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시〉에 나타난 속죄와 용서의 가능조건에 대한 고찰

        한래희(Han, Lae-Hee)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3 No.-

        본고는 이창동 감독의 다섯 번째 영화 〈시〉가 〈밀양〉의 문제의식을 이어받아 속죄와 용서의 가능조건을 탐색하는 영화라는 점을 논증한 후, 그런 탐색의 결과 영화가 제시하고 있는‘시의 윤리’의 의미와 시사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시〉의 문제성 파악을 위해서는 이전 작품인 〈밀양〉의 탐구가 담긴 과제를 우선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밀양〉에서 주인공 신애는 아들을 잃은 이후 신앙을 통해 정신적 평온을 되찾지만 범인과의 면회에서 신께 용서를 받았다는 말을 듣고 정신적 공황상태에 빠진다. 영화는 신애의 정신적 붕괴를 통해 교환의 질서속에서 용서는 교환의 논리에 종속되지 않을 수 없고 피해자의 고통에 대한 공감 없는 용서는 불가능한 것임을 드러낸다. 〈시〉는 피해자에서 가해자로 초점을 이동하여 용서의 전제조건으로서의 속죄의 문제를 탐색한다. 〈시〉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여중생 성폭력사건과 주인공의 시쓰기 시퀀스가 교차 편집되어 제시된 이유와 영화 말미의 시낭송 시퀀스의 의미이다. 〈시〉는 성폭력 사건과 시 쓰기라는 이질적 사건이 병치되며 독자로 하여금 왜 두 이질적 플롯이 교차되는가라는 의문을 불러일으킨다. 이 의문은 미자가 남긴 ‘아네스의 노래’가 낭송되는 시퀀스를 통해 해명의 열쇠를 찾을 수 있다. 성폭력 사건이 마무리되기 전, 주인공 미자는 고발이냐 침묵이냐의 선택앞 놓이게 된다. 영화는 손자의 고발을 택한 미자를 통해 피해자의 위치에서 고통을 몸으로 경험하는 것이 속죄의 시작임을 암시한다. 용서의 전제조건으로 속죄는 피해자의 고통과의 대면을 요청한다. 속죄의 종결에 대한 어떠한 보증도 없지만 피해자의 위치로 주체를 이항하는 것, 피해자의 고통에 자신을 열어놓는 것, 속죄는 여기에서 시작한다는 것을 미자의 애도는 보여준다. ‘아네스의 노래’가 미자에 이어 죽은 여학생의 목소리로 낭송될 때 배경화면들은 미자가 피해자의 흔적을 쫓아 찾아다녔던 장소들로 밝혀진다. 시의 내용은 아픔과 후회가 아니라 고통이 사라진 세계에 대한 지향을 보여준다. 이런 구성을 통해 영화는 미자의 시쓰기가 다른 인물들과 달리 피해자의 고통에 자신을 열어놓으면서 고통이 승화된 세계에 대한 꿈에서 탄생한 것임을 보여준다. 영화 〈시〉의 문제제기의 특이성은 고통에 대한 공감과 고통의 대면은 고통의 세계 속에서 세계를 아름답게 보려는 의지에 의해 뒷받침될 때 실천적 힘을 지닐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 데 있다. 그리고 고통에 대한 감수성이 고통부재의 세계에 대한 갈망에 기초할 때 고통의 삶은 아름다움의 조건이 될 수 있음을 환기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시〉는 속죄와 용서의 가능 조건을 탐구하면서 고통의 세계 너머에 대한 꿈을 관객 또한 공유하기를 바라는 영화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way movie ‘Potery’ by Changdong-Lee explores the atonement and forgiveness. 〈Poetry〉 shares the same problems as 〈Secret Sunshine〉. The condition of possibility of atonement and forgiveness and poetic ethics which 〈Poetry〉 shows is the main issue of this thesis. The man character Sinae in 〈Secret sunshine〉 falls in a state of panic after she heard that the criminal who kidnapped and killed her son has been forgiven by god. The movie reveals that forgiveness in order of exchange can’t help being dominated by the logic of exchange and forgiveness without sympathy with the suffering of victim is impossible. 〈Poetry〉 shifts the focus from victim to assailant and explore the atonement as the precondition of forgiveness. Sexual violence and writing poem sequence is two main point to understand this movie. In 〈Poetry〉 the sequence of sexual violence in middle school are juxtaposed with the sequence of writing poem by Mija-Yang, which cause the question of how two different sequences are crossed. We can find the answer in the sequence of reciting the poem ‘the song of agnes’. Mija-Yang runs into the choice : accusation or silence. Accusation would give Mija lifelong sense of guilt because she should abandon the most precious thing. She can’t choose silence because silence means that she turns her face away from victim’s suffering. 〈Poetry〉 suggest that atonement comes from experiencing the suffering of victim, and the condolence to victim is the essential part of society. The background is the places where Mija-Yang traced victim as ‘the song of agnes’ is recited. The contents of the poem shows the dream of world without suffering. 〈Poetry〉 shows that Mija’s writing poem comes from dream of sublimation. Atonement as the preconditon of forgiveness calls for facing with suffering. The meaning of 〈Poetry〉 can be summarized as this ; the facing the victim’s suffering can be the practical power when it is supported by the will of seeing the world beautiful in painful world, and painful life can be the precondition of beautiful world when sensitivity to suffering is based on the longing for painless world. In this sense, 〈Poetry〉 is the movie which explore the condition of atonement and forgiveness and ask the audiences for sharing the dream of world witiout suffering.

