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로터널 화재안전기준 기반 항만 지역 도로터널 화재 안전성 분석

        하예진,전준호,Ha, Yejin,Jeon, Joonho 한국교통대학교 융복합기술연구소 2021 융ㆍ복합기술연구소 논문집 Vol.11 No.1

        Recently, the fire safety of road tunnels has been important issues in South Korea. However, proper fire safety regulations has not made for road tunnels. Due to geographical challenges in South Korea, road tunnels should be constructed to secure stable traffic flows. In the Guidelines for Installing and Managing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of Road Tunnels (NFSC 603), main target vehicles are passenger cars. This guidelines cannot support big fires from larger vehicles such as cargo, oil trucks. In this study, fire safety for a road tunnel in port area was analyzed with fire dynamics theory under cargo truck fire scenario. Sujunsan road tunnel in Busan city was chosen as a target tunnel, which links between Busan port and highways to increase cargo shipping. The results show the limitations of present guidelines (NFSC 603) for road tunnel from large fire situations.

      • 터널 내 차량 화재에 따른 연기 거동 예측 및 제연 성능 확보 방안 마련

        하예진(Yejin Ha),전준호(Joonho Jeo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터널과 같이 부분적으로 밀폐된 공간 내에서의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화염과 연소가스의 발생으로 많은 인명피해를 주고 있으며, 터널 구체를 붕괴하거나 훼손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몽블랑 터널화재, 타우에른 터널화재, 고타드 터널화재 사고 등 대형화재가 많이 발생했고, 국내에서는 대형화재가 발생하지는 않았으나, 국내에도 많은 터널이 존재하며 환경친화적인 고속도로망 구축과 선형개량등을 위하여 장대터널 건설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잠재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터널 내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이기 위해 화염, 연소가스 거동을 예측하고 제어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역학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터널화재 시 연료에 따른 화재 거동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연기 거동 예측을 위해 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실제 터널 상황을 고려하여 화재 시나리오(Scenario)를 설정하였고, FDS(Fire Dynamics Simulator)를 이용하여 실제로 부산에 존재하는 터널에 대해 화재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온도, 연기 생성량, 가시도, CO2 및 CO 생성량 등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또한, 비상시 연기를 배출하는 적절한 제연설비를 확보하기 위해 제연설비 용량, 대수, 위치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화재시뮬레이션 결과, 각 연료에 따라 값이 다양하게 나타났고 제연설비의 용량, 대수, 위치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장대터널 내 대형화재 발생 시 제연설비 성능 확보를 위한 수치적 연구

        하예진(Yejin Ha),전준호(Joonho Jeo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6 No.6

        본 연구에서는 장대 터널 내 대형화재 시 제연설비 성능을 세부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fire dynamics simulator를 이용하여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항만 지역에 위치해 물류 이동이 많은 지역 터널을 기반으로 한 장대 터널을 시뮬레이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화재 시나리오는 기존 실규모 실험 연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대형화재에 해당하는 화물차량 화재로 설정하였다. 지역 터널에서 사용하는 내경이 1250 mm인 제트팬을 시뮬레이션 터널에 동일하게 적용시켰다. 적절한 제연설비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제트팬 유량 및 설치 간격의 변화가 연기 거동, 가시거리,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제트팬 유량이 감소할수록 긴 역기류가 나타났으며, 인명 안전 기준에 도달하는 시간이 빨라졌다. In this study, a numerical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fire dynamics simulator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a smoke control system in the case of a large fire in a long tunnel. A regional long tunnel that facilitates frequent movement in the port area was simulated. The fire scenario was set as a heavy goods vehicle fire corresponding to a large fire based on the existing real-scale experimental research data. A jet fan with an inner diameter of 1250 mm used in the regional tunnel was included in the tunnel simulation. For the evaluation of the smoke control system performance, the effects of the flow rate and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jet fan on the smoke behavior, visibility, and temperature was analyzed. As the flow rate of the jet fan decreased, backlayering was lengthened, which reduced the time to achieve life safety standard.

