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직무요구와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간의 관계에 있어 수면의 매개효과와 향후 연구방향

        하성욱(Ha, Seongwook),양 욱(Yang, Xu) 한국인사조직학회 2017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2

        본 연구는 직무요구가 수면을 통해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실증하기 위해 중국 은행산업의 사무・관리직 직장인 299명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하였다. 직무요구는 표면연기와 양적 역할과부하로 구분하였다. 수면은 수면시간과 수면질로 구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표면연기는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보였다. 표면연기-수면시간-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연결되는 매개효과와 표면연기-수면질-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도 모두 유의한 부(-)의 관계가 나타났다. 표면연기에서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연결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여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여준다. 양적 역할과부하는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양적 역할과부하-수면시간-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연결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양적 역할과부하-수면질-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만이 유의한 부(-)의 관계가 나타났다. 양적 역할과부하에서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연결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아 완전매개효과를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demands and job-related affective well-being(hereafter, JAW),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leep duration and sleep quality to these relationships with the sample of 299 employees in Chinese banking industry. Job demands include surface acting and quantitative role overloa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surface acting h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JAW. 2) sleep duration has a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acting and JAW. 3) sleep quality has a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acting and JAW. 4) quantitative role overload does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JAW. 5) sleep duration has no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ative role overload and JAW. 6) sleep quality has a negativ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ative role overload and JAW. Based on th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

        두 개의 이질적 개인 네트워크: 내부 네트워킹 행위와 외부 네트워킹 행위가 경력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하성욱(Ha, Seongwook),왕설(Wang, Xue),차종석(Cha, Jongseok) 한국인사관리학회 201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6 No.4

        본 연구는 개인의 네트워킹 행위를 내부 네트워킹 행위와 외부 네트워킹 행위로 구분하고 양자가 경력 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경력 초기에 있는 중국의 ‘80후’ 세대의 사무 관리직 직장인 316명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다. 실증 연구 결과, 개인의 내부 네트워킹 행위가 자신의 경력만족과 조직몰입 중 정서적 몰입, 계속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의 외부 네트워킹 행위는 자신의 경력만족과 조직몰입 중 정서적 몰입과 계속적 몰입에 각각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 문헌 고찰을 통해 제시된 가설과 다르게 개인의 외부 네트워킹 행위는 규범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내부 네트워킹 행위와 외부 네트워킹 행위가 개인의 경력개발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개인의 외부 네트워킹 행위가 자신이 속한 조직에 미치는 복합적이고 상충적인 효과들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또한 실무적인 측면에서 개인의 외부 네트워킹 행위에 대한 관리가 필요함을 말해준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ing behaviors to care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though networking behaviors of individual are important to his/her career success, there is little empirical research on the impact of individual's networking behaviors on care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the sample of 316 Chinese employees, who had been born after 1980, in early career stage,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ing behaviors of employees they had been experienc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internal networking behaviors are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satisfaction, and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respectively. 2) external networking behaviors are negatively related to career satisfaction, and affective and continuance commitment, respectively. 3) external networking behaviors are positively related to normative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

        내부와 외부 네트워킹 행위가 고용가능성과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

        하성욱(Ha Seongwook),장주(Zhang Shu) 한국인사관리학회 2015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개인의 네트워킹 행위를 내부 네트워킹 행위와 외부 네트워킹 행위로 구분하고, 양자가 고용가능성(즉, 내적유연성, 외적이동성)과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 관계들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를 실증하기 위해 한국의 사무·관리직 직장인 26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실증 연구 결과, 개인의 내부·외부 네트워킹 행위는 각각 자신의 내적유연성과 외적이동성을 모두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 네트워킹 행위는 경력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외부 네트워킹 행위는 경력만족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여성일 때 남성 보다 내부 네트워킹 행위가 외적이동성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감소하는 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여성일 때 남성보다 외부 네트워킹 행위가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는 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내부와 외부 네트워킹 행위가 모든 주관적 경력성공 지표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바람직하지만, 여성의 경우 내부 네트워킹 행위가 외적이동성만은 높여주지 못하고, 외부 네트워킹 행위가 경력만족만은 높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별에 따른 분석결과는 여성에게 내부 네트워킹 행위는 남성에 비해 외적이동성 측면에서 불리하지만 경력만족감을 주어 활발하게 수행될 수 있고, 외부 네트워킹 행위는 남성에 비해 외적이동성 측면에서 불리하지 않지만 경력 만족감을 주지 못해 부족해지기 쉬울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실제로 사후분석에서도 여성의 내부 네트워킹 행위는 남성 보다 활발하지만, 여성의 외부 네트워킹 행위는 남성 보다 부족한 편이었다. 실무적인 측면에서 여성의 외부 네트워킹 행위에 대한 관리가 필요함을 말해준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networking behavior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to these relationships with the sample of 265 Korean employees. Networking behavior includes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Subjective career success includes employability, which is consisted of internal flexibility and external mobility, and career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internal networking behavior is positively related to internal flexibility, external mobility, and career satisfaction, respectively. 2)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is positively related to internal flexibility and external mobility, and not related to career satisfaction. 3) gender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networking behavior and external mobility, such that the relationship is stronger for men than for women. 4) gender also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and career satisfaction, such that the relationship is stronger for men than for women. Based on th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