      • KCI등재

        김현 비평에서 “공감의 비평”론과 “현실 부정의 힘으로서의 문학”론의 상관성 연구 -아도르노 미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래희 ( Lae-hee Ha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4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3

        이 글은 김현의 『문학과 유토피아』라는 평론집에 ‘공감의 비평’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라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문학은 유토피아에 대한 꿈’이라는 명제가 문학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것이고 ‘공감의 비평’이 김현이 비평가로서 작품을 대할 때 지향하는 태도와 관련된 것이라고 할 때 제목과 부제의 연관성은 겉보기보다 이해하기 쉽지 않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본고는 ‘공감의 비평’이 ‘현실 부정의 힘으로서의 문학’론과 어떻게 연결되며 그것이 가진 비평사적 의미와 한계는 무엇인지에 대해 탐구해 보았다. 이를 위해 김현이 문학론을 정립할 때 영향을 받았던 아도르노 미학의 주요 개념을 살펴보고 그것을 김현이 어떻게 수용, 재구성하였는지에 대한 논의를 우선적으로 진행하였다. 수수께끼, 가상, 비존재자의 드러남, 유토피아 등의 아도르노적 개념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아도르노 미학에서 예술이 사회에 대한 부정이 될 수 있는 것은 예술이 사회에서 물화의 상태에 빠진 존재자와 다른 ‘비존재자’를 드러내고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초월’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문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김현의 비평적 태도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김현이 아도르노 미학을 어떤 방식으로 수용, 재해석하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김현이 아도르노 이론에 주목했던 것은 직접적 방법을 통한 문학의 사회 참여가 예술이 자기를 부정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통찰이다. 부정적 사회에 대한 저항과 부정은 형식을 통한 형상화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아도르노적 관점은 김현이 문학적 형식을 강조하게 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그런데 문학적 형상화가 사회에 대한 부정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매개가 필요한데 김현 비평에서 그것은 본질을 형태 속에 잡아내려는 의지이다. 이런 의지는 예술 탄생의 내재적 요인이 아리라는 점에서 아도르노 미학과 김현 비평이 갈라지는 지점이 된다. 이렇게 미적 계기와 구별되는 요소로서의 의지가 주체의 ‘감시’와 ‘반성’에 의해 보충될 때 비로소 문학적 체험은 사회에 대한 부정이 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김지하의 시 <무화과>에 대한 김현의 평론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공감의 비평이 사회를 부정하는 힘으로서의 문학론과 연결되는 양상과 조건을 살펴보았다. 공감의 비평은 미적 가상을 통한 화해의 체험이지만 그런 화해는 불가능한 비존재를 통한 초월이라는 점에서 허위의식으로서의 화해이기도 하다. 화해이자 허위의식인 공감의 비평이 부정적 사회와의 싸움의 계기가 되려면 매개 고리가 필요한데 그것이 자기 대상화를 통한 욕망의 분석과 ‘고문하는 의식’을 통한 자기반성이고 이것이 김현의 공감의 비평을 사회 부정의 힘으로서의 문학론과 연결시키는 매개임을 살펴보았다. 문학을 통한 초월이 하나의 ‘물신’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경계, 예술은 허위의 진실을 진실의 허위성에 대한 인식으로 바꾸는 과정이라는 김현의 문학적 입장은 문학이 물신이기를 자처하는 오늘의 사회적 현실에 그의 비평이 던지는 메시지 중 하나일 것이다.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why Kim Hyun`s book, ‘Literature and utopia’ has a subtitle criticism of sympathy. It seems that there is not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title and subtitle because the title ‘Literature and utopia’ means literature is the dream about utopia, and the subtitle is related with the attitude toward literary work. The main theme of this thesis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ism of sympathy and the Kim Hyun`s theory of the literature as the power of reality negation. The theory of Th. W. Adorno has a big impact on the Kim Hyun`s criticism. First of all, I examine how Kim Hyun adopt and reinterpret he theory of Th. W. Adorno. The main concept of Adorno`s aesthetics is the puzzle, aesthetic illusion, revelation of nonexistence. In Adorno`s aesthetics, the reason art is the antithesis of society is that art reveals the nonexistence and we can experience the transcendence which is impossible in real world. Kim Hyun`s theor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ture and the society is another main issue. Understanding the way Kim Hyun adopt and reconstruct the Adorno`s theory is a good way to grasp the issue. Kim Hyun is influenced by the Adorno`s idea that the direct participation in society could bring about the self-negation of art. Adorno`s theory that the resistance through the literary form is the only way to fight the oppressive society contributes the formation of Kim Hyun`s literary theory. Kim Hyun emphasize the will to capture the essence of the reality. This will is the intersection between Adorno and Kim Hyun. Reflection is another important factor for literature`s function as negation of society. We can understand the relationship Criticism of sympathy and Literature as negation of society in Kim Hyun`s criticismby analysing of Kim Hyun`s essay on the poem ‘fig’. Criticism of sympathy is the experience of transcendence through the aesthetic form, but it also means false awareness because such transcendence is not real. There needs to be an intermediation between the criticism of sympathy and the theory of literature as negation of society. Self-reflection and torture is the key of that intermediation.

