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불교문화유산의 영어 번역 오류

        최희섭 ( Hie Sup Choi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2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8 No.1

        문화재청의 통계에 따르면 314점의 국보 중에서 172점, 1710점의 보물 중에서 1053점이 불교문화재이다. 불교문화재가 이렇게 많은 이유는 불교가 우리나라에 오랫동안 자리하면서 우리 조상들의 삶에 정신적, 문화적 영향을 깊이 끼쳤기 때문이다. 우리 자신도 우리의 문화유산을 통하여 자긍심을 느낄 수 있고,전통을 계승,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지만, 외국인들도 불교 문화유산을 통하여 한국인의 정신적,문화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불교의 최대 종단을 형성하고 있는 대한불교조계종은 "승가본연의 수행과 정진을 다하고 밖으로는 중생교화에 노력함으로써 부처님이 말씀하신 직지인심,견성성불,전법도생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이 중에서 전법도생은 쉬운 말로 포교라고 할 수 있다.포교의 대상은 우리나라 사람뿐만 아니라 외국인들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불교문화유산을 통하여 외국인들이 불교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이 필요하다. 다시 말하여 불교문화유산의 외국어 번역이 중요하다. 그렇지만 조계종이나 직영사찰 및 교구본사의 홈페이지를 살펴본 결과 조계종에서 밝히고 있는 직영사찰6곳과 교구본사25곳 중에서 영어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는 곳이 14곳에 불과하다. 조계종의 영어 홈페이지와 직영사찰 두 곳의 영어홈페이지 모두 최상위 메뉴와 차상위 메뉴에서부터 오류가 있었으며 대부분의 교구본사 영어 홈페이지는 무늬만 영어 홈페이지이거나 아니면 템플스테이에 관한 내용뿐이었다. 불교문화재의 경우도 원천텍스트가 잘못된 경우가 많고, 목표텍스트에도 많은 오류가 있었다.국보가3점 있는 법주사의 불교문화재 안내판에서조차 오류를 찾을 수 있었으며 일부 사찰의 불교문화재 안내판은 한글과 영어의 내용이 전혀 달랐다.심한 경우에는 제목에도 오류가 있으며,십여 년 이상이전의 표기법에 따라 제작된 안내판을 그대로 사용하는 곳도 있었다. 주로 국보에 해당되는 불교문화유산을 살펴본 결과가 이러한 것으로 미루어보아 보물이나 사적 또는 지역의 문화재로 등록된 불교문화유산의 번역에는 더욱 많은 오류가 있으리라고 짐작된다. 비록 문화재청의 홈페이지에서 문화유산의 영어 번역을 제공하고 있으나 오류가 무척 많다. 문화유산의 한국어 설명이 한자어에 토대를 두고 있기 때문에 번역자가 원천텍스트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느꼈기 때문인지 모른다. 중요한 것은 오류 자체가 아니라 아무도 오류를 지적하고 바르게 번역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조계종은 한글 안내판을 알기 쉽게 제작하고 이를 영어로 번역할 충분한 인력을 확보하고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종단의 목표 중의 하나가 불교를 포교하는 것이므로 불교문화유산을 평범한 한국어로 설명하고, 고상한 영어로 번역해야 할 것이다. 조계종이 종지에서 밝히고 있듯이 전법도생 즉 포교의 대상을 우리나라 사람에게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면 불교문화유산의 바른 번역을 통하여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의 불교에 대해 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힘을 쏟아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172 units among total 314 national treasures and 1053 units among total 1710 treasures of Korea are Buddhist cultural inheritances. This means Buddhism has long been in the lives of our ancestors. The foreigners, therefore, can understand our cultural and spiritual background through the Buddhist cultural inheritances. As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the largest Buddhist order in Korea, proclaims to propagate Buddhism to the world, they should have translated the inheritances into foreign languages as a means of propagation of Korean Buddhism. But the homepages of the Jogye Order and almost all of the temples, including the temples under direct management of the Jogye Order and district main temples, seem to make no effort to introduce the Buddhist cultural inheritances to Korean as well as foreigners. The English homepages which the Jogye order itself and major temples shows lots of errors in the highest menus and the highest but one menus. Almost all English signboards of the national treasures in the district main temples have many errors and don`t afford correct information of the Buddhist cultural inheritances. Though the homepage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give some English translation of the inheritances, it contains many errors. As the Korean explanation of the inheritances is based on the Chinese characters, the translator might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source text. There may be lots of excuses the translator might enumerate: the difficulty of the source texts themselves, short of time, little money, etc. What is important is not the errors themselves but the fact that there is no Buddhist who points out the errors and translates the inheritances correctly. I think the Jogye order has enough manpower to explain and translate the inheritances. As one of the aim of the order is to propagate Buddhism, they should explain the cultural inheritances in plain Korean and translate into noble English. Now is the time to make an effor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채털리 부인의 연인』에 나타난 코니의 생명력

        최희섭 ( Hie Sup Choi ) 한국로렌스학회 2010 D.H. 로렌스 연구 Vol.18 No.2

        The heroine of D. H. Lawrence`s Lady Chatterley`s Lover, Constance Chatterley (we call her Connie in this paper) has lived in a sordid and gloomy circumstance symbolized as Ragby. Ragby is a kind of dead world symbolized by her crippled husband Clifford. Clifford is a man who lives a life in death. Connie tries to escape from the dead world by seeking her own nature. As spring comes, the nature begins to regain the life force according to its own nature. The coming of life of nature can be explained as the return of Persephone from the Hades. Connie sees the return of Persephone in the woods and the hatching of the pheasants and gets pregnant a baby herself. Her getting pregnant is her regaining of her own nature. After getting pregnant, she celebrates the return of Persephone from the Hades by dancing in the rain. And the dancing in the rain is a symbol of baptism, though Lawrence himself is not a Christian. Lawrence asserts that the harmony of the body and the soul is the focus of this novel. What the author pursues in the novel is the ideal life of a modern woman and his ideal is expressed through the life of Connie.

      • KCI등재

        『번역학연구』의 현황과 국내문헌 인용 고찰

        최희섭(Choi Hie Sup) 한국번역학회 2007 번역학연구 Vol.8 No.1

        The Korean Association of Translation Studies was established in 1999. The society began to publish its academic journal just after the establishment. The first volume of the journal, The Journal of Translation Studies, was published on June, 2000. The second volume was published on December, 2000. The fourteenth volume was published on the last day of last year. This means the journal was published biannually. The number of the theses published in each volume varies from 8 to 11. But average 8.98 theses were included in a volume. Before the year 2006, most volumes included 8 or 9 theses and the volumes of last year included 11 and 10 theses respectively. This means the Korean Association of Translation Studies keeps strong editing principle and began to increase the number included just a little last year. The total number of contributors to the journal is 67 and the number of theses published is 125. 43 scholars, that is 64% of contributors, contributed only once, and 14 scholars who contributed more than three times, contributed 62 theses. This means a not so large group of scholars are pioneering translation studies in Korea. The subject of the theses varies from general translation theories to the teaching method of translation. Many theses, namely 42 theses, focused on the translation theory, 15 theses studied literature translation, and 13 theses and 12 theses focused on the teaching method of translation and translation technique. The citation from the journal itself and other journals published in Korea is very encouraging. 20% of the contributors' theses in this journal were cited by the contibutor himself/ herself, and more than 50% of other scholars' theses in this journal were cited by other contributors. Though the journal was established only 7 years ago and only fourteenth volume was published, the citation rate is very high. We need not refer to other domestic books, for the citation from domestic books is more than expected. This means translation studies in Korea began to have autogenous powe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