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바일오피스 스트레스가 일-가족 갈등과 일-여가 갈등에 미치는 영향

        방준석(Jun Seok Bang),탁진국(Jinkook Tak) 대한스트레스학회 2016 스트레스硏究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오피스 스트레스가 일-가족 갈등 및 일-여가 갈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오피스 스트레스와 일-가족 갈등, 그리고 일-여가 갈등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모바일오피스 스트레스가 일-가족 갈등 및 일-여가 갈등에 미치는 영향에서 관계지향적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모바일오피스 스트레스 척도를 찾을 수 없었기 때문에 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예비조사로 개방형 설문을 통해 모바일오피스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기업에 종사하는 종업원들 중 모바일오피스를 사용하는 현직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49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효과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모바일오피스 스트레스는 일-가족 갈등 및 일-여가 갈등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지향적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관계지향적 조직문화는 모바일오피스 스트레스와 일-여가 갈등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이를 통한 미래 연구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obile office stress scale and examine the negative effects of mobile office stress on work-family conflicts and work-leisure conflicts. In addition, moderating effects of relation oriented organizatonal culture on relationships between mobile office stress and work-family conflict and work-leisure conflict were examined. Data were obtained from employees using mobile office in workplace, and total 249 answers were used for analysis. For the mobile office stress scale, a total of 13 items, consisting of 4 factors were developed. The results of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mobile office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work-family conflicts and work-leisure conflicts. Also the results of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relation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did not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office stress and work-family conflict. Howeve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office stress and work-leisure conflict, relation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조직 구성원의 완벽주의 성향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코칭리더십의 조절효과

        정그린 ( Green Jung ),탁진국 ( Jinkook Tak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오늘날 조직 구성원들이 직면하고 있는 업무 과부하 문제 속에서, 일과 삶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직 구성원의 완벽주의 성향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과 이 인과관계에서의 코칭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전국에 소재한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수집된 최종 268부의 설문 응답자료를 토대로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내용: 완벽주의 성향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과 코칭리더십의 조절효과를 검증했다. 결론 및 제언: 조직 구성원의 자기지향 완벽주의, 상사의 코칭리더십은 일과 삶의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다양한 후속연구들을 통해 각개 변수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기반의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restore work-life balance amid the work overload problem facing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oday.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perfectionist tendencies of organizational members on work-life bal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in this causal relationship.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office workers across the country,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llected final 268 survey respons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of the organization's members and the superior’s coaching leadership positively affected the work-life balance. However,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research foundation for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 through various follow-up studies.

      • KCI등재

        소기업과 소상공인 고용주 관점에서의 직원 팔로워십 척도개발 및 타당화

        김혜균(Hyegyun Kim),탁진국(Jinkook Tak)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20 연세경영연구 Vol.57 No.1

        본 연구는 소기업과 소상공인 고용주의 경영성과에 직접적이고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직원채용, 직원관리 및 직원유지에 필요한 실용적 도구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10인 이하 소상공인과 50인 이하 소기업 고용주 15인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법과 FGI를 수행하여 고용주의 경영에 중요한 영항을 미치는 직원의 핵심 소양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서 조직, 목표, 참여, 수행자, 수혜, 책임, 주체성, 공동성, 공유, 보상이라는 10개의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고용주들은 이 소양들이 각각 태도, 신념, 가치, 행동이라는 4개의 차원으로 직원의 직무소양으로 반영되기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개념의 팔로워십을 정의하였다. 직원의 팔로워십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용주와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예비조사용 설문문항을 개발하였고 20대와 30대 남 · 녀 각각 150명씩 총 30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취업 준비 중이거나 이직 준비 중인 경우를 모두 포함한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본 조사는 준거변인과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50인 이하 소기업에 재직 중인 남 · 녀 직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확인적요인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는 긍정적 유연성, 자기절제성, 조직본분성, 성실원칙준수성, 일에 대한 주체성 등 이상 5개 요인과 총 25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팔로워십 척도 모형을 개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practical tools for staff recruitment, employee management and staff retention, which have a direct and lethal impa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enterprise employers. For this purpose, Delphi survey and FGI were conducted for 50 employers of small enterprise. The ten key words of organization, goal, participation, performer, beneficiary, responsibility, subjectivity, commonality, sharing, and reward are derived as basic units constituting the core character of employees who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management of employers. Employers wanted to be reflected in their job skills in four dimensions: attitudes, beliefs, values, and behaviors. In this study, we defined a new concept of follower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In order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employees" follow-up,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through an employer and an expert meeting. A preliminary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150 people in their 20s and 30s for a total of 300 people.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or adults who are preparing for employment or preparing to leave the job.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is study with the criterion variables, the main study was conducted for 300 male and female workers in small enterprise with less than 50 employees. Finally,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followership scale model consisting of 25 items including five items such as compliance with sincerity, self-control, work identity, organizational identity, and positive flexibility was developed. The implication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necessity of followership study were discussed with the employer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 KCI등재