      • KCI등재

        대학 교양 고전 교육과 상호텍스트성의 활성화-읽기, 토론, 쓰기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래희 ( Lae Hee Ha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0

        본고는 기초 교양 교육의 하나로서의 대학 고전 교육이 가진 문제를 짚어보고 상호 텍스트성의 활성화를 통한 새로운 고전 교육 방법론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된 연구대상은 교양 교육 중 문학 고전 독서·토론 교육으로, 문학 전공자 아닌 대학생 일반을 대상으로 한 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대학 문학 고전 교육은 의사소통능력과 문학적 소양의 함양이라는 이중성을 지니고 있다. 이런 이중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고력 신장, 전인적 변화, 학제적·통합적 사고를 지향하는 고전 교육의 목표는 달성되기 어렵다. 고전 교육에서 상호 텍스트성은 읽기·토론·쓰기의 상승작용과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의미구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인데 지금까지는 상호 텍스트성을 활용한 교육에 대한 심층적 탐구가 깊이 있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본고는 맥락이 대학 교실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도 새롭게 창출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상호 텍스트성을 활성화할 수 있는 원리와 조건을 살피고 그것을 토대로 읽기·토론·쓰기가 유기적으로 연계된 고전 교수 학습 방법론과 수업 모형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논의의 순서를 간략하게 정리해보면, 우선 대학 이전까지의 문학교육의 문제를 진단하여 대학 문학 고전 교육의 당면 과제를 추출하였다. 이어지는 장에서 본고에서 제시하는 교육 방법론의 주요 개념들을 하나씩 소개하고 문학 교육의 소통 구조를 고려하여 상호 텍스트성을 활성화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상호 텍스트성을 최대한 활용해 읽기·토론·쓰기 활동을 유기적으로 연계함으로써 고전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하였다. 우선 교수 학습 방법론의 주요 명제로 고전 텍스트는 불확정성의 영역을 가지고 있다는 점, 불확정성과의 대면이 학생 독자의 선이해에 불편함을 야기하고 그러한 낯섦·불편함을 해소하는 과정에서 사고의 확장, 새로운 의미구성이 가능하다는 점, 그런데 이러한 의미구성의 시도에는 언제나 시간성이 개입한다는 점, 이해의 역사성을 활용하여 읽기·토론·쓰기의 순서를 적절하게 배치하면 새로운 이해의 맥락을 창출하고 있고 이것은 새로운 의미 구성 활동의 기제로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이런 명제들을 토대로 상호 텍스트성의 활성화와 읽기·토론·쓰기의 연계를 이용한 대학 교양 고전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한 교수 학습방법론과 수업 모형은 방법론적 타당성이나 실제 적용가능성 면에서 다듬어야 할 부분이 적지 않지만 더 효과적인 대학 고전 교육의 방법론과 읽기·쓰기·토론을 연계한 통합적 의사소통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a new method of teaching-learning of classical literature in general literature education of University. Main part of this thesis is reading-discussion educ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Th key to that method lies in the use of intertextuality. General literature education in University has two aspect. That is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 and an appreciative power of classical literature. Ceneral literature education cannot its goal without this duplicity. Literature education should focus not on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aculties or learning of knowledge about the classical literature but the student`s whole change through reading and discussion in general literature education class. We usually think that education using the interetextuality is the use of related text or social background. This study start from the idea that the intertextuality can be created in university lecture room, which is useful merhod of understanding classical literature and reader him/herself. We can attain the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by using the use of intertextuality and connection of reading-discussion-writing. The important concept of the method is as follows: The classical literature has the uncertainty, which cause unfamiliarity in reader`s mind. The reader can achieve the construction of meaning b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unfamiliarity. Time plays a important role in the construction of meaning. We can create the new context in class if we arrange the order of reading, discussion, writing. The new context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meaing and the change in reading`s mind.

      • KCI등재

        김현의 ‘공감의 비평’에 대한 정동 개념의 활용 가능성

        한래희(Han, Lae hee) 한국근대문학회 2021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2 No.2

