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입원 폐암환자의 수면의 질

        한영인,손수경,Han, Young-In,Sohn, Sue-Ky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8 No.1

        목적: 본 연구는 입원한 폐암환자의 수면의 질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목적은 대상자의 제(인구사회학적, 질병관련) 특성을 파악하고, 수면의 질과 제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을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B시에 소재한 K대학 부속병원에서 임의표집 한 입원 폐암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1년 1월 21일부터 4월8일까지였다. 자료수집방법은 환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대상자가 직접 기입하도록 하여 회수하였다. 측정도구는 수면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오진주 등(1999)이 개발한 15문항으로 구성된 '수면측정도구 A'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실수와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ost-hoc test(Scheffe's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수면의 질은 평균 $35.64{\pm}7.59$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제 특성과 관련된 수면의 질은 현재 통증(t=-1.943, P=.046), 주간호제공자(F=2.863, P=.047), 체중의 변화(F=5.906, P=.01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정(Scheffe's test)결과 체중 증가군($43.50{\pm}4.03$)이 체중변화가 없는 군($29.44{\pm}6.00$)보다 유의하게 수면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폐암환자의 수면의 질과 관련된 변수로 나타난 현재 통증, 주간호제공자, 체중변화의 요인들을 간호제공 시 고려함으로 폐암환자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폐암환자의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해 수면에 영향을 주는 다른 변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고, 수면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방안의 개발이 요구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quality of sleep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lung cancer.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April 2001. Study subjects were 50 lung cancer patients hospitalized at K University and G hospital in Busan, Korea. Quality of sleep was measured using the Quality of Sleep Scale (range $15{\sim}60$) developed by Oh et al (1999).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0.0 program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4 and Post-hoc test (Scheffe's tes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The mean quality of sleep score was $35.64{\pm}7.59$ (range: $21{\sim}52$). 2) There was 3 Significant difference in 'ongoing pain' (t=-1.943, P=.046), 'major caregiver' (F=B863, P=.047), 'change of weight' (F=5.906, P=.019),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quality of sleep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lung cancer. Conclusion: As a results, the level of the quality of sleep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lung cancer was moderate. And,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ongoing pain, major caregiver, change of weight impact the quality of sleep of lung cancer patients. Therefore, nurses should consider those factors in providing nursing care for hospitalized patient with lung cancer.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간호의 사회화 체험

        홍영혜(Hong Yong-Hae),오혜경(Oh Hye-Kyung),한영인(Han Young-In) 질적연구학회 2007 질적연구 Vol.8 No.2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s and nature of the lived socialization experience of the diploma nursing students. Method of this study was adopted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human science approach developed by van Manen.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8 diploma students, between the age of 23 and 35, who were healthy without any particular diseases. The 8 diploma students who had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were interviewed by the researchers under a private and comfortable environment. In collecting data for this study, in-depth personal interviews, transcriptions and observations were made by the researchers for 20days from January 22nd to February 15th, 2007. During the personal interviews the semi-structured questions were asked to the diploma nursing students to speak freely about the 'lived socialization experience' and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ee or four times per student for 50 to 120 minut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way of study that was developed by van Manen.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ix essential themes of the lived socialization experience of the diploma nursing students were found through this study 〈Mystery of the human body〉, 〈Too heavy a burden of study〉, 〈Keen competition〉, 〈A critical situation〉, 〈Support〉, 〈Becoming matured〉. Through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iploma students consider the nursing science as a process of offering care to the patients with love, while acquiring knowledge of the academic and emotional personality. Conclusion: Studying the nursing science, indeed, means facing a desperate situation in which one has to struggle to survive in fierce competition within limited time. However, the students can stand all the hardships due to the hope for the future and the definite goals. Ultimately, they become mature by enhancing their understanding toward others. This study suggests visions and possibilities of the nursing profession by comprehending the meanings and nature of the lived socialization experience of the diploma nursing students.

      • KCI등재

        간호관리학 교과목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CEA의 적용 가능성 고찰

        한영인(Han, Young 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간호관리학 교과목 학습성과 평가에 CEA(Course embedded assessment)을 적용하기 위한 문헌연구로 시행하였다. 선행연구과 미국대학평가사 무국의 자료를 통해 CEA의 개념, 장․단점, 단계, 적용 시 주의사항 등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간호관리학 교과목 학습성과 평가체계에 적합한 CEA모형과 세부지침을 제시하였다. 이를 근거로 간호관리학 교과목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CEA 평가체계와 세부지침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CEA 단계별 간호관리학 교과목 학습성과 평가체계를 구축한다면 일관성 있는 간호관리학 교과목 학습성과 평가체계를 통해 간호관리역량 향상과 지속적인 간호관리학 교과목 학습성과 질적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possibility of adaptation of course embedded assessment for course outcome in nursing manage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course outcome in nursing management through literature & Office of Assessment web site reference review on concept, advantage, disadvantage, process, measure, tool and precaution. This study was confirmed by the Nursing Management subjects the possibility of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in the CEA program evaluation system. In conclusion, if you build a Nursing Management course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system is believed to contribute to the consistent quality of nursing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courses to evaluate for improvement in nursing management capabilities.