        정석 조중훈의 글로벌 경험과 창업과정

        하성욱(Seongwook Ha) 한국경영학회 2018 Korea Business Review Vol.22 No.4

        본 사례는 한진그룹 조중훈 창업자의 경험 특히 글로벌 경험이 창업과정에 주었던 긍정적 영향을 분석하여 창업에 있어 글로벌 경험의 중요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특히 조중훈을 후발개도국 기술창업자로 규정하고 글로벌 경험과 기술창업을 연결하여 분석한다. 기존 연구들은 우리나라 대기업 창업자를 기술창업자로 규정한 경우가 거의 없는데, 본 사례는 특수한 상황인 후발개도국의 기술창업자로 규정하고 그의 글로벌 경험과 창업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글로벌 기업만이 아니라 후발개도국의 창업기업에서도 기술창업자의 글로벌 경험은 매우 중요하나, 기존 연구들은 이들이 수동적으로 선진국의 기술 및 산업 지식을 이전 받는 것으로 파악하고 이들의 능동적인 노력을 간과하였다. 사례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조중훈 창업자의 글로벌 경험이 창업과정에 미친 영향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그는 조선 및 해양 분야의 선진국이었던 일본으로 가서 첨단 기계 및 엔진기술을 직접 경험하고 내재화함으로써 국내경쟁자 보다 우월한 핵심역량을 보유할 수 있었다. 그는 세상이 얼마나 넓고 다양한 가능성이 넘쳐나는 기회의 땅인지를 보고 왔기 때문에, 항상 다른 경쟁자들 보다 해외에서 유입되는 새로운 기회들을 먼저 추구하였고, 해외 사업기회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넓은 시야를 가질 수 있었다. 그는 다른 나라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경제 현상과 선진적인 경영기법을 실제로 겪어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그는 융합적 철학을 가진 기술경영자가 되었다. 둘째, 조중훈 창업자의 성장배경이 기업가정신의 토대를 제공했다. 유복한 집안에서 태어난 그는 선진 기계를 먼저 접해 보아서 어린 시절 기술애호가가 되었고, 이는 나중에 엔지니어로의 경력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그의 둘째 아들이라는 출생순서가 자유롭고 도전적인 삶을 추구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아버지 포목점 사업의 실패가 역설적이게도 조중훈이 더 빨리 사업가가 되게 하였다. 셋째, 창업 경험이 또 다른 창업기회의 인식과 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는 인천항에서의 수송업 경험과 외항선 항해 경험, 선진 엔진기술 등을 결합하여 퀴논항의 사업기회를 발굴하였다. 이연공업사가 일제의 기업정비령에 의해 문을 닫게 되었지만, 그 때 경험한 대관업무와 산업현장 경험이 한진상사를 설립하고 운영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고 창업 자본도 제공해주었다. 그는 수송업을 하는 과정에서 만난 미군과 일본 수송업계의 인맥을 통해 외부자원을 활용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entrepreneurs experience and entrepreneurial process in a lately developing country by analyzing the case of Jung-Hoon Cho, who is the founder of Hanjin Group. Among kinds of entrepreneurs experience, this study especially has focused on global experience of the technology entrepreneur because success of new venture usually depends on it, regardless of whether new venture has founded in a developed country or not. Prior studies have not identified founders of Korean conglomerates as technology entrepreneurs in a developing country. The results of case analyses are as followings. First, global experience of the founder, Jung-Hoon Cho, had hugh impacts on the entrepreneurial process of Hanjin. Through the global experience, he had accumulated skills and knowledge of engine technology, which were more competitive than local skills and knowledge in Korea. He also had internalized global orientation to be a early-adopter of newly-introduced business opportunities or global business opportunities. He had experienced various economic phenomena, such as hyper-inflation in war, and advanced management techniques, such as a demand-creating sales technique and a strict quality control. He had learned convergent mindset of integrating technology-oriented thinking and market-oriented thinking. Second, family backgrounds had impacts on the entrepreneurial process. Ironically he had become a founder of new venture in his early age because of the failure of his fathers fabric store business. Third, his start-up experience had impacts on the entrepreneurial process. Prior experience facilitated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of business opportunities, in terms of seed money, human network, and procedural knowledge to make a firm officially and to build up organizations.

