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펄스형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한 알루미나 세라믹-알루미늄 복합체의 내부 결함 및 표면 결함 검출 기법

        한대현,장혜림,강래형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18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38 No.6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non-destructive testing method for alumina ceramic-aluminum laminates using pulsed terahertz waves and their defect visualization technique. The test specimen was fabricated by bonding an alumina ceramic and an aluminum plate using an epoxy adhesive. The lower part of the alumina ceramic- aluminum laminates was fixed, and then, the bending test was performed to generate the crack of alumina ceramic and delamination. For defect inspection, terahertz time domain spectroscopy based on a photoconductive antenna and a motorized x-y stage were used to acquire the data. The terahertz wave was incident on the surface of the test specimen at an angle of 45 degrees. A-scan, B-scan, and C-scan are performed by processing the terahertz waveform in the time and frequency domains. As a result, we successfully visualized the pores generated by the adhesion of alumina ceramics and the aluminum plate, and the artificial cracking and the delamination. 본 논문에서는 펄스형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하여 알루미나 세라믹-알루미늄 복합체의 비파괴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과 이를 가시화하는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검사 시편은 알루미나 세라믹과 알루미늄 평판을 접착용 에폭시를 사용하여 부착 후 제작하였고 구조물의 하단부를 고정 후 굽힘 시험을 통해 알루미나 세라믹의 균열과 접착면에서의 층간 분리를 모사하였다. 결함검사를 위해 광전도 안테나 기반의 테라헤르츠 시간영역 분광시스템(terahertz time domain spectroscopy)과 2축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검사영역의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테라헤르츠파는 검사 시편의 표면에 45도 각도로 입사될 수 있도록 반사모드로 구성하였고 시간 영역에서 취득된 테라헤르츠 파형을 시간영역과 주파수영역에서 신호처리하여 A-scan, B-scan 그리고 C-scan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알루미나 세라믹과 알루미늄 평판의 접착 시 발생한 기공, 인위적으로 제작한 균열 및 접착 분리를 성공적으로 가시화 하였다.

      • 임펠러 블레이드 각도에 따른 횡류형 수직 풍력발전시스템의 성능 향상 예측에 관한 연구

        한대현,강래형,곽승렬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1

        본 연구에서는 횡류형 수직 풍력발전시스템의 성능을 예측하기 위해 3차원 ISM(Immersed Solid Method) 유동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Impeller 블레이드 각도, Impeller와 Guide Vane의 간극인 Clearance, Impeller 회전 속도를 달리하여 해석을 수행하였고,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한 성능 척도로서 RMS 토크 값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Impeller 각도는 0도, Clearance는 작을수록 (25mm), Impeller 회전 속도가 빠른 경우 (150rpm) RMS 토크가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order to estimate the performance of the cross-flow vertical-typ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FD analysis is carried out for the wind turbine system using ISM(Immersed Solid Method). The effect of the impeller blade angle, clearance, and impeller rotational speed are examined, and the RMS Torque value is calculated as an index for the performance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s a result, the maximum RMS Torque was obtained when the impeller blade angle is 0°, clearance is 25mm (lower), and impeller rotation speed is 150rpm (higher).

      • KCI등재

        실크 피브로인 나노 차폐막(나노가이드-에스)을 이용한 치조골 유도재생능력에 관한 비교 연구

        한대현,홍기석,정진형,임성빈,Han, Dae-Hyun,Hong, Ki-Seok,Chung, Chin-Hyung,Yim, Sung-Bin 대한치주과학회 2008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8 No.3

        Purpose: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bone regenerative abilities of silk fibroin nanomembrane(Nanoguide-S) Material and Methods: The objects were 38 patients who had large defect at extraction sockets caused by chronic periodontitis and silk fibroin nano matrix were used on experimental group(N=19) and PLA/PLGA matrix were used on control group(N=19). The width, height, and length by crown-apical direction(socket depth) of defects were measured with the occlusal plane as a reference plane, and tooth 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ooth axis direction were measured on radiographs at 3 months pre-operative, 3 months post-operative. Result: Tissue response to silk fibroin nano matrix and Biomesh were clinically satisfactory and complications such as swelling, exudation, ulceration and vesicles were not found except the ordinary discomfort of operated portion. 3 months later, the width, height, and length by crown-apical direction (socket depth) of defects were clinically improved in both group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3 months later radiolucency of tooth axis direction and perpendicular to tooth axis direction were all increased in both group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By these results biodegradadable silk fibroin nano matrix was efficient in GBR on alveolar bone resorption caused by periodontitis compared to Biomesh.

      • KCI등재

        결합 선로를 이용한 브랜치 선로 방향성 결합기

        한대현,Han, Dae-Hy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2

        방향성 결합기는 RF 및 마이크로파 대역에서 신호를 분배하거나 감시하는 데 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구현한 결합선로를 이용한 새로운 구조의 브랜치 선로 방향성 결합기를 제안하였다. 브랜치 선로 방향성 결합기는 결합도가 낮아지면 병렬로 연결된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높아서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구현하기 어려워진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단락된 평형 결합 선로를 이용하여 높은 특성 임피던스를 구현하였다. 제안한 브랜치 선로 방향성 결합기의 시뮬레이션 결과 및 제작하여 측정한 결과를 보였다. 제작한 10 dB 브랜치 선로 방향성 결합기는 10% 대역폭에서 반사 손실이 30 dB 이상, 8% 대역폭에서 고립도 35 dB 이상인 결과를 보였다. Directional couplers are widely used in RF and microwave applications to distribute or monitor signals. This paper presented a new structure of microstrip branch line directional coupler with coupled lines. The loose couplings of microstrip branch line directional couplers are impractical for the high characteristic impedance values required for the shunt branche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e parallel coupled lines with the shorts were used for the high characteristic impedance.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s and measurements were presented for the proposed branch line directional coupler. Measurement of the 10 dB branch line directional coupler shows that the return loss is higher than 30 dB over 10 % bandwidth and the isolation is 35 dB or better over 8 % bandwidth.