      • KCI등재

        융복합기반 외상간호 통합시뮬레이션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창의적 리더십 및 창의적 직무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영인(Han Young 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vergence-based trauma care integration-simulation learning on creat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s creative job performance on nursing students. Pretest-posttest design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utilized to analyze the effects of convergence-based trauma care integration-simulation learning. Participants were 48 nursing students in K university located in K city.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8 week. The model applied to develop convergence-based trauma care integration-simulation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by selecting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win 21.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s creative job performance of convergence-based trauma care integration-simulation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In conclusion, The current reasearch results is meaningful to provide the specific instructional model and case how to apply the convergence-based trauma care integration-simulation learning for school and corporate educational settings. 본 연구는 융복합기반 외상간호 통합시뮬레이션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창의적 리더십 및 창의적 직무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유사실험연구이다. 융복합기반 외상간호 통합시뮬레이션 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적용한 모형은 ADDIE 교수설계모형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하는 K대학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군 24명, 대조군 24명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8월 26일부터 10월 25일까지 8주 동안 진행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이경화·박춘성(2013)이 연구 개발한 성인의 창의적 리더십과 창의적 직무수행의 측정도구는 George와 Zhou(2001)가 개발하고 김봉환(2002)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융복합기반 외상간호 통합시뮬레이션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창의적 리더십 및 창의적 직무수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융복합기반 외상간호 통합시뮬레이션 실습은 학교나 간호실무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모형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서라운드 뷰 영상에서의 가버 (Gabor) 필터와 폴라 (Polar)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정지 및 이동 물체 검출 알고리즘

        표영일(Young-Il Pyo),이병은(Byeong-Eun Lee),한영인(Young-In Han) 한국자동차공학회 2012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2 No.11

        In this paper stationary and moving objects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the Gabor filtering and Polar histogram is proposed. To generate the surround view, acquired images from four fisheye cameras that are mounted on the car are used. After generating surround view, object detection algorithm is applied to this view. The procedure of object detection algorithm is as follows. In the first step, Finding areas that are considered as object, Gabor filter is used. Differently from general view image, objects in surround view appears horizontally. Using this characteristic, Gabor filter is used in the direction of 0 degree only. After using Gabor filter, to increase the accuracy, Canny edge detection is used to eliminate false areas that are detected in the first step. The objects exist in surround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camera optical axis radiation. Using this characteristic, Polar histogram is extracted and bins that have high value than threshold value are determined objects. The proposed algorithm have the recognition rate of 94% in the indoor and outdoor place videos with vehicle is stopped.

      • KCI등재

        대학생의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에 대한 인식, 교육 및 수행자신감에 관한 연구

        한영인(Han, Young 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에 대한 인식, 교육 및 수행 자신감에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2017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G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교에서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으며, 219명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대학생의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사용법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높았으며, 학교 내에서 교육이 이루어졌다. 대학생의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에 대한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 자동제세동기 교육 경험, 학과계열, 심폐소생술 교육의 필요성, 심폐소생술 자격증,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보편화에 대한 인식, 최초 목격자로써 가슴압박 수행경험,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 등으로 설명력은 59.3%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대학생의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사용에 대한 인식과 교육 및 수행자신감과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hat was carried CPR and AED use awareness, education, and confidence to perform of University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 to November 30, 2017. Structural questionnaire were completed by 219 nursing students in G city.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students were aware of CPR and AED, and education was done in school. Factors were influencing confidence to perform of CPR and AED in University students include grade, experience of AED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necessity of CPR education, CPR certification, CPR and generalization of AED, Experience of chest compressions, awareness of CPR, etc 59.3%.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related to CPR, confidence to perform, and awareness about the use of AED.

      • KCI등재

        문학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영인(Han Young 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문학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시에 위치하는 K대학 간호대학생으로 편의표집하였다. 문학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적용한 모형은 ADDIE 교수설계모형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 3월 21일부터 4월 23일까지 8주 동안 진행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윤진(2004)이 개발한 도구 비판적 사고 성향과 한국교육개발원(2003)에서 개발한 문제해결 능력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문학기반학습이 비판적 사고 성향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문학기반학습은 학교나 간호실무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모형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terature-based learn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Participants were 60 nursing students in K university located in K city.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8 week. The model applied to develop literature based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by selecting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win 21.0 program. Pretest-posttest design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utilized to analyze the effects of literature-based learn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literature-bas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In conclusion, The current reasearch results is meaningful to provide the specific instructional model and case how to apply the literature-based learning for school and corporate educational settings.