      • 직무요구와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간의 관계에 있어 수면의 매개효과

        하성욱(Ha Seongwook),양욱(Yang Xu) 한국인사관리학회 2017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

        본 연구는 직무요구가 수면을 통해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실증하기 위해 중국 은행산업의 사무ㆍ관리직 직장인 299명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하였다. 직무요구는 방해적 직무요소인 양적 역할과부하와 도전적 직무요소인 감정노동으로 구분하였다. 수면은 양적 측면의 수면시간과 수면질로 구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양적 역할과부하는 수면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그로 인해 양적 역할과부하 - 수면시간 - 수면질-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연결되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양적 역할과부하 - 수면질 -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는 유의한 부(-)의 효과가 나타났다. 양적 역할과부하에서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연결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아 완전매개효과를 보여준다. 감정노동은 감정노동 - 수면시간 - 수면질 -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연결되는 이중매개효과에서 유의한 부(-)의 효과가 나타났고, 감정노동 - 수면질 -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도 유의한 부(-)의 효과가 나타났다. 감정노동에서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연결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여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demands and job-related affective well-being,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leep duration and sleep quality to these relationships with the sample of 299 employees in Chinese banking industry. Job demands include quantitative role overload and emotional lab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quantitative role overload doesn’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leep duration. 2) sleep quality has a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ative role overload and job-related affective well-being. 3) emotional labor has a double mediation relationship with job-related affective well-being through sleep duration and sleep quality. 4) sleep quality has a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related aff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인사·조직 연구를 위한 수면 측정도구 실증 연구

        하성욱(Ha, Seongwook) 한국인사조직학회 2019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2

        본 연구는 인사·조직 분야의 실증연구에 적합한 수면 측정도구를 제시하기 위해 주간과 야간학생이 동일한 비율로 있는 한성대학교 경영학부 학생들 237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피츠버그 의대에서 개발한 PSQI는 의학 및 임상적 근거가 있지만,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 Cronbach’s α가 0.5 정도로 낮았고 요인분석결과도 2개 이상의 차원을 도출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에 한계를 가진다. PSQI는 처음 제시된 것과 다르게 단일 차원으로 보기 어렵다. 본 연구의 요인구조는 기존 PSQI 후속연구와 비교하여 상당한 차이를 가진다. 이것은 PSQI가 수면질환자와 일반인을 구별하기 위해 개발되었는데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일 수 있다. 기존연구들은 수면시간과 수면질로 구분하여 측정할 때 각각 3가지 지표들을 사용하였다. PSQI 수면시간, PSD 수면시간, 주관적 수면시간, 주관적 수면질, 불면증 척도, 그리고 PSQI 질적 항목이다. 수면시간의 3가지 지표들과 주관적 수면질은 단일 항목이고, 다항목인 불면증 척도와 PSQI 질적 항목은 Cronbach’s α가 0.7 정도로 높은 편이다. 요인분석 결과에서 불면증 척도는 단일 차원이었지만, PSQI 질적 항목은 다시 2개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PSQI 질적 항목은 PSQI의 7개 차원 중 수면시간과 수면효율성을 제외한 5개 차원을 Likert 척도로 측정한 것인데 하성욱(2016)과 다르게 수면질 측정도구로 바람직하지 않았다. 수면시간의 3가지 지표들, 주관적 수면질과 불면증 척도를 포함하는 2차 요인분석은 수면시간 차원과 수면질 차원으로 뚜렷하게 구분한다. 다만 주관적 수면시간은 상대적으로 수면질 차원과도 약간의 요인적재량을 보이는데, 대상자가 수면시간을 주관적으로 응답하는 과정에서 수면의 질적 측면을 고려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인사·조직 분야의 연구가 수면 측정도구로 PSQI 수면시간 혹은 PSD 수면시간, 그리고 주관적 수면질 혹은 불면증 척도의 조합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나아가 이 지표들이 수면의 결과변수인 자아고갈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원인변수인 카페인, 술과 담배 섭취가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이들의 기준관련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PSD 수면시간과 불면증 척도를 최적의 수면측정도구로 제안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various measures of sleep for human resources and organization research with the sample of 237 day-shift and night-shift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Hansung University. The data was gathered during two semesters. In each semester, respondents answers two questionnaires with an 1-month interval. Although the PSQI had been developed and selected on clinical grounds of medical doctors in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the Cronbach’s α of PSQI 7 dimensions from the data was the low level around 0.5, and the number of factor and the factor structure extracted from the data were inconsistent and unstable. They were also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prior studies, such as Guo et al.(2016), Sohn et al.(2012), and Buysse et al.(1989). Prior studies of this area had been adopted various measures of sleep duration and sleep quality. The measures of sleep duration include the PSQI sleep duration, the PSD sleep duration, and the subjective sleep duration. The measures of sleep quality include the subjective sleep quality, the insomnia scale, and the PSQI qualitative dimension. The PSQI qualitative dimension was not preferred for it had no clinical grounds and an inconsistent factor structure from the data. The subjective sleep duration was not preferred for the answers of respondents might be affected by their sleep quality. This study suggests a combination of the PSQI sleep duration or the PSD sleep duration, and the subjective sleep quality or the insomnia scale as good measures of sleep. Furthermore, the best measures of sleep might be the PSD sleep duration and the insomnia scale, because the PSD sleep duration explained the ego depletion on the regression models better than the PSQI sleep duration did, and the subjective sleep quality had only one item impossible to analyz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

