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합천 삼가고분군의 다곽식고분과 가야권역 다곽식고분의 비교 연구

        하승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1

        합천 삼가고분군은 경남 서부지역 최대 규모의 고분군으로 1세기부터 7세기까지 조성되었으며, 5~6세기에 축조된 봉토분도 300기 이상 확인되었다. 이는 삼가고분군을 축조한 세력이 가야의 유력한 세력으로 오랜 기간 존속했음을 알려준다. 삼가고분군은 최근 발굴조사가 이어지고, 토기양식과 묘제 등 고고학 자료에 대한 연구가 진척되면서 소가야를 구성한 유력한 세력 중 하나였음이 드러나고 있다. 특히 하나의 묘역에 여러 기의 석곽이 순차적으로 축조된 ‘삼가식 다곽식고분’은 소가야의 주요 묘제로 밝혀지고 있다. 5~6세기에 조성된 가야권역의 봉토분은 축조방식과 매장시설의 배치에 따라 단곽식과 다곽식 고분으로 구분된다. 단곽식은 함안․합천․창녕 등 낙동강 연안에 분포하고, 다곽식은 가야 북부지역과 서남부지역에 분포한다. 다곽식고분은 고령식과 삼가식, 고성식으로 구분된다. 고령식은 고령․거창․합천․함양 등 대가야권역의 수장층 고분에서 확인된다. 삼가식은 산청․진주․의령․하동 등 소가야권역에 분포한다. 고성식은 고성과 통영에 축조된 소가야 수장층 고분에서 확인된다. 가야의 묘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목관묘, 목곽묘, 석곽묘, 석실묘로 변하지만, 그 형식과 특징은 개별 정치체에 따라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다. 5~6세기에 축조된 다곽식고분이 고령식, 삼가식, 고성식으로 차이를 드러내는 것도 그러한 사례 중 하나이다. 가야권역 다곽식고분에는 당시 가야사회의 지역성과 집단의 위계, 피장자의 친연관계가 반영되어 있다. The Samga Ancient Tombs in Hapcheon are the largest ancient tombs in western South Gyeongsangnam­do Province, and were built from the 1st to the 7th century AD. More than 300 mound tombs built from the 5th and 6th century were also identified. This indicates that those who built the Samga Ancient Tombs lasted for a long time as influential powers of Gaya. With the recent excavation of the Samga Ancient Tombs and the research progress on archaeological materials as to the earthenware style and tomb type, it is becoming clear that they were a powerful force that constituted Sogaya. In particular, the Samga-style multiple stone-lined tomb, where multiple stone-lined tombs are built sequentially in one tomb area, have been revealed as the main tomb type of Sogaya. The mound tombs in the wider Gaya region from the 5th and 6th centuries are classified into single and multiple stone-lined tombs depending on how the tombs were constructed and burial adornments were arranged. The single stone-lined tombs are distributed along the Nakdonggang River, such as Haman, Hapcheon, and Changnyeong, while the multiple stone-lined tombs are found in northern Gaya and the farther southwest. The multiple stone-lined tomb is divided into the Goryeong, Samga, and Goseong styles. The Goryeong style is found in the ancient tombs of the leaders of the Daegaya region, such as Goryeong, Geochang, Hapcheon, and Hamyang. The Samga style is mostly distributed in the Sogaya region, such as Sancheong, Jinju, Uiryeong, and Hadong. The Goseong-style is concentrated in the ancient tombs of leaders of Sogaya in Goseong and Tongyeong. The tomb type of Gaya was transformed over time into wooden coffin tombs, wood-lined tombs, stone-lined tombs, and stone-chamber tombs. However, their formats and characteristics vary in detail depending on the political entity. The fact that the multiple stone-lined tombs built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reveal differences in the Goryeong, Samga, and Goseong styles is one such example. The study of Gaya's tomb types is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Gaya confederacy, which consisted of various polities.