        본고는 김현의 ‘공감의 비평’을 정동(affect) 개념을 활용하여 새롭게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 본고는 김현이 주목했지만 그 함의를 충분히 밝히지 못한 시적 이미지가 지닌 힘을 규명하려면 정동 개념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정동 개념을 토대로 1980년대 후반 김현이 이성부와 최하림 시의 이미지에 주목한 이유와 그 이미지가 지닌 내적 에너지의 정체를 밝힐 수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김현의 공감의 비평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본론에서는 김현 비평에서 공감이 욕망의 승화와 현실의 부정이라는 이중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이유와 문학적 부정의 수행 과정을 검토하였다. 김현은 문학적 상상력이 무의식과 의식 사이의 활동임을 강조하며, 기존의 의미체계에 의해 포섭되기 이전의 영역을 문학적 이미지의 뿌리로 여긴다. 의식이 아니라 불행의 느낌을 통해 현실 부정을 수행한다는 점도 부각된다. 이것은 김현의 공감 개념이 잠재적인 강렬한 에너지로서의 정동에 기초해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긍정을 위한 부정의 태도와 연대 의식에 대한 강조는 공감의 비평이 관념론적 지평에 머물고 있음을 드러낸다. 광주의 비극은 이러한 한계를 노출시킨 사건으로, 광주는 ‘현실/유토피아, 유용/무용’의 이항대립이 정지되는 영도의 지점이라는 점에서 공감의 비평에 대한 근본적 재구성을 요청한다. 이런 상황에서 1980년대 후반 김현은 낙관적인 미래 전망 없이 ‘끔찍한’ 부정성만을 보여주는 이미지에 주목한다. 최하림의 보이지 않는 ‘눈’ 과 이성부의 불타는 ‘몸’에 대한 주목은 김현 비평에서 이성이나 의식이 아니라 전개인적인 ‘몸’이 사회를 부정하는 힘으로 등장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유고집 『말들의 풍경』에서는 죽음의 시대에 문학적 부정의 운동이 동력을 얻으려면 의식보다는 전개인적이고 유동적인 에너지로 충전된 몸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이 부각된다. 1980년대 말 김현의 공감의 비평은 정동의 해방적 가능성 탐구가 시작되고 있음을 보여주지만 그의 육체적 생의 마감과 함께 더 이상의 탐구는 중단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고는 김현이 생애 말기 주목했던 신체적 이미지와 그것을 통한 부정의 운동이 지닌 함의 파악에 정동 개념이 중요한 이론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특정한 의미체계로 해석하기 전에 발생하는 신체의 느낌에서 새로운 세계의 가능성을 탐지하는 것, 신체와 신체가 부딪쳐 변용시키고 변용되는 과정에 주목하는 것, 아직 실현되지 않은 정동의 운동이 미래의 새로운 운동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방법의 탐구가 문학이 수행할 수 있는 현실 부정의 과정임을 김현의 후기 비평은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Kim Hyun"s "criticism of empathy" using the concept of affect. More specifically, this article starts from a sense of problem that refering to the concept of affect is necessary in order to identify the power of poetic images that have not fully revealed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concept of affect,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criticism of Kim Hyun"s empathy under the question of why he paid attention to the image of Lee Seong-bu and Choi Ha-rim in the late 1980s and the identity of the inner energy of the image. Kim Hyun emphasizes that literary imagination is an activity between un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and considers the area before being embraced by the existing semantic system as the root of literary image. It is also highlighted that reality denial is performed through a feeling of unhappiness, not consciousness. This shows that Kim Hyun"s concept of empathy is based on motivation as a potential intense energy. However, the emphasis on the attitude of injustice and solidarity for positivity reveals that the criticism of empathy remains in an ideological horizon. Gwangju asks for a fundamental reconstruction of the criticism of empathy in that it is the point of zero where the binary confrontation between reality/utopia and usefulness/dance is stopped. In the late 1980s, Kim Hyun pays attention to the image that shows "horrible" negativity without an optimistic future outlook. Choi Ha-rim"s invisible "eye" and Lee Seong-bu"s burning "body"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Kim Hyun"s criticism, in which developmental "body" appears as a force to deny society. In Scenery of Words, it is highlighted that in order for the movement of literary injustice to gain momentum in the era of death, more attention must be paid to the body charged with deployment and fluid energy than consciousness. Criticism of empathy in the late 1980s shows that affect"s quest for liberation possibility is beginning, but further inquiry is stopped with the end of his physical life. Through this analysis, this thesis concluded that the concept of affec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theoretical basis for grasping the physical image that Kim Hyun paid attention to at the end of his life and the implications of negative exercise through it.

      • KCI등재

        개별논문 : 자아 이미지와 서사적 정체성 개념을 활용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

        한래희 ( Lae Hee Han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0

        대학 글쓰기 교육은 실용적 성격과 인문학적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본고는 두 측면에서 모두 활용될 수 있는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을 대상으로 하되 글쓰기 교육의 인문학적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새로운 교육방법론과 수업모형을 탐색해 보기 위한 것이다.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 성찰 활동이 중요하다는 점은 여러 차례 지적되어 왔고 실제 글쓰기 수업에서도 자주 활용되고 있는데 그것에 대한 관심에 비해 의미 있는 자기 성찰의 활성화 기제나 성찰-쓰기의 효과적 연계방안에 대해서는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여기서는 자기 성찰의 기제와 성찰과 쓰기의 연계 방안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수업모형을 제안해 보았다.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에서 본고가 특별히 주목한 것은 자기 성찰이 자기에 대한 탐구와 변화를 일으키는 과정이어야 한다는 것, 쓰기가 사후적 정리에 그치지 않고 쓰기 자체가 새로운 성찰 과정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런 점이 교육에 적극 반영될 수 있는 방법론적 기제로 자아 이미지와 서사적 정체성 개념을 제안하였다. 성찰의 활성화 원리로 전자가, 쓰기와 성찰의 유기적 연계 방안으로 후자가 활용될 수 있음을 살펴본 후 기에 기초해 자기 성찰적 글쓰기 수업모형을 제안하는 순서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여기서 제안한 수업 방안은 자화상 읽기→지인 인터뷰→나를 만든 사건/인물에 관한 에세이→마지막 성찰적 글 작성의 과정으로 진행되는데 이런 일련의 성찰활동과 쓰기를 통해 자이 이미지의 확인·해체·재구성이 이루어지고 이것이 자기 탐구와 변화를 일으키는 성찰을 가능케 한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시간적 간격을 둔 성찰적 글쓰기는 서사적 정체성을 형성케 함으로써 쓰기 자체가 성찰의 과정임을 깨닫게 하는 계기가 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런 수업을 통해 성찰활동과 성찰적 글쓰기를 한 학생들은 자기 성찰이 지속적 과정이라는 점, 현재의 자기 성찰이 또 다른 성찰적 글쓰기에 의해 해체·재구성된다는 점을 알게 되고 그에 따라 새로운 성찰적 글쓰기를 준비하게 된다.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은 성찰의 목적, 방향, 활용 방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축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의가 뒤따를 때 자기 성찰을 위한 글쓰기 교육은 더욱 충실히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s to propose a new teaching learning method of 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Self image and narrative identification are the main factors of the method. Many researcher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trospection in writing education. A lot of teachers think that the introspective writing is necessary part of writing class. However, discussions about the efficient method of introspection and ways to associate introspective activity with writing hasn`t been enough. 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is composed of two parts : Introspective activity and writing based on introspection.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that introspective activity should be the process of self understanding and introspective writing in itself be the change of self image in the concept of introspection. Self image and narrative identification is the key concept of this discussion. The former plays a important role in introspective activity and the latter the connection between two activity. Teaching learning method of this paper has four steps : Writing about self portrait and I, acquaintance interview, the man/event which made me what I am, the finan introspective writing. Subjects of introspection experiences the change of self image as they pass these four steps. Introspective activity cause the collapse of self image in students` mind. Repeated self reflection enables students to reconstruct the self image, which became the process of change of self understanding and the beginning of new prospect about themselves. Also students realize that writing is not the ways to express what he has found, and that they should keep up introspective activity and writing in their lifetime.