      • KCI등재

        울금 주정 추출물이 자연살해세포와 T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하예진(Yejin Ha),김옥경(Ok-Kyung Kim),남다은(Da-Eun Nam),김용재(Yongjae Kim),김은(Eun Kim),전우진(Woojin Jun),이정민(Jeongm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울금의 면역조절 효과에 대해 평가하고자 20% 주정 추출물을 이용하여 자연살해세포와 T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분리한 자연살해세포를 종양세포 YAC-1 세포와 함께 배양시켜 울금 20% 주정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울금 20% 주정 추출물의 처리는 자연살해세포의 CD69 발현과 IFN-γ의 발현을 증가시켰고 결과적으로 활성이 증가되어 YAC-1 세포의 제거를 증가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울금 20% 주정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T 세포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에서는 CD4+ T 세포보다는 CD8+ T 세포를 증가시켰음을 확인하여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 제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울금 20% 주정 추출물은 내재면역과 적응면역에 영향을 미쳐 면역조절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음을 확인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Curcuma longa L. ethanol extracts on natural killer (NK) cells and T cells. We treated Curcuma longa L. ethanol extracts at concentrations of 20, 50, 100, and 150 μg/mL to murine NK cells co-incubated with YAC-1 cells. Curcuma longa L. ethanol extracts resulted in increased NK cell activ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t all concentrations. In the groups treated with Curcuma longa L. ethanol extracts, CD69 and IFN-γ expression level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t 100 and 150 μg/mL. In addition, Curcuma longa L. ethanol extracts induced significant elevation of CD8+ T cell numbers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Curcuma longa L. ethanol extracts also led to reduction of CD4+ T cell and MHCⅡ numb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urcuma longa L. ethanol extracts could enhance the immune response through activation of NK and cytotoxic T cells due to a proliferative shift of antigen presentation from MHCⅡ to MHCⅠ, presumably.

      •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다중 연료 적용에 대한 검토

        하예진(Yejin Ha),전준호(Joonho Jeo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연료는 연소의 4요소 중 가연물에 해당하며 고체연료, 기체연료, 액체연료 등 다양한 형태의 연료가 존재한다. 연료는 구성 성분에 따라 단일 물질로만 이루어진 연료가 있고 다중 물질로 이루어진 연료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수치해석 연구는 단일 연료를 적용하여 화재를 해석하고 있다. 최근 FDS(Fire Dynamics Simulator)에서는 다중 연료를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중 연료를 해석한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화재 시뮬레이션을 통해 단일 연료로만 해석한 경우와 다중 연료로 해석한 경우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기존 연구결과를 비교하여 다중 연료 적용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다중 연료 중 한 연료의 구성 성분비 변화가 온도, 농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가 화재 시뮬레이션에서의 다중 연료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당뇨동물 모델에서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의 혈당 조절 효과

        하예진(Yejin Ha),이민희(Minhee Lee),권한올(Han Ol Kwon),이유현(Yoo-Hyu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1

        본 연구는 당뇨유발모델 쥐에서 아프리칸 망고(Irvingia gabonesis, IGOB 131<SUP>TM</SUP>) 추출물의 혈당 조절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D계 수컷 흰쥐에 IGOB 131<SUP>TM</SUP> 1%, IGOB 131<SUP>TM</SUP> 2%(IGOB 131<SUP>TM</SUP> 353 mg/kg body weight, IGOB 131<SUP>TM</SUP> 706 mg/kg body weight)와 pinitol을 5주간 매일 강제 경구 투여하였다. 그리고 streptozotocin을 복강 주사하여 당뇨를 유발시킨 후 경구 당부하 검사(OGTT)를 실시하였다. 정상군에 비해 당뇨 유발군(DM, pinitol, IGOB 131<SUP>TM</SUP> 1%, IGOB 131TM 2%)의 체중 증가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당뇨 유발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경구당부하 검사 결과에서 DM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pinitol군, IGOB 131<SUP>TM</SUP> 1%, IGOB 131<SUP>TM</SUP> 2%군은 DM에 비해 각각 39.70%, 33.00%, 29.67%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glucose 농도는 정상군에 비해 당뇨 유발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pinitol, IGOB 131<SUP>TM</SUP> 1%, IGOB 131<SUP>TM</SUP> 2%군은 DM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혈청 insulin 농도는 정상군에 비해 당뇨 유발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pinitol, IGOB 131<SUP>TM </SUP>1%, IGOB 131<SUP>TM</SUP> 2%군은 DM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이 STZ 유도 당뇨쥐의 혈청 insulin 함량을 개선시켜 혈청 glucose를 감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gulatory effects of African mango (Irvingia gabonesis, IGOB 131<SUP>TM</SUP>) extract on blood glucose level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Experimental groups were treated with two different doses of IGOB 131<SUP>TM</SUP> (1% and 2% in each AIN93G supplement) for 5 weeks [4 weeks pre-treatment and 1 week post-STZ treatment (60 mg/kg body weight)]. STZ-induced diabetic rats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gain compared to normal control (NC).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as measured using glucose oxidase-peroxidase reactive strips. The area of under the curve for the glucose response from OGTT in STZ-induced diabetic rats was higher than that of NC rat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M and the IGOB 131<SUP>TM</SUP>-treated groups. Serum glucose levels after sacrific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IGOB 131<SUP>TM</SUP> group than the DM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low- and high-dose treatments. Serum insulin levels increased by 234.4% and 175.9%, respectively, upon treatment with IGOB 131<SUP>TM</SUP>. Serum lipid profil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The tested samples had no effects on serum levels of lipid profiles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very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IGOB 131<SUP>TM</SUP> is able to ameliorate diabetes by reducing serum glucose levels that may result from increased insulin levels.