      • KCI등재

        섬진강 하류지역 가야문화의 확산과 정치체의 변동

        하승철 호남사학회 2022 역사학연구 Vol.88 No.-

        The Downstream area of the Seomjin River is a space where Mahan, Baekje, and Gaya cultures are mixed. Mahan and Gaya cultures are mixed until the 4th century, but from the 5th century to the 6th century, Gaya culture has rich in color. Baekje culture has been mainstream since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Various types of Gaya pottrry have been excavated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Seomjin River and the western part of Gyeongsangnam-do show a strong connection in residential structures. The tombs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Seomjin River were changed to the wooden chamber tomb in the first half of the 4th and 5th centuries, Stone-lined tomb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and Corridor-Chamber tomb from the 6th century. Judging from the archaeological data, the Downstream area of the Seomjin River and Sogaya form a common cultural sphere from the 4th century and are included in the Sogaya Federation in the 5th century. Since the late 5th century, the entry of Daegaya forces along with Sogaya has been remarkable. It is presumed that the political body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Seomjin River was Imna 4Prefectures recorded in the Nihoshok日本書紀. Groups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Seomjin River sought survival by establishing multilateral relations with Sogaya, Daegaya, and Baekje. 섬진강 하류지역은 마한·백제문화, 가야문화가 혼재하는 공간이다. 4세기부터 경남 서부지역과 공통의 문화권을 형성하였고 5세기부터 가야문화의 색채가 강해진다. 6세기 중엽에는 가야문화를 대신하여 백제문화가 주류를 형성한다. 이 지역에 대한 문헌연구에서는 백제와 대가야의 관계에 대해 집중하고 있으나 물질자료에서는 소가야 계통이 월등히 많으므로 이와 관련한 연구도 필요하다. 또한 토착세력이 소가야, 대가야, 백제 사이에서 어떠한 선택을 하였는지에 대한 관심도 필요하다. 섬진강 하류지역에는 다양한 계통의 가야토기가 출토되고 경남 서부지역의 주거구조와도 강한 연관성을 보여준다. 섬진강 하류지역의 묘제는 4~5세기 전반에 토광묘, 5~6세기에 석곽묘, 6세기부터 석실묘로 바뀐다. 고고자료로 판단하면 섬진강 하류지역과 소가야는 4세기부터 공통의 문화권을 형성하고 5세기에는 소가야연맹체에 포함된다. 5세기 후엽부터 소가야와 함께 대가야 세력의 진출이 두드러진다. 대가야는 섬진강 교역로를 확보하고 섬진강 하류지역으로 세력을 확대하였다. 섬진강 하류지역에 있었던 정치체는 『일본서기』에 기록된 임나사현으로 추정된다. 고고학 자료로 보면 백제와 가야가 접점을 이루었던 섬진강 하류지역이 임나사현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임나사현을 대가야로만 한정하는 것은 제고를 요한다. 임나사현으로 추정되는 섬진강 하류지역 집단은 소가야, 대가야, 백제와 다각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생존을 모색했다.

