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국의 학교상담과 진로교육

        하요상(Ha, Yo-Sang) 학습전략중재학회 2020 학습전략중재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학교상담과 진로교육의 발전을 위해 학교상담과 진로교육이 활성화되어 있는 미국의 학교상담과 진로교육을 살펴보았다. 먼저 학교상담의 발전과정과 학교상담의 모형 중 ASCA 국가모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그 후 진로교육의 발전과정과 진로교육 모형 중 CTE, 교과통합 진로교육, PLTW를 알아보았다. 미국의 학교상담은 치료적, 사후대처적 개입에서 점점 종합적, 예방적 접근으로 발전되어 왔다. 최근에는 종합적 학교상담모델인 ASCA 국가모형을 통해 학생의 건강한 발달 및 성장을 돕고 있으며 학교상담자의 역할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미국의 진로교육은 1984년에 Perkins Act 라는 법률의 제정과 함께 크게 발전하였고 2018년에 Perkins V 로 개정되어 여전히 아동 및 청소년의 진로 및 기술교육을 위해 많은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CTE, 교과통합진로교육, PLTW를 통해 진로현장 친화적 교육, 단편적 교과지식의 한계를 넘은 교과 통합적 교육, 국가주도의 맞춤형 교육 등을 통해 학생들의 진로발달 및 국가의 발전을 꾀하고 있다. 이에 따른 시사점이 기술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school counseling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in USA, where school counseling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are active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counseling and career education in Korea. First of all, the development process of school counseling and the model of school counseling were examined focusing on ASCA national model. and then CTE, curriculum integrated career education, and PLTW were reviewed. School counseling in USA has evolved from therapeutic and follow-up interventions to an increasingly comprehensive and preventive approach. In recent years, the ASCA national model, a comprehensive school counseling model, has helped students develop and grow healthy and expand the role of school counselors. Career education in USA evolved significantly with the enactment of the Perkins Act in 1984 and was revised to Perkins V in 2018 to still support a large budget for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for children and youth. In addition, through the CTE, integrated curriculum education, and PLTW, career-oriented education, curriculum integration beyond the limits of fragmentary curriculum knowledge, and nationally-tailored education are aimed at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national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this have been described.

      • KCI등재

        맞벌이 부모의 일과 가족 간 갈등,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관계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의 적용

        하요상(Ha, Yo-Sang),문선(Ha, Moon-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맞벌이 부모의 일과 가족 간 갈등이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가지는지 상호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을 적용하여 부모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종모형에서 부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가족-일갈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자기효과는 모보다 부의 부적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와 모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에서는 부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부모의 가족-일갈등이 모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상대방효과와 자기효과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부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맞벌이 부모의 일과 가족 간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자기효과에서는 모의 경우 일-가족갈등과 우울의 관계, 가족-일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미했다. 반면 부의 경우, 가족-일갈등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만 자아존중감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미했다. 한편, 상대방효과에서는 모의 일-가족갈등과 부의 우울 간 관계에서 부의 자아존중감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미했으며, 부의 가족-일갈등과 모의 우울 간 관계에서 모의 자아존중감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맞벌이 부모가 경험하는 일과 가족 간 갈등이 상호관계에서 어떻게 심리적 건강을 저해하는지 밝힘으로써 다중역할을 경험하는 부모 상호간의 역동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utual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the dual-income couple.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actor-effect and partner effect of husband and wife by applying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are as follows. First, the actor-effect of FIW(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on self-esteem was higher for husbands than for wives in the final model. However, the actor-effect of self-esteem on depression did not differ between the couple. Nex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actor-effect of wife s FIW on wife s self-esteem and the partner effect of wife s FIW on wife s self-esteem.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are as follow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actor effect. In the case of wife,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IF and depres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IW and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husband,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was significan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IW and depression. Next is the result of the counterpart effect. Here,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the husband s self-esteem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ife s WIF and husband s depression. In addition,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wife s self-esteem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s FIW and wife s depre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dynamics of couples experiencing multiple roles by explaining how work-family conflicts of dual-income couples hinder their psychological health. Th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희망 및 자기조절과 사회성간의 관계