      • KCI등재
      • 네트워킹 행위와 멘토링이 경력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경력 초기 중국 80후(바링허우) 세대를 대상으로

        왕설(Wang Xue),하성욱(Ha Seongwook),차종석(Cha Jongseok) 대한경영학회 2011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1 No.1

        본 연구는 중국의 '80후' 세대가 인사관리 대상으로서 가지는 특수성에 주목하여 경력초기에 있는 '80후'세대 직장인 316명을 대상으로 네트워킹 행위와 멘토링이 이들의 경력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내부 네트워킹 행위는 경력만족, 조직몰입 중 정서적 몰입과 계속적 몰입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고, 외부 네트워킹 행위는 경력만족, 조직몰입 중 정서적 몰입과 계속적 몰입에 각각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 네트워킹 행위와 외부 네트워킹 행위는 모두 규범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멘토링의 세 기능인 경력개발 기능, 심리사회적 기능, 역할모형 기능은 모두 경력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개발 기능은 조직몰입의 세 차원인 정서적 몰입, 계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리사회적 기능은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할모형 기능은 조직몰입의 세 차원에 모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연구결과는 네트워킹 행위 중에서 내부 네트워킹 행위와 외부 네트워킹 행위가 개인의 경력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실증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networking behaviors and mentoring to care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though today's employees regarded their networking behaviors as important to their career success, there is less research on the impact of individual's networking behaviors on care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the sample of 316 Chinese employees who had been born after 1980 and in early career stage,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ing behaviors of employees and the mentoring they had been experienc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1) internal networking behaviors are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satisfaction, and affective and continuance commitment. 2) external networking behaviors are negatively related to career satisfaction, and affective and continuance commitment. 3)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ing behaviors are positively related to normative commitment, respectively. 4) all mentoring functions are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satisfaction. 5) career-related mentoring func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all three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cluding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6) psychosocial mentoring func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affective and normative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

        정보탐색이 신제품개발 과정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덕섭 ( Shim Duksup ),하성욱 ( Ha Seongwook ) 한국지식경영학회 2020 지식경영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정보탐색이 신제품개발 과정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5개 기업의 82개 신제품개발과제에 대한 실증조사를 진행하였다. 정보탐색은 일반정보, 내부정보와 외부정보에 대한 탐색으로 구분하였고, 신제품개발과제의 성과는 기술성과와 시장성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부정보 탐색은 신제품개발과제의 기술지식을 증가시키고, 외부정보 탐색은 신제품개발과제의 시장지식을 증가시켰다. 신제품개발과제의 기술지식과 시장지식은 각각 기술성과를 향상시키고, 시장지식만이 시장성과를 향상시켰다. 전체적으로 신제품개발과제의 기술지식은 내부정보 탐색과 기술성과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신제품개발과제의 시장지식은 외부정보 탐색과 기술성과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 외부정보 탐색과 시장성과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기술지식 혹은 시장지식은 여기 언급된 조합 이외에 정보 탐색과 신제품개발 성과간의 어떤 관계도 매개하지 않았다.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formation search on new product development (NPD) process and performance with a sample of 82 NPD projects in 5 firms. The information search is consisted of general sources, internal sources, and external sources. The performance is consisted of technological and market performance. Findings show that information search from internal sources increases the technological knowledge of the NPD team, and information search from external sources increases the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The technological and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increases its technical performance respectively. Only the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increases its market performance. Overall, the technological knowledge of the NPD team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 from internal sources and its technical performance. The market knowledge of the NPD team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 from external sources and its technical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 from external sources and its market performance. There is no other significant mediation relationships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es and the performance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벤처기업가의 일관련 반추가 초기 벤처기업의 혁신에 미치는 영향 : 수면의 매개효과