      • KCI등재

        가야서남부지역 출토 도질토기에 대한 일고찰

        하승철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0 고문화 Vol.56 No.-

        서남부토기의 기종은 삼각투창고배, 일단장방형투창고배, 이단엇갈린투창고배, 수평구연호, 기대, 광구호, 대부직구호, 컵형토기 등이며, 서남부토기가 대가야, 아라가야와 구분되는 독자적인 토기생산체제와 유통권을 형성한 것은 5세기 중엽이었다. 이후 서남부토기의 생산은 가야가 멸망하기까지 약 100년 간 지속되었으나, 신라토기의 진출로 생산이 중단되었다. 서남부토기 성립기의 산청 중촌리 집단은 四通의 교통로를 이용하여 백제지역, 합천지역, 진주, 고성지역과의 활발한 교역을 바탕으로 성장하였다. 5세기 중 · 후반대의 서남부지역은 산정 · 함양권, 진주권, 사천 · 고성권을 중심으로 경호강과 남강을 이용한 내륙의 교역권과 남해안의 해상 교역권을 장악하여 강성해졌으며, 이러한 교역의 이점을 바탕으로 황강 상류지역인 합천 저포리 · 봉계리, 합천 옥전 등과 활발한 교류를 하였다. 반면에 이른 시기에 도질토기 생산체제를 갖추고 광범위한 분포권을 형성하였던 함안의 아라가야는 유통권이 축소되었으며, 서남부토기와는 의령~군북~진돔을 잇는 선으로 경계를 이루게 되었다. 그리고 이 시기의 서남부지역은 산정 중존리 집단을 가장 강력한 중심지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 한편, 5세기 후엽과 6세기 전엽의 대가야는 거창, 합천 반계제, 옥전, 함양 백천리 등으로 확산되고, 백제와의 교통로인 남원, 아영, 운봉, 장수지역으로 진출하게 됨에 따라, 서남부지역은 백제, 합천 등 주요한 교역 대상을 상실하게 되므로 점차 쇠퇴하게 되었다. 특히 산청 중촌리 집단은 급격히 쇠퇴하는 반면, 고성지역은 새로운 교역의 상대자인 신라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어 새로운 중심집단으로 등장하였다. 이상과 같이 필자는 서남부토기의 성립과 확산, 소멸과정을 통하여 서남부집단의 변화양상을 그려보고자 하였으며, 백제토기, 대가야토기, 신라토기의 출현양상을 시기별로 나누어 고찰해 봄으로써 서남부 지역의 대외관계를 추적해 보았다. 그리고 지금까지 확인된 서남부토기의 분포범위와 이와 관련된 집단은 ‘小伽耶’ 란 명칭으로 묶을 수 없다는 점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Categories of pottery found in southern west parts of Korea are such as, Mounted Cup, Jar, Long necked jar, Pottry stands, Cups with handle and the like. It is believed to date from mid-5c that distinctive production of pottery and its distribution by which Taekaya(대가야) and AraGaya(아라가야) can be differentiated found a shape. Yet, such system mentioned above since the fall of Gaya(as sad to be one of ancient kingdoms before a Unifed shilla) lasted itself for 100 years. with the emergence of Shilla patterns of pottery, it stoped producing. During the beginning of south west pottery , A group of JungChon(중촌) in Sanchong(산청) around the boundary of Mt GiRi(지리산) used the four-open-road in direction to develop actively the control of of trading with neighboring areas(Packche, HapChon, Jinju, Kosung). At this time, the whole area that was possible to trade and distribute in each pat of it included Sanctumg, Hanyang and JinJu. the core of marine exchange in which SaChun and KoSung(고성) areas were developing made its own business with Bongyeri(봉계리) in HapChon around the upper stream of Ri. Hang. Meanwhile, AraGaya of HamAn(함안) in a earlier period had established production system of pottery and expanded its wide range distribution. But over time, its distributing network were reduced to the extent that the line ranging from UiYeong to KunBuk(군복) to JinDong(진동) made it clear to differentiate with south west pottery . To be short, I can describe a big picture representing changes of south west groups by examining their emergence, expansion, ad disappearing. other than that, chronological patterns of emergence of three different potteries(Paekche, Taekaya, Silla) were also examined. while there is for now much doubt that archaeological records including potteries would make sure to understand partly political situations of group, it is more to be certain that I find it clear to see changing patterns of pottery buried over periods.

      • KCI등재

        선천성 상기도폐쇄증후군에서의 분만 중 자궁 외 치료 1예

        하승철,이영하,구자윤,이윤세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 2017 임상이비인후과 Vol.28 No.2

        The Ex-Utero Intrapartum Treatment (EXIT) is a procedure that secures the airway in fetus with upper airway obstruction. Congenital high airway obstruction syndrome (CHAOS) is a blockage of the fetal trachea or larynx due to narrowing of the airway (stenosis), a web-like membrane, or even an area of the trachea that is missing (atresia). If it was not adequately diagnosed and managed in prenatal evaluation, infant would not survive after birth. We present a case of CHAOS, which was treated successfully by the EXIT procedure during the delivery.