      • KCI등재

        핵심간호시뮬레이션 실습교육 개선을 위한 SBAR-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한영인(Han Young 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본 연구목적은 핵심간호시뮬레이션 실습교육 개선을 위한 SBAR-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명확성, 창의융합역량,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교육프로그램은 ADDIE(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모델을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적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1년 5월 24일부터 6월 18일까지 G 대학교 간호대학생 총 48명(실험군 24명, 대조군 24명)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 X2-test,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SBAR-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을 적용한 핵심간호시뮬레이션 실습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명확성(t=-2.224, p=.032), 창의융합역량(t=-3,329, p=.002), 간호업무성과(t=-3,062, p=.004)가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새로운 교수학습법을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결론 결론적으로 SBAR-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을 적용한 핵심간호시뮬레이션 실습이 교내실습이나 간호실무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모형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BAR-Capstone design program to improve core nursing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and to verify the effects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clarity,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and nursing performance. Methods The educational program of this study was developed based on the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execution, evaluation) model. The study design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in which a design before and after an inequality control group is applie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24 to June 18, 2021 for a total of 48 nursing students at G University (24 in the experimental group, 24 in the control group).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X2-test,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using SPSS/WIN 23.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The core nursing simulation practice applied with the SBAR-Capstone design program showed the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clarity (t=-2.224, p=.032),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t=-3,329, p=.002), and nursing performance. (t=-3,062, p=.004) showed a significant effec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a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onclusions In conclusion, it is significant that the core nursing simulation practice applied with the SBAR-Capstone design program presented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classroom practice or nursing practice field.

