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로운 미디어 환경의 대중강연이 공학교육 발전에 미치는 영향

        한경희,Han, Kyong Hee 한국공학교육학회 2017 공학교육연구 Vol.20 No.6

        This study analyzes the public lecture conducted by a university in Seoul and examined how a public lecture on the emergence of a new media environment could influence the actual field of engineering education. The current public lecture is changing away from past patterns which have been conducted on a daily, irregular and offline basis. Online lectures such as Mooc programs, as well as broadcast programs in the Internet media environment, are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with mainstream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how public lecture experiences of engineering professors have affected the improvement of learner centered education and their communication skills. It also examines how public lecture in the field can affect to enhance public understanding of engineering. The advent of a new media environment is likely to inject new vitality into a college lecture that seems to fall behind in the pas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reliance on the teaching capabilities of professors become higher according to the emphasis on active learning environment. The genre of public lecture is expected to greatly helpful to expand future engineering education methodologies.

      • KCI등재

        공학 분야의 윤리적 문제해결방법: 매트릭스 가이드

        한경희(Kyong-Hee Han),허준행(Jun-Haeng Heo),윤일구(Il-Gu Yun),이강택(Kang-Taek Lee),강호정(Ho-Jeong Kang) 한국공학교육학회 2012 공학교육연구 Vol.15 No.1

        The core issue of ethical problem solving in engineering is to understand what exactly happened and to define its nature. Problems often arise mostly in morally complex situations. Traditional philosophical theories usually focus on extreme conflicts of interest and suggest moral theory-centered problem solving methods. However, these methods are not only difficult to specifically apply to real situations, but also are likely to fail to deal with actual moral issues in engineering fields. This study aims to develop more desirable ethical problem solving methods, based on STS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and engineering ethics combined. First, we have examined the engineering ethics with implications of an STS perspective, then have analyzed traditional ethical problem solving methods in a crit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will suggest a new ethical problem solving method named Matrix Guide, based upon those analyses. Specifically, this study classifies four stages of problem definition, analysis, solving, and feedback. Here, we focus on how to combine technological and non-technological factors in each stage, when we are facing morally complex situations in engineering sectors.

      • KCI등재

        공학과 젠더: 공학교육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 여학생 공학교육 선도대학 (WIE) 사업 분석과 운영 경험을 중심으로 -

        한경희(Kyong Hee Han),박준홍(Joon Hong Park),강호정(Ho Jung Kang) 한국공학교육학회 2010 공학교육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공학과 젠더에 관한 이론적, 경험적 연구이자 여학생 공학교육 선도대학 (WIE) 사업의 발전 방향을 다루는 정책 연구의 성격을 갖는다. 우리나라의 WIE 사업은 성인지 공학교육 시스템, 여학생의 현장 적응력 향상,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도입을 통해 우수한 여성 엔지니어의 양성을 촉진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 연구는 WIE 사업이 공학교육에서 갖는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젠더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공학 분야 여성을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교육적, 제도적 공평 성을 확보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무엇보다 여성의 경력 개발을 좌절시키는 상황에 주목해야 한다. 대학교육에 서는 공과대학 교수진이 젠더 공평성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여성 엔지니어의 전문가 정체성 확립, 남녀가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여성 네트워크 발전 등이 WIE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향후 WIE 사업에 대한 지속적 지원과 대학 단위의 프로그램 확대 등이 정책적 과제로 논의되었다. This article i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y of engineering and gender, and also explores the policy development of WIE program. WIE in Korea aims to foster talented women engineer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gender-sensitive engineering education system, field-adaptive skill improvements of women students, and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s. This study examines gender perspectives to analyze our WIE program.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it’s not enough to acquire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equity in developing women in engineering. Above all, we should note our situations that has frustrated women s career development in engineering. In university education, we need to improve the engineering faculty’s recognition of gender equity. Efforts to establish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women engineers, involvement of men and women students, and building of women engineers network are necessary elements to implement successful WIE program. Additionally, we discuss that policy support to WIE program should be continued and enlarged in university level.