        박하진(Park, Hajin),하성욱(Ha, Seongwook)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1

        This study suggests the research model through a literature review, which has the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s work-related rumination and innovation of the early-stage startup,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sleep on these relationships. Work-related rumination, which is “a perseverative thinking about work” during off-job time, consists of affective rumination, problem-solving pondering, and psychological detachment(Querstret & Cropley, 2012: p.7). Affective rumination is “an intrusive, pervasive, recurring thought about work, which is experienced as negative in affective terms,” and problem-solving pondering refers to “merely reconsidering work-related issues during off-job time(Weigelt et al., 2019: p.3).”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refers to “an individual’s sense of being away from the work situation(Etzion et al., 1998: p.579).” Work-related rumination has an impact on entrepreneur’s innovative work behavior, which finally increases creativity and innovation of the early-stage startup. Innovative work behavior consists of idea exploration, idea generation, idea championing, and idea implementation(de Jong & den Hartog, 2010). Idea generation activity encompasses idea exploration and generation behavior, and idea implementation activity encompasses idea championing and implementation behavior(e.g. Dorenbosch et al., 2005; Krause, 2004). The model suggests the hypotheses as follows. (1) Affective rumination decreases idea generation and implementation activity. Problem-solving pondering increases idea generation and implementation activity.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decreases idea generation activity and increases idea implementation activity. (2) Sleep has the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related rumination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3) Affective rumination and problem-solving pondering induce sleep problems,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induces a good sleep. (4) Sleep induces entrepreneur’s idea generation activity through cognitive activation and induces idea implementation activity through increasing social competence. (5) Entrepreneur’s idea generation activity is related to creativity of the early-stage startup, and entrepreneur’s idea implementation activity is related to innovation of the early-stage startup. Its creativity is related to its innovation. 본 연구는 기존 문헌고찰을 통해 벤처기업가의 일관련 반추가 초기 벤처기업의 혁신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를 매개하는 수면의 효과를 다루는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일관련 반추(work-related rumination)는 벤처기업가가 일과시간 후에 업무와 관련된 생각을 하는 것인데, 감정적 반추, 문제해결숙고와 심리적 분리로 구분된다(Querstret & Cropley, 2012). 감정적 반추(affective rumination)는 일과 관련된 생각에서 부정적인 정서경험을 하는 것이고, 문제해결숙고(problem-solving pondering)는 업무 관련된 이슈를 고민하고 궁리하는 것이며(Cropley et al., 2012:p.25), 심리적 분리(psychological detachment)는 업무상황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됨을 느끼는 것이다(Etzion et al., 1998:p.579). 일관련 반추는 벤처기업가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어서 궁극적으로 초기 벤처기업의 창의성과 혁신에 영향을 줄 것이다. 벤처기업가의 혁신행동은 아이디어 탐색행동, 창출행동, 전파행동과 실행행동으로 구분하는데(de Jong & den Hartog, 2010), 본 연구는 아이디어 창출활동과 실행활동으로 양분하고자 한다(e.g. Dorenbosch et al., 2005; Krause, 2004). 이들은 각각 기업이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창의성(creativity)과 기업이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실행하는 혁신(innovation)에 직접 연결된다(Amabile, 1988). 정서적 반추는 아이디어 창출활동과 실행활동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문제해결숙고는 아이디어 창출활동과 실행활동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심리적 분리는 아이디어 창출활동에는 부정적이나 실행활동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특히, 일관련 반추는 수면을 통해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심리적 분리는 수면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정서적 반추와 문제해결숙고는 수면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Akerstedt et al., 2002). 수면은 벤처기업가의 인지적 활동을 활성화하여 아이디어 창출활동을 촉진하고, 또한 사회적 역량을 제고하여 실행활동을 촉진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