      • KCI등재

        김현 비평에 나타난 ‘비평의 유형학’의 변화와 그 함의

        한래희 ( Han Lae-he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5

        본고는 김현의 비평의 유형학에서 발견되는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이 가진 함의를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현은 1980년과 1985년에 각각 「비평의 방법」과 「비평의 유형학을 위하여」라는 평론을 발표하는데 여기에 나타나는 비평의 유형학의 차이가 김현 후기 비평의 특징과 ‘문학적 실천’에 관한 김현의 관점을 파악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변화 양상과 그 함의를 탐구하였다. 1980년에 제시된 비평의 유형학에서 김현은 당시의 비평계를 실천적 이론과 이론적 실천의 두 범주로 나누어 설명한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에 나온 비평의 유형학을 보면 이전의 분류는 이면으로 사라지고 문학적 초월주의, 민중적 전망주의, 분석적 해체주의의 세 범주가 새롭게 제시된다. 여기서는 이러한 변화를 실천적 이론/이론적 실천의 이분법의 대두 배경과 이론적 실천의 성립조건은 무엇인가, 이론적 실천이 문학적 초월주의와 분석적 해체주의로 재구성된 이유는 무엇인가, 김현이 문학적 초월주의 범주와 자신의 비평 사이에 선을 긋고 자신을 분석적 해체주의 범주에 집어넣은 이유는 무엇인가의 물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중심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1980년에 등장한 실천적 이론/이론적 실천의 이분법은 순수/참여라는 이분법적 틀을 극복하고 문학을 이데올로기적 허구와의 싸움에서 구해내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김현 자신의 비평관이 투영된 이론적 실천은 ‘현실의 있는 그대로의 드러냄’으로 정의되는데 이것은 ‘있어야 할 세계’와의 대비를 통해 비로소 더 나은 세계를 지향하는 힘이 될 수 있다. 여기에 현실에 대한 ‘방법론적 부정’의 태도가 더해질 때 이론적 실천 범주는 사회비판적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방법론적 부정의 태도는 그것 자체가 의식의 조작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지식인의 자기기만이나 합리화의 수단으로 바뀔 수 있다는 위험성을 지니고 있고 이것은 새로운 유형학 탄생의 원인이 된다. 1980년대 중반 제시된 새로운 비평의 유형학의 경우 실천적 이론은 민중적 초월주의로 이어지지만 이론적 실천은 문학적 초월주의와 분석적 해체주의로 재구성된다. 실천적 이론과 민중적 초월주의의 연속성은 문학을 이데올로기의 도구로 간주하는 관점에 대한 거부의 표현으로 이것은 시기와 상관없이 김현이 일관되게 견지한 입장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김현은 자신의 비평적 관점과 문학적 초월주의 사이에 명확한 경계선을 설정하는데 이것은 1980년 이후 폭력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문학을 통한 초월이 곧 사회비판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관점이 의문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이다. 문학을 통한 초월이 초월 자체에 만족하거나 사회와 무관한 초월이 될 경우 그것은 또 하나의 이데올로기나 사회 순응의 형식으로 변질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김현이 택한 방법은 문학적 초월 체험의 사회비판적 기능을 부정하지 않으면서 문학적 초월이 빠질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한 끊임없는 감시의 태도를 유지하고 거기에 더해 폭력의 근원으로서의 욕망에 대한 분석, 그리고 ‘부끄러움’에 기초한 방법론적 부정의 태도를 지속하는 것이다. 김현이 분석적 해체주의라는 새로운 범주로 자신의 비평을 분류한 이유를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요컨대 김현 비평에 나타난 비평의 유형학의 변화는 문학적인 것의 가치를 부정하지 않으면서 문학의 사회비판적 역할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고 이것의 귀결점은 욕망의 부정성에 대한 자기 감시와 현실에의 안주 욕망에 대한 부끄러움이라는 방법론이다. 문학의 존재 자체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이러한 방법은 당시 문학계를 지배하던 문학인의 자기 부정과 허무주의를 극복하고 문학을 통한 저항을 이어나갈 수 있는 유효한 대안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욕망을 제어할 수 없는 선천적 힘이자 현실원칙과 분리된 원리를 따르는 것으로 간주하고 사회적 폭력을 이러한 욕망의 폭력성으로 환원하여 설명하는 관점은 문학적 실천에 관한 김현의 사유를 개인의 욕망 분석과 자기기만에 대한 강박적 감시로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This thesis to study the meaning of the study of change of category of criticism in Kim Hyun’s criticism. We can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Kim Hyun’s latter criticism and his view on ‘literary practice’ from this study. Kim Hyun presented two category of criticism in ‘The method of criticism’(1980):Theoretical practice and Practical theory. After 5 years later he proposed new two category of criticism in ‘for the study of category of criticism’(1985):Literary transcendentalism, Prospective for people, analytic deconstruction. The important questions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 fo this change are like this :Why did he propose the dichotomy of theoretical practice/practical theory? Why did he abandon the dichotomy and propose new study of change of category of criticism? Why did he categorize his criticism as analytic deconstruction? The category of theoretical practice/practical theory is designed to overcome the dichotomy of the purism/the engagement. The theoretical practice is defined as the expression of the reality as it is. The contrast between the expression of the reality as it is and utopia can become the power to deny the oppressive society. The attitude of denial of reality is another important factor. However, the attitude of denial of reality could be the self-deception or self-justification, which became one reason of the birth of new study of category of criticism. New study of category of criticism is different from the former one like this :there is continuity between practical theory and prospective for people, and there is discontinuity between theoretical practice and literary transcendentalism․analytic deconstruction. The continuity means the rejection of becoming means of ideology. The discontinuity is the result of change of view about literary transcendentalism. Literary transcendentalism can deteriorate in society of violence. In this situation, Kim Hyun adopted the method of self-monitoring, the analysis of human desire, and the method of shame. The category of analytic deconstruction is the result of this new method. In summary, the change of the study of category of criticism is to find the literature’s role of society denial, and self-reflection of one’s own desire and the the method of shame is the answer to that problem. This can be efficient method of social participation of literature in society of violence, but this also became the obstacle of Kim Hyun’s literary thinking.

