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 상징 형성과 정책에 관한 연구

        피종삼 ( Jong Sam Pi ),김현석 ( Hyun Suk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1

        서울 상징 디자인정책으로 2007년 11월부터 2008년 5월, 6개월간 서울 상징 개발을 위해 서울의 역사, 문화, 관광 등과 관련된 27가지 서울 상징물을 선정, 경복궁>남산 N서울타워>한강 >인사동>국립중앙박물관>명동>동대문/남대문시장 순으로 나타났다. 21세기 도시상징의 역할은 단지 도시자체를 상징하는 의미만을 부여하는 것이 아닌 도시발전과의 관계성이 나타난다. 서울시는 세계 도시의 상징적 특성과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주로 자연발생형과 도시이미지와 국가이미지가 같은 여러 도시와 달리 서울의 상징은 의도적개발형과 도시이미지와 국가이미지가 일치하지 않은 상징으로 나타났다. 서울 상징으로 해치가 선정되었는데 이러한 해치에 선정에 대한 문제점과 해치 선정 후 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결과로 아직 자리 잡지 못한 서울의 상징이 대한 필요성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상징 선정 문제점으로 1위인 경복궁이 정적이고 캐릭터와 할 수 없다는 이유로 의도적으로 경복궁 내에 있는 상징물 아이콘으로 해치를 선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해치의 부적절한 이유로 서울과의 관련성이 낮으며 친숙하지 못한 부분을 들 수 있었다. 이러한 해치 선정 후 무리한 홍보예산과 프로그램으로도 자리매김하지 못한 부분을 지적하고자 한다. 이러한 디자인 정책의 문제점으로 단시간의 결과를 바라는 시와 오히려 디자인 개발에 많은 시간과 투자를 해야 하는데 무리한 홍보예산에 대한 문제점 제시와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서울 상징 형성과 정책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서울 상징이 시장과 정권이 바뀔 때 마다 바뀌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 걸쳐서 개발되고 연구되어야 하는 부분이며 잘 만들어진 상징을 끝까지 유지하고 개발하려는 정부의 의지와 노력도 필요한 시점이다. Seoul symbol design policy in November 2007 In May 2008, six months symbolize the development of Seoul`s history, culture, tourism, etc., for 27 kinds of symbols chosen Insadong, Gyeongbokgung> Namsan N Seoul Tower> Hangang>> National Central Museum> Myeong-dong Dongdaemun / Namdaemun Market was Not just to grant only meant to symbolize the city itself,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development and the role of the 21th century, the city symbol is displayed. Dong,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and other aspects of world cities showed mainly Unlike many cities, such as naturally occurring type and urban image and country image, the symbol of Seoul was intentional development and urban image and country image as a symbol that does not match. Hatch chosen as a symbol of Seoul, was selected for these hatch and hatch issues selected for the policy issues presented. Symbol of Seoul still did not sit about the need for analysis of the results was carried out. Hatch No. 1 Gyeongbokgung Palace Gyeongbokgung Palace in the character and can not be static and you two euros intentionally symbol icon symbol selected issues are chosen. However, you could be part of Seoul and the relevance of these hatches for improper reasons, low unfamiliar. These hatch after selecting the want to point out is the excessive publicity budget and did not become part of the program. These problems of policy design as the result of a short-term desire and rather a lot of time and investment in the design, development, to be presented for unreasonable publicity budget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are proposed. Seoul symbolizes and suggestions for policy formation. Every change, but over the long term, research and development that should be part of the market and become a symbol of Seoul regime change is a well-made symbol to the end of the government to develop and maintain the will and effort is needed.

      • KCI등재
      • KCI등재

        그림책의 영화 매체 전환에 따른 비교 -원작 괴물들이 사는 나라 중심으로-

        피종삼 ( Jong Sam Pi ),김종덕 ( Jong Deok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5