        윤리적 리더십이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사동일시와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승석(Seung-Suk Goh),탁진국(Jinkook Tak)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9

        본 연구는 사회학습이론과 사회교환이론을 토대로 윤리적 리더십, 상사동일시, 정서적 몰입 및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직장인 33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였고 SPSS25와 SPSS Process Macro(v3.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윤리적 리더십은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에 직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윤리적 리더십은 상사동일시를 매개하여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에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윤리적 리더십은 정서적 몰입을 완전매개하여 비윤리적 친상사 행동에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윤리적 리더십은 상사동일시를 매개하여 정서적 몰입에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사회학습이론과 사회교환이론의 관점에서 확인하였으며 윤리적 리더십의 활용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ethical leadership, supervisor identification(SI), affective commitment(AC), and unethical pro-supervisor behavior(UPSB) based on social learning theory and social exchange theory. The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of 339 workers and analyzed using SPSS25 and SPSS Process Macro (v3.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thical leadership directly negatively influences UPSB. Ethical leadership indirectly positively influences UPSB mediated by SI. Second, ethical leadership, completely mediated by AC, indirectly positively influences UPSB. Third, ethical leadership has an indirect positive effect on AC mediated by SI. This study showed how ethical leadership works in organizations through social learning theory and social exchange theory. Also, it suggested implications on how to use ethical leadership in field.

      • KCI등재

        리더의 코칭리더십이 조직원의 업무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도전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정아 ( Junga Lee ),탁진국 ( Jinkook Tak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코칭리더십이 조직원의 업무민첩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직무도전성을 매개변수로 하는 메커니즘을 분석하여 코칭리더십의 유효성을 밝히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중견기업에 1년 이상 근무 중인 사무직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Process Macro 4.2와 Mplus 8.0 프로그램을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내용은 코칭리더십과 업무민첩성의 관계에서 직무도전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연구결과 코칭리더십이 업무민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도전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리더십 차원에서 조직원의 업무민첩성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으로 코칭리더십의 직접적인 유효성을 검증하였고, 리더의 코칭리더십이 조직원의 직무도전성을 강화함으로써 업무민첩성을 향상하게 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이로써 코칭리더십과 업무민첩성에 관한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고 리더십과 직무도전의 관점에서의 실무적 적용방안을 제시한 점에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oaching leadership, job challenge and work agility.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hallen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work agility. Data were collected among 350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various companies via onlin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coaching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challenge and work agility, and job challeng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work ag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코칭 리더십이 인사평가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상사신뢰와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승중(Seung Jugn, Kim),탁진국(Jinkook Tak)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의 성과관리 성공모형을 제시하는데 있다. 성과관리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준거변인으로 피평가자인 직원이 인식하는 인사평가효과성을 설정하였다. 인사평가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으로 상사의 코칭 리더십을 설정하였다. 인사평가 결과는 구성원의 이해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 평가제도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과 태도가 평가제도의 성공적인 운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상사의 코칭 리더십이 어떤 심리적 매커니즘을 거쳐서 인사평가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직원이 인식하는 상사신뢰와 조직신뢰를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의 대기업과 중견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현직자 중에서 현재 직장에서 3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75개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코칭리더십이 인사평가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칭 리더십은 상사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사신뢰는 조직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신뢰는 인사평가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신뢰와 조직신뢰는 코칭 리더십과 인사평가효과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organization"s performance management success model. As a criterion variable that measures the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management,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effectiveness recognized by the employee who is the subject of the evaluation was set.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supervisor was set as a leading variable that affects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effectiveness. As the results of performance apprasia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mployees, it is expected that the employee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 performance apprasial will affect the successful operation. By setting the boss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recognized by employees as mediators, we analyzed how the manager"s coaching eadership affects the performance apprasial effectiveness through which psychological mechanism. For this study, 275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those who have been working for more than 3 years at the current workplace among incumbent workers in large and medium-sized companies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coaching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effectiveness. Coaching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boss trust, and the boss trus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 trust. Organization trus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effectiveness. It was found that the boss trust and the organization trust sequentially mediated the effectiveness of coaching leadership an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effectiven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 지연습관 개선 성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정아 ( Jung A Lee ),권혜란 ( Hyeran Kweon ),이애경 ( Aekyoung Lee ),탁진국 ( Jinkook Tak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지역과 세계 Vol.44 No.3