      • KCI등재

        글 쓰는 노동자들의 시대 -1980년대 노동자 “생활글” 다시 읽기-

        한영인 ( Young In Ha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6 No.-

        이 논문은 1980년대에 생산되었던 노동자들의 ‘생활글’을 재독하는 것에 그 목 적이 있다. 1980년대 민중문학론자들은 기존의 시민문학과 소시민문학을 대타화하면서 보다 철저한 민중적 관점에 입각한 문학의 필요성을 역설한 바 있다. 이 과정 에서 노동 야학의 문집과 노동조합 회보 등에 실린 노동자들의 ‘생활글’들은 민중문 학론자들에 의해 반영하려는 현실과 반영하는 주체가 드물게 일치되는 리얼리즘 미 학의 정수를 담고 있는 양식으로 고평 받았다. 하지만 1980년대 노동자 ‘생활글’은 민중성이나 계급성, 리얼리즘 미학이라는 기 준 이외에도 랑시에르가 말한 ‘미학의 정치’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때 그 의미가 새 롭게 독해될 수 있다. 랑시에르의 관점을 빌어 말하자면 1980년대 노동자 ‘생활글’ 은 ‘말’이라는 공동체의 소유물로부터 소외되어 있던 노동자들이 비로소 ‘말하는 입’을 얻어 사회라는 공동의 공간을 향해 그 자신들의 존재를 발화하기 시작한 일대 사건이었다. 이 사건성은 당대의 전문 문인들과의 비교가 아니라 지식인들에 의해 불완전하게 재현될 수밖에 없었던 존재들이 글쓰기라는 행위를 통해 자신을 사회 속에 드러내려 했다는 점에 주목할 때에야 비로소 파악될 수 있다. “무엇이 말이고 무엇이 외침인지를 결정하는 하나의 갈등”(랑시에르)이 정치라고 했을 때, 1980년 대의 노동자들은 ‘생활글’을 통해 비록 서툴고 미숙하게나마 자신들이 “정의와 불의를 공동적으로 제기할 수 있는 말을 소유하고” 있는 존재라는 점을 드러냄으로써 그들 나름의 “미학의 정치”를 수행했던 것이다. 랑시에르는 정치를 하나의 공동체를 질서정연하게 꾸려나가는 기술이 아니라, 공 동체의 다양한 부분들이 자신의 몫을 정당하게 주장하는 계쟁으로 정의한다. 그것은 곧 공동체 내에서 불화를 야기하는 것이며 이 불화는 기본적으로 사회 구성원의 ‘합 의’를 깨는 순간 발생한다. 가령 무식하고 배운 것 없는 노동자들이 “참된 자유, 참 된 평등” 혹은 “인간답고 진실한 삶”에 대해 고민하고 이야기할 때 사람들은 “자기 주제도 모르는 무식한 인간이라고 손가락질하며 비웃는다.” 노동자들은 그런 말을 할 수 없는 존재라는 광범위한 사회적 합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식한 노동자에게 보내는 이 비웃음은 비웃음당하는 노동자들이 자신 역 시 사회의 한 평등한 구성원임을 주장하는 순간 그 효력이 일시 정지된다. 사회적 합의는 도전받고 흔들리며 이내 공동체는 어지러운 계쟁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이러한 계쟁은 노동자가 할 수 있는 말과 할 수 없는 말, 혹은 해야 하는 일과 해서는 안 될 일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기각되면서 공동체 내에서 새로운 불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기존 사회와의 불화 속에서 노동자들은 이전까지 그들에게 허락되지 않았던 것들을 당당하게 요구하게 된다. 1980년대 노동자 ‘생활글’은 자신들이 노동자들이 자기 스스로를 다른 사회의 구성원과 다름없는 평등한 존재라는 선언을 통해 이를 통해 기존 사회에 강하게 드리워져 있던 경계선을 뒤흔들었다. 이 뒤흔듦은 감각적인 것의 경계를 새롭게 나는 것인 동시에 그 자체가 이미 성취된 해방이었다. 그것은 제도로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섬광처럼 감각되는 것이다. 물론 이 감각은 일시적이며 새롭게 치안에 의해 재분할되기 쉽다. 하지만 이러한 치안에 의한 재분할 된 경계를 끊임없이 다시 되묻 는다는 점에서 해방을 감각하는 일은 마치 영구혁명과도 같은 것이다. 1980년대 노 동자 ‘생활글’을 다시 읽을 때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사회가 그어놓은 치안의 경 계를 넘어 보편과 평등의 꿈을 발화했던 이러한 순간들이다. This paper is trying to reread the workers` life-writings of 1980`s. In 1980`s the literator of people`s literature put emphasis on the necessity of literarature more based on people`s perspective, otherizing citizen literature and petit bourgeois literature. In this context, working class` life-writings, which is the product of coincidence between the world and subject, has been reviewed as the quintessence of realism, with exposing popularity of people`s literature. However, with Ranciere`s perspective of ‘politics of aesthetics’, this paper is attempting to reveal new meaning of worker`s writing, beyond popularity, classness and realism aesthetics. In the light of Ranciere`s concept, workers` life-writings of 1980`s could be considered as an ‘event’ which spoke their existences to the society of the communal community, with their “telling mouth” Therefore, this eventness can be only grasped by focusing on that they exposed themselves with their writings. Worker`s life-writings of 1980`s shaked established boundary through declaration that they are equal to others. This shaking was not only new division of the boundaries, but also accomplished emancipation itself. This could not be maintained as institution, but be felt as flash. Of course, this sensation is temporary and likely to be newly redistributed by the police. However, in a regard to asking again the redistributed boundaries, the event of having a perception of emancipation should be regarded as the permanent revolution for emancipation. While rereading the workers` life-writings of 1980`s, we need to have the moment in our keeping, when the dream has been spoken toward the universality and the equality beyond established police`s boundary. The permanent revolution for emancipation should begin with this tiny crack.

      • 위암환자의 피로와 영양상태의 관계

        손수경(Shon Sue-Kyung),한영인(Han young-In),김경희(Kim Kyoung-Hee) 고신대학교 전인간호과학연구소 2003 전인간호과학학술지 Vol.2 No.-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nutri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Design: A correlational and crossectional study design was used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to August 2002. 59 subjects with gastric cancer were recruited K university hospital in Busan, Korea. Fatigue was measured using the Revised Piper Fatigue Scale developed by Piper et. al(1998). The parameters for nutritional status included body weight, body mass index, hemoglobin, Hct, total protein, albumin and lymphocyte count. Result: 1)The fatigue score was mean 94.31土22.08(mean average 4.48土1.00) the subdimension that showed behavior/severity score at 34.15±8.76, cognitive/mood score at 22.00土7.93,sensory score at 21.67±5.56, and affective score at 20.81±6.69. And among the parameters for nutritional starus, BMI, Hb, Hct were not included normal rage. 2)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sent diet(F=3.343, P=.026)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fatigue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3) The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Age, treatment type, after period diagnosis, care giver, payment were frequently related to poorer nutritional status. Subjects received chemotherapy showed lower lymphocyte level than subjects received operation, and the subjects were diagnosis less than 1 month, were showed lower Hematocrete level. 4)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atigue and nutritional status(r= -.371, P=.004). Conclusio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experience in fatigue.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nutritional status, nurses can identify the risk group most vulnerable to fatigue and malnourishment in order to provide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