        그림책과 영화라는 매체에 따른 전환을 통한 감정과 동작의 분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그림책이라는 출판물에서 영화라는 영상물의 매체 전환은 움직임이라는 서사구조의 특성은 시간성과 움직임이라는 이론을 토대로 매체의 전환에서 공간성과 시간성을 움직이라는 동작을 통해서 어떠한 감정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며 두 매체를 비교 했을 때의 감정과 동작의 변화를 알아야 한다. 그림책은 텍스트와 이미지만으로 이야기를 전달하고 있고 동작의 일부분을 한 장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림책을 영화로 옮기는 과정에서 움직임의 감정의 변화를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하였는지를 비교분석 하였다. 괴물들이 사는 나라는 그림책이 영화로 제작된 경우 영상의 이미지는 그림책에서 보여줬던 이미지와 영화의 움직임을 통한 감정의 분포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그림책과 영화에서의 움직임을 통한 감정 분포도는 행복→슬픔→놀람→두려움→놀람→화남→행복→슬픔→두려움→행복으로 분포도와 움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림책에서 움직임과 영화에서의 움직임은 분명 다르다. 모든 것을 함축하고 있고 텍스트와 하나의 이미지를 이용해 상황과 움직임을 도출하는 그림책의 방식과 하나하나의 모든 상황과 움직임 그리고 음성과 사운드로 합쳐져 움직임과 상황을 보여주는 방식의 영화의 방식의 비교는 하나의 매체로 끝나는 방식의 제작이 아닌 다양한 매체의 전환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Emotions and behavior through the distribution of the transition according to the picture book and the medium of film was to evaluate. Picture book publications from the movie in the video media conversion temporality performance space to move the action through the medium of transition from the movement of the narrative structure based on the theory of temporality and motion characteristics represent any change of emotion, and compare the two mediaknow when emotions and behavior changes. Only text and images, a picture book, telling stories, and represents part of the action scenes. Expressed how the changes of the emotions of the movement in any way, the process of moving from picture books to film, were compared and analyzed. Country inhabited by monsters picture books has been made of this film, the video image of the distribution of emotions through the movement of the film was shown in a picture book images and examined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Feelings through picture books and movies from the movement of the distribution of happiness → grief → surprise → fear → surprise → anger → Happiness → grief → fear → happy to know the distribution and movement. Movement and movement in the film clearly different from the picture book. One way of showing the movement and the situation and implies that all of the text and one image combined by way of the situation and to derive the motion picture book and every situation and every one of the motion, voice and sound to the film`s way of comparison, theimportant implications because it can be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the conversion of a variety of media, rather than a way of making ends media are presented.

      • KCI등재

        옛이야기 그림책에 나타난 호랑이 상징과 개성화 연구

        송홍익 ( Hong Ik Song ),피종삼 ( Jong Sam P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2

        융의 원형(Archetype)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나오는 인간의 가장 보편적이며 가장 원초적인 행동유형이다. 인간이면 누구에게나 있는 가장 보편적인 형태를 일어나게 하는 선험적인 틀인 것이다. 본 연구는 원형을 그림책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안에 내포된 의도와 상징적 의미를 이해하려 하였다. 옛이야기 그림책에서의 호랑이 그림은 심리적 딜리마를 잘 소화해 낸 양질의 그림책을 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호기심 가득한 내용과 간접 체험을 한다는 장점을 비롯해 심성을 긍정적인 것으로 이끌어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본다. 개인이나 집단 무의식 모두 사회에서 현재 일어나는 일들과 복잡하게 관련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옛이야기를 통해 인간 무의식의 탐구가 주된 목적이다. 작품의 파괴된 형상을 통해 인간 내면의 발산하고 싶어 하는 파괴본능의 대리만족 제공, 부정적 동일화는 우리 무의식의 자기방어 기제 중 하나로 호랑이는 힘없는 약한 동물을 통째로 먹어 치우려는 동물로 상징되어 지고 공격하고 파괴하여 만족을 얻는 과정을 통해 개성화과정은 자신의 불완전함을 인정하고 그 순간 역설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옛이야기의 이야기에서 또한 보은이나 수호자적인 호랑이의 상징보다 양반의 입장에서가 아닌 서민의 입장을 대변하고 그것을 통해 자신의 성장과 개성화 과정을 통해 결국 개인을 건강하게 만드는 길은 그 동안 사회의 요구에 순응함으로써 자아에 의해 완전히 소외된 그 자신의 건강한 개성, 자기를 찾아주는 일, 즉 자기실현 뿐 이다. 그런 면에서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서의 호랑이의 상징은 개성화로서 하나의 치유 과정인 것을 인식하고 더욱더 발전된 그림책에서의 호랑이의 상징을 기대하고자 한다. Archetype of a dragon is the most universal and the most basic behavior type of a human, which is innate. It is also a transcendental frame to generate the most universal pattern that everybody has. This study is purposed to understand the inclusive intent and symbolic meaning of an archtype by analyzing it by application of a picture book. It is thought that a tiger picture in a picture book containing적 the old story can be helpful to draw a nature in the positive manner, including advantage of fully curious contents and indirect experiences by providing a good quality of picture book that efficiently expresses psychological dilemma.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a research of human unconsciousness through an old story since both private and group unconsciousness can be intricately related with things currently occurred in a society. Provision of vicarious satisfaction of innate and destructive instinct desiring to give off through the destroyed shape of the work, and negative identification is one of self-defense mechanisms of our unconsciousness. A tiger is symbolized as an animal to eat feeble and weak animals bodily, and it can be found that the individuation process paradoxically expresses the recognition of a human incompleteness through process obtaining satisfaction by attack and destruction. Ultimately, the way to make the individual healthy is only self-realization by finding a healthy personality of a human entirely alienated by the self and restoring the lost self due to full adaptation to social requests so far. The old story more represents the position of ordinary persons, not position of Yangban than symbol of a tiger as subject of gratitude or guardian. In this aspect, the writer desires to recognize that symbol of the tiger in the picture book`s illustration is a remedy process as individuation and expect symbol of the tiger in a further-developed picture 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