      • KCI등재

        소설 <벌레 이야기>와 영화 <밀양>의 서사전략 비교-‘애도’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래희 ( Han Lae-he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2

        본 연구는 상호 텍스트적 성격을 띠는 소설 <벌레 이야기>와 각색 영화 <밀양>을 비교, 분석하되, 영화의 각 장면이 원작에서 발견되는 의미의 불확정성에 대한 해석에 기초해 만들어졌다는 점에 주목하며 출발하였다. 수용자의 해석을 요구하는 물음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여기서는 사건 전략의 차이와 영화가 소설과 다른 결말을 보이는 이유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두 가지 의문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런 물음에 대한 탐구는 용서ㆍ구원ㆍ인간에 대한 두 텍스트의 해석의 차이와 그것이 지니는 의미를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우선 두 텍스트에 모두 나타나는 사건ㆍ인물과 영화에서 새롭게 창조된 사건ㆍ인물의 구분하고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사건에서 새로운 해석을 요구하는 불확정적 부분을 이끌어낸 결과 ‘아이 엄마는 왜 아들을 죽인 유괴범과 면회를 할 결심을 하게 되었나?’와 ‘면회 이후 아이 엄마에게 일어난 변화는 무엇인가?’의 두 가지 물음이 가장 핵심적이라 판단하고 이것을 중심으로 탐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영화는 원작과 달리 애도를 요구하는 상실을 이중적으로 배치하여 첫 번째 상실이 아이의 상실에 대한 애도작업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서사전략을 취하고 있다. 이어 아이엄마가 교도소에 면회를 가기로 결심한 것은 신앙과 복수라는 모순된 감정 속에 위치에 처한 신앙의 위기를 극복하려는 자구책이자 피해자인 자신도 가해자일 수 있다는 점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점을 밝혔다. 그리고 유괴범이 회개하고 용서받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 이후 신앙의 기초인 [아이엄마-신-범인]의 의식 구도가 [아이엄마-신]의 대결구도로 변화되는데 이는 아이 엄마가 신앙의 자기기만성을 깨닫고 ‘용서하라’라는 초자아적 명령과 만난 데에서 기인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위의 논의를 토대로 영화가 원작과 다른 결말을 취한 이유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영화는 소설과 달리 [아이엄마-신-범인]이란 구도를 [아이엄마-신-범인], [아이엄마-신-범인의 딸]로 이중화하여 [피해자-가해자]의 견고한 틀이 균열을 일으킬 수도 있음을 암시하는 장면을 삽입한다. 그리고 초자아의 무조건적 명령이 신애의 삶의 각 국면에 미친 영향을 알 수 있게 하는 장면과 신애의 억압된 욕망이 분출하는 장면을 반종교적 반항행위의 중간에 배치한다. 이런 서사 전략은 인간이 상황에 따라 피해자에서 가해자로 바뀔 수 있는 모순된 존재이고, 무조건적 명령을 맹목적으로 따를 수도, 그것의 영향력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도 없는 존재임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영화와 원작 소설의 차이가 용서ㆍ구원ㆍ인간에 대한 해석의 상이함에서 기인한 것임을 말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the novel ‘Worm Story’ with the movie ‘Secret Sunshine’. This study trys to answer two questions which are found in novel : (1) Why do June’s mother decide to go to the jail to see murderer of his sun?, (2) What is the change in mother’s mind after meeting murderer. If we find the answer this question, we can understand why movie director create new character and why movie takes different ends from original novel. What to do first is distinguish same parts and different parts between novel and movie. Next, we find the vague parts demanding the works of interpretation. The vague parts in original work is above two question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work of answering these two questions. The original work has one mourning event, but the movie has two mourning events. The first mourning event affects the second mourning event : the death of son. The reason why dead son’s mother decides to go to jail has two purpose : the method to maintain her belief in crisis, the fact that she could be an assaulter. After her realizing that the murderer was forgived by God, the construction of reconciliation like < mother-God-murderer > becomes the construction of struggle like < mother-God > because she encounter the voice of super-ego demanding unconditional forgiveness. What is the reason movie takes different end? The answer is director’s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forgiveness, salvation. Men is contradictory existence : He/She who is innocent could be murderer, and can’t escape from God’s order. Movie’s different ending shows that different interpretation about forgiveness, salvation, and human beings is the cause of different ending.