      • KCI등재

        유물을 통해 본 아라가야와 왜의 교섭

        하승철 중앙문화재연구원 2018 중앙고고연구 Vol.0 No.25

        Negotiations between Aragaya and Wa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Jindong Bay or Masan Bay of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Wa relics excavated from Aragaya are from the 4th or the 5th century. A lot of the 4th century Wa earthenware were excavated from the historic site of Hyeondong, and the early 5th century armor made in Japan was excavated from Haman Dohangri Tomb No. 13. In the late 5th century, sword imported from Wa was buried in Malisan Tomb No. 4. Compared to the large number of Aragaya relics from the 5th century excavated in the Japanese Islands, only a few Wa relics were found in Aragaya. Aragaya relics excavated from the Japanese Islands were either buried in ancient tombs, brought in person by Aragaya immigrants, or produced locally. A large amount of Aragaya relics was excavated around Kyushu in the 4th century. We can assume direct negotiating relations between the heads of Aragaya and Kyushu in the 4th century. From the late 4th century, they came to be excavated intensively in Osaka instead of Kyushu. From the late 4th century until the early 5th century, we can see either direct or indirect negotiations between the heads of Kinki and Aragaya. Aragaya relics are highly concentrated particularly in Nara of Japan. In the historic sites where Aragaya relics have been excavated, we find a lot of earthenware and steel products, implying a substantial influx of Aragaya craftsmen. The heads in Nara were accepting advanced handicraft techniques through negotiations with Aragaya. Aragaya relics found in Japanese Islands decrease in number from the late 5th century.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Islands takes a multichannel form, resulting in the increase in the relics from Daegaya, Sogaya, Mahan, and Baekche. 아라가야의 대왜 교섭은 남해안의 진동만과 마산만을 통해 이루어졌다. 아라가야에서 출토된 왜계 유물은 4세기, 5세기 전반, 5세기 후반으로 구분된다. 4세기에는 현동유적과 대평리유적에 왜계 토기가 다량 출토되고, 5세기 전반에는 함안 도항리 13호분에 왜계 삼각판혁철판갑이 반입된다. 5세기 후반에는 말이산 4호분에 왜계 철검이 부장되고, 함안 오곡리 M1호분과 대평리 M1호분에 스에키가 부장된다. 일본열도에 다수의 아라가야계 토기가 출토되는 점에 비해 5세기에 반입되는 왜계 유물은 극히 적다. 일본열도에서 출토되는 아라가야 유물은 고분에 공헌되기도 하고, 이주한 아라가야 사람들에 의해 반출되거나 현지에서 재생산되기도 한다. 아라가야 유물은 4세기에는 규슈를 중심으로 다량 출토된다. 서남해안지역과 거제 아주동유적, 규슈지역에 분포하는 아라가야 유물로 볼 때 마한-아라가야-왜의 관계망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4세기 후반부터 규슈를 대신하여 가야와 왜의 주요 교역로인 쥬고쿠(中國), 시코쿠(西國), 긴키(近畿)에 아라가야 유물이 집중한다. 4세기 후반부터 5세기 전반에는 긴키지역 수장층과 아라가야 수장층의 직·간접적인 교섭이 전개된다. 특히 아라가야 유물은 일본 나라지역에 집중적으로 출토된다. 아라가야 유물이 출토되는 유적에서는 초기 스에키, 철 생산 관련 유물이 공반되고 있어 아라가야 공인이 대거 진출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나라지역 수장층은 아라가야 수장층과의 교섭, 아라가야 이주민의 정착을 통해 철·토기 등 첨단 수공업 기술을 수용하였다. 그러나 5세기 후반부터 일본열도에서 출토되는 아라가야 유물은 급감한다. 한반도와 왜의 교섭이 다원화되면서 대가야, 소가야, 마한·백제계 유물이 증가한다. 5세기 후반부터 아라가야 토기 분포권이 함안분지로 위축되고 아라가야 외곽 수장층에 소가야 유물이 증가하는 것과 궤를 같이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