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 청년들이 지각한 진로 장벽과 괜찮은 일자리 의 관계에서 일 자유의지와 진로 적응성의 매개효과: 국내출생과 중도입국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다집단 분석

        민선,연규진,폴김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2 人間理解 Vol.43 No.1

        This study examined work vol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decent work among youth with migrant backgrounds. Three hundred multicultural youths with mixed parentage, including both native-born and foreign-born youth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ur findings indicated that the hypothesized mediation model adequately explains the current data; in terms of the path coefficients, all paths were significant except for the paths, career barriers → decent work (predictor to outcome) and career barriers → career adaptability (predictor to mediator). Multi-group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it of the models of the two groups (native-born vs. foreign-born); in terms of the path coefficients, only the direct path from career adaptability to decent work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본 연구에서는 일의 심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다문화 청년들이 지각한 진로 장벽, 괜찮은 일자리의 관계를 일 자유의지와 진로 적응성이 매개하는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변인들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다문화 청년 3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모형의 적합도는 다문화 청년들의 자료를 적합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계수에서는 진로 장벽에서 진로 적응성, 괜찮은 일자리로가는 경로를 제외하고 모든 직접경로가 유의하였다. 다집단분석 결과 두 집단의 모형적합도는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계수를 보면 진로 적응성에서 괜찮은 일자리로 가는 직접경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년들의 일자리 개선을 위한 개입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

        Social Support and COVID-19 Stress Among Immigrants in South

        Souhyun Jang,폴김,Min-Sun Kim,Hoyoun Koh,백경민 충남대학교 아시아여론연구소 2023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Vol.11 No.2

        Individuals have been under more stress since the COVID-19 pandemic began than they were before the pandemic. While social support is a known stress buffer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its impact on stress among vulnerable populations, such as immigrants and those living in rural areas,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Accordingl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types of social support and COVID-19 stress among young adult immigrants based on where they live (rural vs. urban). We conducted a survey of 300 young adult immigrants aged 25–34 years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dependent variable was COVID-19 stres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four types of social support: emotional, appraisal, instrumental, and informational. We discovered that young adult immigrants in rural areas perceived higher-level social support in all aspects compared with those in urban areas. Furthermore, social support was not related to COVID-19 stress in urban areas, while appraisal support was positively and informational support was negatively related to COVID-19 stress in rural areas. Our findings suggest that a contextualized understanding of social support is critical to understanding COVID-related str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KCI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IIB and the ADB: A Challenge or an Integration?

        영준,고든 게이틀린,폴김 현대중국학회 2018 現代中國硏究 Vol.19 No.4

        The creation of the Asian Infrastructure Development Bank (AIIB) has been described as symbolizing Chinese dissatisfaction with not only existing international economic organizations, but also the current international order. In line with the China threat theory, this prevailing argument that the AIIB represents a challenge to the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has not been thoroughly analyzed considering the information available. This study challenges the prevailing view. We us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o analyze the stated purpose, governing structure, and the first group of approved projects along with membership configuration of the AIIB with the Asian Development Bank and find that the AIIB overwhelmingly conforms to the principles, norms, rules and decision-making procedures of its most similar organization. The AIIB may indeed represent a challenge to the influence of pre-existing organizations and traditional economic leadership, but it is in fact an extension of the existing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and signals China’s desire to further integrate.

      • KCI등재

        다문화 청년들의 삶의 만족도와 직무만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민선,박희진,재훈,백경민,송영호,연규진,폴김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2 다문화와 평화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청년들을 대상으로 청년들이 삶의 만족과 직무만족에 따라 몇 개의 잠재계층으로 구분되는지를 살펴보고, 각 잠재계층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출생국가, 성별, 지역, 나이, 학력, 개인소득, 가계소득, 사회경제적 지위), 관계 및 문화적 특성(부모와의 관계, 가족건강성, 다문화수용성)에 의해 유의하게 분류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총 251명의 다문화 청년들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총 4개의 잠재계층(집단 1 중간 삶의 만족-낮은 일자리 만족, 집단 2 낮은 삶의 만족과 일자리 만족, 집단 3 낮은 삶의 만족-높은 일자리 만족, 집단 4 높은 삶의 만족과 일자리 만족)으로 분류되었다. 집단 간에 정서적 어려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한 결과, 집단 4(높은 삶의 만족과 일자리 만족)에서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고, 정서적 어려움이 낮았으며, 다음으로 집단 1(중간 삶의 만족-낮은 일자리 만족)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집단 2(낮은 삶의 만족)와 집단 3(낮은 삶의 만족-높은 일자리 만족 집단)의 경우 정서적 어려움이 가장 높았다.

      • KCI등재

        사회적 주변화가 이주배경 청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 및 외국인 부모 문화에 대한 수용 태도에 의해 조절된 진로 목표 불일치의 매개효과

        장현진,류예진,왕희찬,연규진,민선,폴김 한국상담학회 2023 상담학연구 Vol.24 No.3

        This study investigated career goal discrepancy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arginal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and foreign-born parental culture as moderators of the mediation model. Data collection took place through the Gallup Korea Research Institute. Migrant background youths (N = 329) aged 25 to 34 responded to a survey that included measures assessing our study variable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4.1. Results indicated that career goal discrepancy was a ful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arginal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Also,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and foreign-born parental culture were confirmed. These results mean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ocial marginalization, the more career goal discrepancies are experienced by young people from migrant backgrounds, which lowers life satisfaction. Also, it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acceptance of Korean and foreign parental culture, the more the mediation effect is weakened. Finally,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ith immigrant youths in South Korea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이주배경 청년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주변화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진로 목표 불일치가 매개하는지 탐색하고, 한국과 외국인 부모 문화에 대한 수용 태도가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는 한국갤럽연구소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전국의 만 25∼34세의 이주배경 청년 329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PROCESS Macro 4.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 목표 불일치가 사회적 주변화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적 주변화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진로 목표 불일치가 매개하는 과정에서 한국 문화와 외국인 부모 문화 수용 태도 각각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주배경 청년들이 사회적 주변화를 높게 지각할수록 진로 목표 불일치를 더 많이 경험하게 되고, 이는 삶의 만족을 낮추게 되는데, 이때 한국 및 외국인 부모 문화에 대한 수용 수준이 높을수록 매개효과가 완화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이주배경 청년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