      • KCI등재

        김현의 마르쿠제 수용과 기억의 문제

        한래희 ( Han Lae-he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7

        글은 김현의 마르쿠제 이론 수용에서 발견되는 특징을 살피고 이것을 토대로 그러한 수용이 1980년 이후 김현 비평에 미친 영향과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 김현의 마르쿠제 이론 수용 방식에 대한 논의가 김현의 외국이론 수용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파악한다는 차원에 그치지 않고 1980년 이전 김현 비평의 특징과 기본 전제들을 이해하고 1980년 이후 김현 비평의 변화를 파악하는 데에 중요한 열쇠가 된다는 문제의식을 토대로 ‘억압 없는 문명’과 ‘고통의 기억’을 핵심적 개념으로 하여 마르쿠제 이론의 수용 양상과 그것이 김현 비평에 미친 영향과 의미를 규명해 보려는 것이다. 본론에서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억압 없는 문명’이라는 마르쿠제의 핵심적 개념을 중심으로 1970년대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김현의 마르쿠제 이론 수용의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마르쿠제의 억압 없는 문명 개념은 현실원칙/수행원칙, 기본억압/과잉억압의 구분에 기초하여 사회학적 차원과 미학적 차원의 두 차원으로 진행되는데 김현은 전자의 차원은 생략하고 억압 없는 문명을 유토피아적인 예술의 세계로 해석하여 수용하고 있다. 분석의 결과 김현이 마르쿠제 이론을 이러한 방식으로 수용한 데에는 바슐라르 이론에 대한 기대가 크게 작용했음을 확인하였다. 1980년 이전 김현에게 완전한 자유를 가능케 하는 바슐라르의 충일성의 세계는 소외 문제를 극복하고 완전한 승화를 가능케 하는 기제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마르쿠제 이론의 중요한 요소인 ‘고통의 기억’은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한 채 마르쿠제 이론 수용이 이루어진다. 3장에서는 1980년 이후 김현의 비평적 사유와 비평 방법론의 변화를 탐구하였다. 표면적으로 볼 때 1980년대 김현의 글에서 마르쿠제의 개념은 주요한 비평방법론으로 나타나고 있지 않으나 고통, 기억, 시간을 중심으로 한 마르쿠제의 이론은 이 시기 김현이 처한 문학적 딜레마의 이해와 그에 대한 김현의 대응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이론적 기제라는 관점 하에 분석을 진행하였다. 1980년대 김현 비평은 두 가지 딜레마를 맞이하게 되는데 하나는 쾌락원칙 자체에 내재한 갈등이고 다른 하나는 ‘긍정을 위한 부정’이라는 방법론이 갖는 위기이다. 문학적 초월을 가능케 하는 기제로서의 쾌락원칙은 열반원칙으로 수렴될 위험성이 있고 방법론적 부정이라는 의식인의 자기조작은 야만적 폭력이 지배하는 현실 속에서 자기합리화나 허무주의로 변질될 수 있다. 변화에 대한 어떠한 기대도 가능하지 않는 상황 속에서 그리고 문학인들이 쉽게 빠져 들어가는 자기부정의 유혹 속에서 이러한 위기 극복을 위해 김현이 해결책으로 제시한 것은 ‘고통의 기억’에 머물기이다. 이것은 의식에 호소하는 방법론의 위험성을 극복하고 절멸의 위기에 놓인 예술의 존재의의를 다시 찾기 위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몸에 새겨진 고통의 기억에의 호소는 영속적일 수 없고 현실과의 타협의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은 여전한 문제로 남는다. 고통의 기억에 대한 고수는 김현이 1980년대 후반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마르쿠제와 다시 만나는 지점에 해당한다. 1980년대 김현 비평의 주요 방법론으로 활용되지 않았던 마르쿠제는 고통의 기억 개념을 통해 ‘귀환’한다. 이것은 ‘죽어야 되기 전에’ 희생된 사람들에 대한 고통의 기억이 ‘위대한 거절’을 포기할 수 없는 사람들이 도달한 저항의 한 방법이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to study how Kim Hyun accept H. Marcuse’s theory and how it affect Kim Hyun’s latter criticism. The understanding of how Kim Hyun accept H. Marcuse’s theory is important not only for explain the characteristic of the way critic Kim Hyun accept foreign theory, but also for comprehending the Kim Hyun’s criticism after 1980. ‘Civilization without repression’ and ‘the memory of suffering’ are two key concept of this analysis. In chapter2, Marcuse’s Civilization without repression is based on dichotomy reality principle/performance principle, basic repression/surplus repression. Kim overlooked this dichotomy, and interpret Civilization without repression as aesthetic world. The expectation and belief about G. Bachelard’s theory is the reason for this kind of acceptance. Kim Hyun thinks that Bachelard’s imagination theory and aesthetic world can overcome the problem of alienation and make absolute freedom possible. The another key concept of H. Marcuse, the memory of suffering is paid little attention in this period. In chapter 3, the focus of analysis is the characteristic and dilemma of Kim Hyun’s criticism. The memory of suffering is a main analytic tools. It seems that H. Marcuse’s concepts like the memory of suffering, eros, and time are not important tools in Kim Hyun’s criticism in 1980’s, but those are very helpful for understanding Kim Hyun’s criticism in this period. Kim Hyun encounters two dilemma; one is contradiction in pleasure principle, and another is the danger of methodological negation. The memory of suffering carved in body is considered as a solution of these dilemma. Kim Hyun and H. Marcuse meet at the memory of suffering again. H. Marcuse who is paid little attention in Kim Hyun’s latter criticism returns through the concept, memory of suffering. This is because the memory of suffering is a method of resistance which anyone who refuses to give up ‘great refusal’ in barbaric reality can’t help resort to.

