.1
The fire at the pilotis parking lot shows the fire propagation paths that are propagated to the ceiling materials and insulation materials and propagated through the external walls. In addition, there is a high risk of fire caused by vehicles with high combustion loads spreading throughout the parking lot. In particular, the omission of the ceiling materials at the parking lot in recent fire cases has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the fire. In this study, the combustion performance of the ceiling materials between the insulation material and the vehicle is considered to prevent fire from spreading. Based on field research, the type of ceiling material used in the piloti structure showed that SMC ceiling materials have the highest percentage. Combustion performance test (KS F ISO 5660-1) was carried out on the SMC ceiling materials and the AL ceiling materials to review the fire safety of the ceiling finish based on the field investigation. The results of the test showed that the SMC ceiling materials has a THR 28.973[MJ/㎡] and peek HRR 273.93 [kW/㎡], while the AL ceiling material has a THR 0.584[MJ/㎡] and peek HRR 15.215[kW/㎡].
대형공간의 연기확산 방지를 위한 국내·외 방연구획 기준 분석에 관한 연구 -고양시 터미널 화재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김혜원 ( Kim Hye-won ),한지우 ( Han Ji-woo ),이병흔 ( Lee Byeong-heun ),진승현 ( Jin Seung-hyeon ),권영진 ( Kwon Young-j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8 No.1
In this study, it analyses the problems of the Fire Compartment in Goyang Bus Terminal. Based on analysed data, it is confirmed the necessity of the Smoke Compartment installation for Protecting the Smoke Spread in Large-Scale Buildings using of FDS(Fire Dynamics Simulation). In addition it suggest that the necessity of Smoke Compartment application method and Development of Design Guideline.
신영덕 ( Shin Yeoung-deok ),한지우 ( Han Ji-woo ),이병흔 ( Lee Byeong-heun ),권영진 ( Kwon Young-j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9 No.1
Smoke and fire spread throughout the building as a result of problems in the fire prevention section of Uijeongbu Apartment Fire in 2015 and Jecheon Sports Center Fire in 2017 in Korea, causing a number of casualties. It is believed that the fire compartment standards need to be reviewed as the fire in recent buildings continues to show problems. In this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fire prevention zone standard with Japan to improve the fire compartmente standard in Korea.
국내·외 누설률에 관한 기준 분석을 통한 국내 연기제어 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김혜원 ( Kim Hye-won ),한지우 ( Han Ji-woo ),이병흔 ( Lee Byeong-heun ),진승현 ( Jin Seung-hyeon ),권영진 ( Kwon Young-j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8 No.2
On this Study, it conducts the Standards investigation about air leakage of Building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Smoke control in Fire. In domestic standards, it is incomplete the Criteria standards of air leakag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won’t limit the smoke spread due to stack effect. But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it conducts the Hot smoke air-Leakage test and it consider that can prevent the Smoke Spread in Compar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