      • KCI등재
      • KCI등재

        글로벌 공학인재 양성을 위한 영어강의의 역할과 과제

        한경희(Kyong Hee Han),허준행(Jun Haeng Heo),윤일구(Ilgu Yun) 한국공학교육학회 2010 공학교육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공과대학 영어강의가 글로벌 인재 양성에 기여하려는 본래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추진되어야 할지를 탐구하고 있다. 21세기 사회에서 공과대학 학생들은 다양한 언어와 문화적 차이, 서로 다른 동료와 일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단순히 영어강의를 제공한다고 해서 학생들의 글로벌 능력이 향상되는 것은 아니다. 이 연구는 사례 분석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문화와 의사소통과정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는 글로벌 공학교육의 맥락에 영어강의를 위치시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리고 영어강의를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how we pursue and operate the English medium instruction(EMI) in engineering colleges so as to educate global engineers. Engineering students in the 21st century society need to have fundamental work in languages, cultural differences, and strategies for working with diverse colleagues. EMI is not sufficient for preparing our engineering students to cope with the changed environments in our globalized society. Based on the case study, we emphasize that EMI needs to be located in the context of global engineering education which demands our understanding of different cultures and communication practices. We also suggest some programs how we develop our EMI circumstances.

      • KCI등재

        이공계 위기의 재해석과 엔지니어의 자기성찰

        한경희(Kyong Hee Han) 한국사회학회 2004 韓國社會學 Vol.38 No.4

        이 글은 21세기 초반 우리 사회의 화두였던 이공계 위기론이 단순히 과학기술 인력수급 문제나 과학기술자의 객관적인 사회적 지위 하락 때문에 등장한 것이기보다는 오히려 새로운 사회적, 경제적, 기술적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자기 성찰의 언어와 정체성 구성에 실패한 엔지니어의 현실에 기인한다고 본다. 이 글은 먼저 이공계 위기론의 등장과 진행과정을 분석하여 ‘이공계 위기’의 실재가 구성되기까지 어떤 사회적 집단과 자원, 담론이 동원되었는지를 밝히고 있다. 다음으로 우리 사회의 엔지니어 모델이 등장하고 형성된 사회적, 역사적 과정을 분석하여 그들의 자기성찰이 어떻게 전개되고 제한되고 왜곡되었는지의 과정을 탐구한다. 이공계 위기는 처음에 ‘서울대 공대’의 위기를 신호로 ‘이공계 기피’로 불리다가 그 외연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이공계 관련 정책의 개선을 가져왔다. 하지만 논의의 진행이 ‘피해자 담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과학기술의 도구적 역할 이상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많다. 역사적 과정 속에서 사회지배층이나 지식인 집단으로 성장하지 못한 그들은 여전히 과학기술 이외의 사회 영역이나 공간에서 고립되고 폐쇄된 영역에 갇혀 있다. 따라서 이공계 위기의 해결은 단순히 정책적 지원보다는 과학과 기술, 사회의 열려진 공간 속에 그들 스스로의 위치를 탐색하고 구축하는 도전 가운데에서 비로소 시작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essential aspect of crisis in S&T sector in Korea since 2001, not only in the demand and supply of manpower in S&T sector and their objective social position, but also in their failure of construction of self-reflection and identity despite of new changes of social, economic, technological environments. First of all, it attempts to analyse the process of what kinds of social groups, resources, and discourses were mobilized until the view of crisis in S&T sector is stabilized. Historic and social process peculiar to our society had formed their role and identity as an engineer, which restricted and distorted their self reflection in pursuit of integration between existential pleasure of engineering at the individual level and recognized professional career at the social level. This approach suggests that engineers in our society should try to communicate various social groups outside themselves and constitute their position around and betwee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