      • KCI등재
      • KCI등재

        잣피 추출물들의 항산화 및 항염증에 미치는 영향

        진중현(Joong Hyun Jin),권한올(Han Ol Kwon),하예진(Yejin Ha),허석현(Seok Hyun Heo),이정민(Jeongm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9

        본 연구에서는 잣피 열수, 20% 주정, 50% 주정 추출물들이 항염증과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ABTS 항산화능과 SOD, CAT, GPx 항산화 효소, NO의 분비량, 염증성 cytokine의 분비량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잣피 열수, 20% 주정, 50% 주정 추출물 중 20% 주정 추출물이 항산화능, 항산화 효소 활성 증가, NO의 분비량 감소, 염증성 cytokine 분비량을 감소시켜 염증반응과 항산화 반응에 도움을 주어 내부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과 외부로부터 침입한 미생물,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었다. 이는 염증뿐만 아니라 면역반응에서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되며 염증조절 및 항산화 반응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므로 추후 염증 조절제로서 기능성 식품의 상업화에 기초 자료가 되어 국내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Pinus koraiensis (PK) cone shell extracts in vitro.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PK cone shell extracted with hot water, 20% ethanol (EtOH), or 50% EtOH were examined using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activites, as well as nitric oxide (NO)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 measurements. The 20% EtOH extract of the PK cone shell decreased the NO and inflammatory cytokines secretion, and increased the ABTS radical scavenging, SOD, CAT, and GPx activities. This indicates that the 20% EtOH extract of the PK cone shell would be helpful in inflammation and oxidation systems. Therefore, the 20% EtOH extract of PK cone shell has great potential as a useful health food.

      • KCI등재

        면역 결핍 동물모델에서 잣피 추출물의 면역조절 효과

        김성필(Seong Pil Kim),권한올(Han Ol Kwon),하예진(Yejin Ha),허석현(Seok Hyun Heo),이정민(Jeongm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9

        본 연구에서는 잣피 20% 주정 추출물을 첨가한 식이로 하여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면역력이 결핍된 마우스에서 면역조절 효과를 확인하고자 T, B 세포의 증식능, Th1 type cytokine과 Th2 type cytokine, NK cell activity, phagocytic activity를 확인하였다. 바이러스로 인하여 AIDS와 유사하게 면역 결핍된 마우스 모델에서 cytokine의 불균형과 T 세포와 B 세포의 proliferation이 균형적으로 회복됨을 확인하였고 바이러스로 인해 자연살해세포와 대식세포의 활성능이 감소하였지만 잣피 20% 주정 추출물의 공급 시 활성능 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잣피 20% 주정 추출물은 LP-BM5 virus로 유도한 면역 결핍 마우스 모델에서 면역조절작용에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immune system is a complex process within the body that protects against disease. Recently, many studies have attempted to discover immunomodulative compounds from natural sources. Pinus koraiensis (PK) cone shell is a by-product of PK. One of the major compounds of PK cone shell is dehydroabietic acid, which has bioactivity, including antiulcer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mmunomodulative effects of PK cone shell.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PK cone shell extracted with 20% ethanol (EtOH) in vivo were examined initially by measuring the natural killer (NK) cell activity, phagocytic activity, Th1/Th2 cytokines release, serum immunoglobulin, and T/B cell proliferation. The NK cell activity and phagocytic activity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y a treatment with a 20% EtOH extract of PK cone shell. Th1 type cytokine and T cell proliferation increased and Th2 type cytokine, B cell proliferation and serum immunoglobulin A, G, and E decreased after a treatment with PK cone shell extract. The 20% EtOH extract of the PK cone shell normalized the unbalanced production of Th1/Th2 type cytokine. This suggests that a 20% EtOH extract of PK cone shell has great potential as a health f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