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e-포트폴리오 활용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 사용효능감과 시스템 품질 인식에 대한 구조관계 규명

        한정선 ( Jungsun Hahn ),강명희 ( Myunghee Kang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대학 e-포트폴리오 환경에서 e-포트폴리오 활용성과(사용정도, 만족도, 지속사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 사용효능감과 시스템 품질 인식(기술 품질 인식, 정보 품질 인식, 서비스 품질 인식) 간의 구조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대학 e-포트폴리오를 성공적으로 정착 및 확산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A 대학에서 교내 e-포트폴리오 시스템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1) 시스템 사용효능감과 시스템 품질 인식, (2) 기술 품질 인식과 만족도, (3) 정보 품질 인식과 사용정도, (4) 사용정도와 만족도, (5) 만족도와 지속사용 의향 간의 직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그 밖의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1) 시스템 사용효능감과 e-포트폴리오 활용성과, (2) 기술 품질 인식과 지속사용의향, (3) 정보 품질 인식과 만족도 및 지속사용의향, (4) 사용정도와 지속사용의향 간의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그 밖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교육에서 e-포트폴리오의 성공적 정착 및 확산을 위한 기술 및 정보 품질 인식과 시스템 사용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solutions to enable successful adoption and diffusion of e-portfolios by examining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portfolio self-efficacy, perceived quality(perceived system quality, perceived information quality,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system use,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to use. For this, 216 undergraduate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e-portfolio system for self-regulated learning within a university in South Korea completed surveys. The findings revealed the significant direct relationships between (1) e-portfolio self-efficacy and perceived quality(perceived system quality, perceived information quality,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2) perceived system quality and satisfaction, (3) perceived information quality and system use, (4) system use and satisfaction, (5)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to use. On the other hand, the other direct relationships were not significant. The findings showed the significant indirect relationships between (1) e-portfolio self-efficacy and system use, satisfaction, continuance to use, (2) perceived system quality and continuance to use, (3) perceived information quality and satisfaction, continuance to use, (4) system use and continuance to use, while the other indirect relationships were not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strategies to improve perceived system quality, perceived information quality, and e-portfolio self-efficacy for successful adoption and diffusion of e-portfolios in higher education.

      • KCI등재

        대학 플립드러닝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관계

        한정선 ( Jungsun Hahn ),김진희 ( Jinhee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1

        최근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대학교육에서 플립드러닝이 전통적 교육방식을 뒤집음으로써 학생과 교수 및 동료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혁신적 교수법으로 각광 받고 있다. 플립드러닝은 전통적 수업방식을 학습자 중심 수업방식으로 전환하는 교수-학습 모형으로, 플립드러닝의 효과성 요인은 투입 및 과정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규명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플립드러닝의 효과성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투입 요인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과정 요인으로 교수실재감을 선정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A 대학에서 7개 교과목(경영학, 경제학, 토목공학, 체육학, 교양)의 수강생 218명을 대상으로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하였고,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직접효과는 유의하였다. 즉, 대학 플립드러닝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교수실재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교수실재감은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었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교수실재감을 매개로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효과적인 대학 플립드러닝 운영을 위해 본 수업에 앞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킨 후 플립드러닝을 적용하고, 수업 중 학생들의 교수실재감을 높이는 교수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In response to recent social demands for competency-based learning, flipped learning in college education is becoming a popular innovative teaching method to enhance interaction with students, professors and colleagues. Though flipped learning is the teaching-learning model that converts traditional teaching method into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there is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the key factors of input and process influencing learning outcomes of flipped learning.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needs to be identified Integrally in terms of the inputs and processes. Thus, this study selected academic self-efficacy as an input variable and teaching presence as a process variable, and verified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and perceived achievement in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218 undergraduates at a university in South Korea completed surveys. The findings showed the significant direct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and perceived achievement. In detail, academic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teaching presence, teaching presence positively affected perceived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Furthermore, academic self-efficacy indirectly effected perceived achievement through teaching presence. These findings imply that academic self-efficacy should get ready in advance before flipped learning and teaching presence should be cultivated through a professor’s role of designing the course, lecturing the learning contents, and facilitating students'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author suggested the practical strategies for enhanc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teaching presence in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진로 및 동기강화 집단상담이 학사경고생의 학습동기, 진로결정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정선(Hahn Jung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사경고생의 학업문제 해결을 지원하기 위한 진로 및 동기강화집단상담이 학습동기, 진로결정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A대학에서 진로 및 동기강화 집단상담에 참여한 학사경고생 24명을 대상으로 학습동기, 진로결정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프로그램 전·후에 조사한 후, 사전-사후 차이를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사경고생의 학습동기, 진로결정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이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학습동기의 하위요인 중 수업동기, 진로결정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목표 설정,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 중 필요한 도구를 갖는 행동, 목표 달성을 위한 실천적 노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향후 학사경고생을 대상으로 한 집단상담 연구 및 실천에 있어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 career and motivation focused group counseling to assist learning problems of undergraduates on academic probation. For this, the group counseling was implemented to 24 students with academic probation at A university in the Gyeonggi-do, and analyzed how much learning motiva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creased after the counseling through t-test. The findings revealed that all of learning motiva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ignificantly improved. Class motivation of learning motivation, goal setting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taking the means for career preparation and putting into action toward career goa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ignificantly increased, as well.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a few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the future studies and practices of a career and motivation focused group counseling for undergraduates with academic probation.

      • KCI등재
      • KCI등재

        혼합형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원격대학생의 지각된 과제가치, 인지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구조 관계

        강명희(Kang, Myunghee),유은조(Eunjo Yoo),한정선(Jungsun Hahn),류혜선(Hyesun You)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평생교육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원격고등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되는 혼합형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동기, 학습과정 변인의 직·간접 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사용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K 원격대학의 혼합형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성인학습자 217명을 대상으로 학습동기 변인인 지각된 과제가치, 학습과정 변인인 인지실재감, 그리고 학습결과 변인인 학습성과를 상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모형은 Hu와 Bentler(1999)의 적합도 기준을 충족하였고, 지각된 과제가치는 인지실재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었고, 인지실재감은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었다. 또한 지각된 과제가치는 인지실재감을 매개로 하여 학습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 혹은 면대면 학습 환경에서 주로 논의되었던 학습동기 및 과정 변인의 예측력을 혼합형 학습공동체 상황에 적용하여 주요 학습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이로부터 원격고등교육을 지원하는 혼합형 학습공동체의 설계 및 실천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guidance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blended learning community to support distance learning by investigating the factors related to a learning outcome. We have developed a structural model of perceived task value, cognitive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 consisted with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Data from self-report survey with 217 adult learners enrolled in K distance institution in Korea has been collected. The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18.0 showed that the hypothetical model has a good model fit verified on χ² test and RMSEA, TLI, CFI, NFI tests. The findings, therefore, indicated that perceived task value significantly affected cognitive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in turn, significantly affected learning outcome. In addition, the indirect effect of task value on learning outcome with mediation of cognitive presence was verified. The contribution of the study would be the extended perspective of task value and its relationship with cognitive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 in blended learning context. This result could give a guideline in design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in implementing an effective blended learning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