        하요상 ( Yo Sang Ha ),김은향 ( Eun Hyang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본 연구는 긍정심리의 구성요소인 아동의 희망 및 자기조절과 주요 학생발달의 하나인 사회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아동의 희망 및 자기조절이 사회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사회성에 대한 희망 및 자기조절의 설명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6학년 학생 354명을 대상으로 희망검사, 자기조절 검사, 사회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희망과 사회성 및 사회성의 하위변인(신뢰성, 자주성, 지도성, 근면성, 안정성, 사교성, 봉사성, 준법성)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희망은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의 44.9%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둘째, 자기조절과 사회성 및 사회성의 하위변인(신뢰성, 자주성, 지도성, 근면성, 안정성, 사교성, 봉사성, 준법성)간에도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기조절은 초등학생의 사회성중 54.4%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희망과 사회성, 희망과 자기조절은 각각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희망과 자기조절은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건강한 사회성 발달을 위한 긍정심리학적 요소의 예방적 개입의 필요성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해 주며 희망 및 자기조절과 관련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긍정심리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hope, self-regulation, and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354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sampled. During the study, the Children`s Hope Scale, Self-regulation Scale, and Social Development Inventory were employed.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both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ope and sociality(reliability, autonomy, leadership, industrious, service, stability, sociability, law-abide spirit) at the level of p<0.01. Also, th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hope contains explanatory power of 44.9% for socialit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regulation and sociality(reliability, autonomy, leadership, industrious, service, stability, sociability, law-abide spirit) at the level of p<0.01. Also, th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self-regulation contains explanatory power of 54.4% for soci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a high correlation between hope and sociality and between self-regulation and sociality. Furthermore, children`s sociality can be enhanced by increasing hope and self-reg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oretically support the need for the preventive interven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omponents for healthy social development. This in turn will motivate diverse school professionals to develop concrete and systematic prevention programs related to hope and self-regulation.

      • KCI등재

        코로나(COVID-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활성화에 적응하는 초등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하요상(Ha Yo Sang),곽미규(Kwak Mi K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COVID-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활성화에 적응하는 초등학생의 심리적 적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자가 근무하는 A시 B초등학교 6학년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0년 9월에서 10월까지 자료를 수집한 후 구체적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발견할 수 있는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대상자들의 공통 경험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총 2개의 상위주제와 5개의 하위주제, 18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주제에 따라 살펴보면, 첫째 ‘그리운 학교’ 라는 상위주제에는 ‘온라인 수업에 대한 고충’, ‘줄어든 배움’, ‘채워지지 않는 또래 관계’ 라는 3개의 하위주제와 ‘모른 것이 생겨도 해결되지 않음’, ‘온라인 학습으로 인해 신체 피로도가 증가함’, ‘관계 속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이 줄어듦’, ‘학교에서 만들 수 있는 추억이 사라짐’ 등의 11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코로나로 인해 확산되고 있는 비대면 수업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적응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술의 발전으로 예상되고 있는 비대면 학교생활의 확대에 적절한 준비 및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e activation of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ronavirus (COVID-19). Methods After collecting data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0,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that discover the meaning and essence of specific experience through statements of subjects with commons experience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2 high-level topics, 5 sub-themes, and 18 semantic units were derived. Looking at the subject, first, the top topic of ‘Nostalgic school’ includes three sub-themes, ‘Complaints about online classes’, ‘Less learning’, and ‘Peer relationships that can t be filled’, and 11 semantic units such as ‘Even if something I don t know, it won t be resolved’, ‘Increased physical fatigue due to online learning,’ ‘Less learning in relationships’, and ‘Disappearing memories that can be made in school’. Second, the top topic of ‘Anxiety daily’ includes two sub-themes, ‘Difficulty in managing one’s life’, ‘Lack of security’, and 7 semantic units such as ‘Life pattern is broken and difficult to manage by yourself’, ‘The time spent working with computers and smartphones increases’, ‘Depressed and frustrated with things disappeared due to the corona’.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appropriate preparation and intervention in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school life, which is expected due to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specifically examin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aptation to non-face-to-face classes that are spreading due to coronavirus.