        본 연구는 미루는 행동습관 변화에 성공경험이 있는 남, 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연습관 개선의 성공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지연습관 개선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현상학적으로 들여다봄으로써 성공의 본질과 의미를 찾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20~25세 남, 녀 대학생 10명으로 지연습관개선에 성공하고 6개월 이상 변화된 습관을 유지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우선, 대상자 10명의 지연습관 변화과정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현상학적 접근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87개의 의미단위와 30개의 하위범주, 13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상위범주는 ‘변화동기’, ‘변화의지’, ‘변화실행’, ‘변화유지’의 4개의 변화단계를 거쳐 진행되었으며, 최종적으로 변화단계에 따라 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3개 주제는 ‘변화의 필요성 인식과 수용’, ‘자기성찰을 통한 자기 맞춤형 전략 수립 및 실행’, ‘자신감과 즐거움이 보상 동기로 선순환되며 유지’로 나타났다. 3개 주제를 중심으로 구분된 13개의 상위범주는 ‘부정적 결과 및 감정 경험과 미래 불안감’, ‘자신감 있고 당당하고 싶은 욕구’, ‘의미있는 주변인의 영향’, ‘시간관리의 필요성 인식 및 방법 습득’, ‘긍정적 미래 기대’, ‘최대한 쉽고 단순하게 실행 시작’,‘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시간관리 시작’, ‘능동적·계획적 성향의 영향’, ‘자기성찰을 통한 동기와 효과적 방법 발견 및 활용’, ‘시간관리 성공경험으로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어 선순환 동기부여’, ‘효과적인 방법 지속 활용’, ‘시간 관리 자신감과 즐거움’, ‘자연스러운 일상’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success of improving procrastination habits for 10 university students(male and female) who have had success experiences in changing procrastination habi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 university students(male and female) aged 20 to 25, and those who were maintained for more than 6 months after changing procrastination habits were selected. First, in-depth interviews on the process of procrastination habit change were conducted to 10 participants,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87 meaning units, 30 subcategories and 13 top categories were drawn, and finally, three topics were generated. The top categories went through four stages of change motivation, willingness to change, practice of change, and maintenance of change. Three themes were obtained and these were "awareness and acceptance of the need for change", “establishing and practicing self-customized strategies through self-reflection”, “maintenance of self-confidence and pleasure through a virtuous cycle as reward motivation”. The top 13 categories were ‘negative results and emotional experiences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the desire to be confident’, ‘the influence of meaningful people close by’, 'awareness of the need for time management and how to learn the method', ‘positive future expectations', 'start of easy and simple implementation', ‘start of time management using various tools’, ‘impact of active and planned tendencies’, ‘motivation through self-reflection and discovery and use of effective methods’, ‘improvement of self-efficacy as a result of success of time management and motivation for virtuous cycle’, 'continuous use of effective methods', ‘confidence of time management and pleasure’, 'natural daily life'.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연습관 개선을 위한 온라인 코칭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이애경 ( Aekyoung Lee ),김은정 ( Eun Jeong Kim ),오경화 ( Kyeonghwa Oh ),김선민 ( Seonmin Kim ),박상모 ( Sangmo Park ),탁진국 ( Jinkook Tak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지역과 세계 Vol.45 No.4

        본 연구는 지연습관 개선을 위한 온라인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지연습관 개선을 희망하는 수도권 거주 성인으로, 사전 인터뷰를 통해 최종 20명을 선정하여 무작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 10명씩 배정하였고 최종 분석은 실헙집단 10명, 통제집단 6명을 대상으로 지연행동, 일반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 삶의 만족을 프로그램 사전, 사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은 온라인 개인 코칭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사후 측정 시까지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사전, 사후의 시점과 집단 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검사 시점과 집단 간 주 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원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통제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 집단에서는 지연행동, 일반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 삶의 만족에 대한 사전, 사후검사 간 차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연행동 감소를 통해 온라인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이는 코칭 프로그램이 습관으로 굳어진 행동 개선과 변화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온라인 코칭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inte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online coaching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procrastination habit behavi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dult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who wish to improve their procrastination habits. The final 20 people were selected through a pre-interview and randomly assigned 10 people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As dependent variables, procrastination behavior, general self-efficacy, self-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 two-way mixed variance analysis (Mixed 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ime periods(pre vs post) and groups(experimental vs control).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bu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s for procrastination behavior, general self-efficacy, self-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firming the effects of the online coaching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한국 종업원들의 작업윤리에 관한 연구

        탁진국 광운대학교 기업경영연구소 1994 기업경영연구 Vol.3 No.-

        개인의 작업에 대하여 갖고 있는 윤리나 믿음은 작업에 대한 태도 및 행동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작업 윤리는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으나 이 논문에서는 일 자체를 중요하게 생각해서 열심히 일하는 것 자체에 큰 가치를 부여하는 개인의 믿음 체계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의미의 작업 윤리 의식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지금까지 많이 개발되었는데 (Blood, 1969 : Buchholz, 1977; Mirels & Garrets, 1971; Wollack, Goodale, Wilting, & Smith, 1975),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척도중의 하나가 프로테스탄트 작업윤리(Protestant work ethic)이다. 이 작업윤리는 Weber(1905)가 서양에서의 현대 자본주의의 발달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x초로 개념화 하였으며, 이후 사회학, 심리학 및 다른 사회과핛 분야에서도 많이 연구되어 온 분야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