      • KCI등재

        영화 텍스트를 활용한 비평문 쓰기 교육 연구

        한래희(Han Lae-Hee) 한국리터러시학회 2013 리터러시 연구 Vol.- No.6

        글쓰기 교육이 창의적 사고, 비판적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등의 배양을 통해 학제적 능력을 갖춘 보편적 지식인을 양성할 수 있는 중요한 교양교육이라는 견해가 공감대를 얻으며 그간 다양한 교육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그 중 하나가 영화를 활용한 쓰기 교육이다. 그러나 영화를 흥미의 유발 수단이나 하나의 소재 정도로만 이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영화 텍스트를 활용하는 글쓰기 교육 중 비평문 쓰기에 초점을 맞추어 미적 체험으로서의 영화 보기의 특성을 살리면서 비평문 쓰기를 논증적 글쓰기의 일환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방법론을 탐구하였다. 영화 보기라는 미적 체험이 자기 이해의 심화와 사고 지평의 확대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영화 텍스트에서 불편함을 야기한 부분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그리고 비평문 쓰기가 영화 텍스트를 분석적ㆍ비판적으로 읽고 자신의 주장을 타당성 있는 근거를 동원해 뒷받침하는 과정이 되려면 감상과 비평의 차이를 분명히 하고 갈등ㆍ모순의 감정을 일으키는 부분에 대한 질문과 답변을 정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화 텍스트 읽기와 비평문 쓰기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핵심적 장치로 토론과 독자 요인에 주목하고 이것이 읽기ㆍ쓰기와 밀접하게 관계를 맺고 읽기ㆍ쓰기의 각 국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영화는 글쓰기 교육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는 매체이다. 어떤 교육 목표를 가지고 접근하느냐에 따라 실제 활용 방법은 무수히 많을 수 있다. 학생 내부의 의식적 갈등과 불편함의 감정을 야기하는 영화를 선별하고 토론, 독자, 과제 요인을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자기이해의 심화와 분석적ㆍ비판적 사고의 배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본 연구는 강조하였다. 비평문 쓰기의 주요 변인 간의 상호 관계와 효과적 연결 방법에 대한 본 연구의 탐색이 앞으로 세부적 교수법의 마련으로 이어질 때 그 효과는 더 커질 것이다. This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a new method of teaching-learning of critical essay on movie. Reading movie text is aesthetic experience. So far, the education of critical essay on movie didn t pay much emphasis on this kind of aspect. Movie is only a means of attracting student in writing class. We need to focus on the aesthetic nature of appreciation of movie in education of critical essay. The aim of the education of critical essay on movie is this : Self understanding and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by means of movie. Movie which makes the audience discomfort is a good educational subject in writing class about ciritical essay. Finding the cause of feeling discomfort is understanding the hidden ego. The critical essay is persuasive writing, which is composed of assertion and supporting ground. The student should find the grounds of his/her interpretation in movie text. He/Her can develops the ability of critical thinking and reasoning through this process. How to connect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is important part of teaching-learning method. Discussion is a interaction of answering and responding. There are three constituent in discussion : questioner, answerer, audience. By exchanging the position from questioner to answerer or from answerer to audience, the student can finds the cause of his discomfort and the grounds of his interpretation. If we take advantage of the feeling of discomfort and conflict in reader s mind, we can attain the aim of critical assay on movi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