      • KCI등재

        코로나(COVID-19)로 인한 비대면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고경력 교사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하요상(Ha Yo Sang),문가람(Moon Ga R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이 연구는 코로나(COVID-19)로 인한 비대면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고경력 교사의 경험을 탐색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S시 소재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중 1급 정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교직경력이 15년 이상 된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2021년 6월 자료를 수집한 후 경험의 구체적인 의미와 본질을 발견할 수 있는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대상자들의 공통 경험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온라인 수업 경험 인식’, ‘온라인 수업에서 느낀 한계’, ‘포스트 온라인 수업을 위해 필요한 준비’, ‘비대면 학교생활에서 변화된 교사의 생활양식’, ‘교사가 아닌 인간으로서 겪는 개인적 경험’의 총 5개의 상위주제와 부정적 인식, 긍정적 인식, 온라인 수업 플랫폼 만족도 등 12개의 하위주제, 디지털 기기 활용의 낯섦, 교사 개인에게 부과되는 지나친 책임 등 30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코로나(COVID-19)로 인해 비대면으로 전환된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고경력 교사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술의 발전으로 예상되고 있는 비대면 학교생활의 확대에 교사, 학교, 교육청 및 교육부의 적절한 준비 및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highly experienced teachers adapting to non-face-to-face school life due to Corona (COVID-19). Methods After collecting data in June 2021 from 10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in S city, with a first-class teacher qualification and more than 1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that discover the meaning and essence of specific experience through statements of subjects with common experience to investigate the adaptation. Results Results of the analysis ‘Recognition of online class experience’, ‘Limitations felt in online class’, ‘Preparation for post-online class’, ‘Changed teacher s lifestyle in non-face-to-face school life’, ‘Personal experience as a human rather than a teacher’ A total of 5 high-level themes, 12 sub-themes such as negative perception, positiv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online class platform, and 30 units of meaning were derived, including unfamiliarity with digital device use and excessive responsibility imposed on individual teacher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appropriate preparation and support for teachers, schools, the Office of Education, and Ministry of Education for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school life, which is expected due to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specificall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high-experience teachers adaptation to the non-face-to-face school life due to coronavirus.

      • KCI등재

        한국 아동성격강점검사(KICS)의 개발 및 타당화

        김광수 ( Kwang Soo Kim ),하요상 ( Yo Sang Ha ),김은향 ( Eun Hyang Kim ),김경집 ( Kyung Jip Kim ),한선녀 ( Seon Nyeo Han ),양곤성 ( Gon Sung Ya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5 초등교육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의 발달 특성과 실정에 맞는 표준화된 한국형 아동용 성격강점 검사, 즉 KICS의 개발 및 타당화 작업을 위해 실시되었다.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등을 참고로 240문항을 제작하여 서울·경기 지역 초등학교 4,5,6 학년 908명 에게 예비검사를 실시한 후 문항-총점간 상관분석, 문항내적합치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각 성격강점별로 5문항씩 총 120개의 본 검사 문항을 선별하였다. 그 후 전국에 있는 초등학교 4,5,6 학년 1536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한 후 신뢰도와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의 검증 과정을 거쳐 최종 117문항을 추출하였다. 각 강점별 신뢰도는 문항내적합치도 계수(Cronbach α)가 모두 .70 이상으로 만족할만한 수준이었으며, 위계적 2차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각 덕목별로 TLI 와 CFI는 .90 이상 RMSEA는 .057~.087로 나타나 모두 양호한 모형 적합도를 나타냈다. 잠재변수와 측정변수간의 경로계수는 .42~.98 이었으며 모든 부하량은 유의미하였는데(p<.001), 이것은 각 측정변인들이 잠재변인을 잘 설명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24개의 대표강점을 6개의 덕목으로 묶은 본 아동용 성격강점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나타낸다. 이외에 본 척도개발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Inventory of Character Strengths for Children(KICS) that appropriate Korean children`s development and state. 120 questions were selected through item quality,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fter 240 questions were administered to 908 4,5,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ilot test. After that 117 questions were chosen through verification process of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criteria validity of dada of 1536 4,5,6th grade in main test. The Cronbach α of all strength were over .70 therefore the reliability was acceptable and Model fit for all virtues were suitable with the results that TLI, CFI were over .90 and RMSEA was .057~.087 in hierarchial second factor analysis. Path coefficient was .42~.98 and all factor loading were significant(p<.001), which means this KICS scale consisting 6virtues and 24strength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ortanc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신체상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혜미 ( Hye Mi Lee ),하요상 ( Yo Sang Ha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신체상과 우울의 관계를 검증하고 신체상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3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12명으로부터 수집된 신체상, 우울, 자아존중감 자료를 구조방정식과 Sobel test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초등학생의 신체상이 우울에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초등학생의 신체상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신체상이 낮은 학생은 우울감이 높지만, 신체상이 낮아도 자존감이 높은 학생은 우울감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신의 신체상에 한창 예민해지는 시기인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신체상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 속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서 건강한 학생발달을 위한 바른 신체상 정립의 필요성과 자아존중감을 통해 이미 형성된 신체상 만족도의 부정적 영향을 중재하여 우울수준을 낮출 수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depress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depression. 312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 in Seoul, South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Sobel test were employ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dy ima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he depression. Seco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de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it is important to have healthy body image and high self-esteem to prevent various problems which may occur because of depression in childhood and adolescent. These results also implied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multidimensional instruction for these.