      • KCI등재

        산란행렬에 의한 2단자망 RF 공동공진기의 Q 측정

        한대현 한국정보통신학회 200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4 No.4

        A method of measuring Q of a two port cavity by scattering parameters is proposed. The scattering parameters of a two port cavity resonator are derived by a lumped equivalent circuit model as a function of cavity parameters, including the cavity Q. These can be also obtained by direct measurement with a modern network analyzer, The results show good agreement with those from other well-known methods. This two port measurement can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the coupled power ratio,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parameters for the beam accelerating cavities. 산란행렬을 이용하여 2단자망 RF 공동공진기의 Q 측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집중소자를 이 용한 등가회로 모델을 이용하여 공동공진기의 Q를 포함한 파라미터의 함수로 산란행렬을 구했다. 산란행렬은 회로망분석기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할 수 있다. 제안한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는 기존에 잘 알려진 방법과 일치함을 보였다. 제안한 방법의 Q 측정 절차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서 간단할 뿐만 아니라 RF 공동공진기가 전자빔을 가속시킬 때 중요한 파라미터인 결합전력비를 구할 수도 있다.

      • KCI등재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를 이용한 기판의 유전율 측정

        한대현,Han, Dae-Hy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1

        This paper suggested the fast and easy method of the dielectric constant measurement for planar dielectrics using a microstrip line. The complex permittivity and permeability were presented by the first reflection and transmission coefficient which were derived from the scattering parameters. This method was verified by the measurement of a known planar dielectric using a microstrip line.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dielectric constant measurement of unknown planar dielectric.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를 이용하여 기판의 유전율을 광대역에서 빠르고 쉽게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산란계수를 이용하여 1차 반사계수와 1차 전송계수를 구하여 기판의 복소 유전율과 복소 투자율을 계산하는 과정을 보였다. 기존에 유전율을 알고 있는 기판에 제작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산란계수를 회로망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기판유전율을 확인하였다. 이 방법은 유전율을 모르는 기판의 유전율을 측정하는데 적용가능하다.

      • KCI등재

        손실결합 공동공진기의 간편한 Q 측정 방법

        한대현,Han, Dae-Hy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2 No.7

        공동공진기는 마이크로파 응용에서 많이 사용되는 부품 중의 하나이다. 무부하 Q, 공진주파수, 그리고 결합계수는 공진기 기본 파라미터이다. 손실결합이 있는 공동공진기의 무부하 Q를 측정하는 간편한 절차를 제안하였다. 공진주파수 근처 주파수 대역에서 결합손실을 포함한 등가회로를 보였으며, 결합손실은 공진기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구했다. 결합손실을 보상한 공진기의 임피던스를 스미스차트에 다시 그렸다. 보상한 임피던스 궤적에서 부하 Q와 결합계수를 구하여 무부하 Q를 계산하였다. 제안한 절차를 검증하기 위하여 결합 손실이 없는 공진기를 측정하였다. 결합 손실이 있는 경우와 손실이 없는 경우의 측정결과는 잘 일치 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제안한 절차가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The cavity resonator is one of the widely used components in the microwave applications. The unloaded Q, the resonant frequency, and the coupling factor are basic parameters of a cavity. A simple unloaded Q factor measurement procedure of a cavity is proposed in a lossy coupling. The equivalent circuit of a cavity with coupling loss at near the resonant frequency is presented. The coupling loss resistance was found by the measurement of a cavity impedance. The cavity impedance compensated coupling loss was redrawn on the Smith Chart. The loaded Q and coupling factor were obtained based on the compensated impedance locus and then the unloaded Q factor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proposed procedure, the cavity with lossless coupling was measured. The two measurement results in the lossy and lossless coupling agree well. The results confirm the proposed procedure is valid.

      • 스마트 페인트를 이용한 항공우주구조물의 충격 및 진동 감지

        한대현,박승복,강래형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11

        본 연구에서는 연질 압전 세라믹인 PNN-PZT 세라믹과 에폭시 수지를 혼합한 스마트 페인트를 이용하여 항공우주구조물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및 진동을 모니터링하고자 하였다. 스마트 페인트를 알루미늄보 구조물에 도포하고 센서로 활용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4kV/mm, 30 분간 성공적으로 분극 처리를 수행하였다. 진동 실험을 위해 알루미늄 보 구조물을 가진기에 물린 후 가진한 경우, 특히 공진 부근에서 진동을 모니터링한 결과 스마트 페인트 센서 출력신호를 통해 진동 감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압전 센서가 고주파수에 보다 더 민감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충격 신호를 보다 잘감지하였다. 충격 망치를 이용해 알루미늄 보에 충격힘을 가한 경우 약 10N 이상의 충격 힘부터 감지가 가능하고, 충격힘이 커짐에 따라 선형적으로 출력신호가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Smart paint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Pb(Nb,Ni)O₃-Pb(Zr,Ti)O₃ (PNN-PZT) powder and epoxy resin. The smart paint has been coated on an aluminum beam structure, the poling of the smart paint has been conducted successfully at room temperature with the electric field of 4 kV/mm for 30 min. When the cantilevered aluminum beam was under several vibration conditions, especially resonance, the vibration response has been monitored by measuring the output voltage from the piezoelectric paint sensor.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impact signal also can be easily monitored using the paint sensor, because the piezoelectric sensor is inherently more sensitive to higher frequency signals. By using the impact hammer, several impacts have been applied to the beam structure. The impact monitoring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impact force signal over 10N can be captured using the smart pa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