      • 성격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정윤지(Jeong, Yun Ji),하요상(Ha, Yo Sang)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敎育論叢 Vol.57 No.4

        이 연구는 성격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22명을 실험집단으로, 참여하지 않는 학생 중 22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주 1회 매회 40분씩 총 10회기의 성격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무처치 하였다. 실험처치 후 두 집단 간 회복탄력성의 사전, 사후 검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격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그 하위요인인 통제성과 긍정성, 사회성 증진에 유의미한 영항을 미쳤다. 이 연구의 결과는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성격강점 기반 프로그램의 개입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것과 앞으로 계속될 성격강점과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를 더 깊이 이해하도록 도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character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resilience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22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for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jongsi were selected as experiment group and 22 of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10 sessions of a character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were administered each week for 40 minutes, and the control group was untreated.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pre- and post- test of resilience between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character strength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subordinate factors such as control, positive, and soci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have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intervention of a character strengths based program for improving resilience and helped to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resilience.

      • KCI등재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문가람(Moon Ga Ram),하요상(Ha Yo S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이 연구는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의 검증을 위해 S시에 소재한 N초등학교 4학년 학생 중 연구자가 담임으로 있는 학급의 학생 23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의 학생 22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COVID-19로 비롯된 등교 인원 제한으로 실험집단은 둘째 주를 제외한 3주 동안 주 5회, 매 회기 당 40분 씩 총 10회기의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실시 후에는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STATISTICS 23.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종속표본 t검증, ANCOVA로 학업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사전, 사후 검사지 반응을 분석하였다. 또한 양적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소감문과 관찰기록, 프로그램 평가 설문을 활용하여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학업 스트레스의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됐으며, 심리적 안녕감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성장지향적 예방모델로서 학업 스트레스 감소와 더불어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verifies the impact of the positive psychology-based happiness promotion program on the reduction of academic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problems and hypotheses, 23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of N Elementary School in S city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s and 22 students who were expected to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due to their similar educational experience were selected as control groups. Due to the restriction on the number of students attending school caused by COVID19,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a total of 10 positive psychology-based happiness promotion programs five times a week for three weeks excluding one week, 40 minutes per session, and no program was conducted o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a post-examination of academic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ponse of academic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ness test paper was interpreted with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and ANCOVA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3.0. The major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anges in academic stress of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ing in happiness promotion program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hanges in control groups. Second, A change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ing in the happiness promotion program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hange in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교육학 이론 및 실제 : 긍정심리증진 프로그램이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광수 ( Kwang Soo Kim ),하요상 ( Yo Sang Ha ),김경집 ( Kyung Jip Kim ),김은향 ( Un Hyang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1

        본 연구는 긍정심리증진 프로그램이 교사 및 상담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상담교사 교육 과정에 참여중인 서울 경기 지역 초중고 교사 및 상담교사 40명을 실험집단으로, 연령과 성별, 지역을 고려한 초중고 교사 및 상담교사 41명을 통제집단으로 무선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총 4개의 소규모 집단으로 나누어 주 1회 120분씩 총 10회기의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 증진 프로그램은 심리적 안녕감의 증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하위변인에 대한 집단간 비교에서는 개인적 성장영역을 제외한 5가지 하위요인(자아 수용, 삶의 목적, 자율성, 긍정적 대인관계, 환경에 대한 통제력)이 모두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내 비교에서는 6가지 하위변인 모두 유의미하게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 심리증진 프로그램은 집단간 비교에서는 우울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집단내의 사전 사후 비교에서는 우울수준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 positive psychology promoting program on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In this study, 40 teachers living in Seoul and Kyunggido and studying in school counseling program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other 41 teachers living Seoul and Kyunggido were randomly assigned to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were divided into four group and ten session were administer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once a wee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positive psychology promoting program had an influence on the increase of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including 5 sub-dimensions(Self-Acceptance, Pupose in Life, Autonomy, Positive Relations, Environmental Mastery) in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and including 6 sub-dimensions in pre and post test of experimental group. Second, the Program didn`t affect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in comparison between two group but had an effect on the decrease of teacher`s depression in pre and post test of experimental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