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제국과 식민지 풍속 표상의 문제성 ‒한・일・만 ‘향토’ 재현 사진엽서의 경우‒

        최현식 만주학회 2024 만주연구 Vol.- No.37

        이 글은 일본 제국주의가 일본과 만주, 조선의 ‘향토’를 어떻게 이미지화하고 문자화했는가를 살펴본다. 일제는 신문명과 권력의 정점인 제국을중심으로 자국과 식민지의 ‘향토’를 ‘제국화’했다. 하지만 그럼으로써 세나라의 ‘향토’를 철저히 ‘지방화’하는 변두리화의 역설을 수행했다. 일본, 중국, 조선의 ‘향토’에 대한 사진엽서의 시선과 태도는 얼핏 보면 균질적인 듯하다. 그러나 실제로는 치밀하게 계산된 차별적 서열화와 종속적 체계화의 전략을 시종일관 고수하고 있다. 일본의 ‘향토’에 대해서는 전근대의 속성과 식민성의 이미지를 최대한지워가며 그곳을 ‘국민정신’의 도야와 통합의 장으로 다시 구성하고 위치짓는다. 만주의 ‘향토’에 대해서는 하이-모더니즘 전략에 기반하여 무지와 몽매의 원(原) 만주와 ‘일본정신’으로 충만한 ‘복지만리’의 최첨단 기지로 양분하고 있다. 이에 반해 조선의 ‘향토’는 전근대의 조선(인)과 생활상을 단독으로 취하거나 이들을 제국의 자본(기술)이 건설한 근대적 문물과함께 전시하는 방식으로 재현된다. 이와 같은 세 나라 ‘향토’에 대한 차별적인 이미지 생산은 권력의 입장에서 발휘되는 시선의 간교함과 폭력성을 가감 없이 드러낸다. 제국이 시선을 보낸다는 것은 향토나 식민지의 현실을 객관적으로 반영한다기보다식민권력의 필요와 요구에 맞게끔 정복한 그곳들을 다시 배열하고 형상화하고 분류하는 작업에 해당된다. 이때 만주와 조선에 발휘되는 식민 지배의 효과는 다음과 같이 드러난다. 일제의 폭력적인 통치 행위는 ‘쿨리’ 와 ‘요보’로 비하되던 식민지 ‘인간동물’들의 ‘고향’에 대한 따스한 체험과아름다운 기억을 오히려 ‘탈향의 불길함’으로 만드는 소외적 동조화 현상을 내면화시킨다. 이에 따라 빼앗기거나 잃어버린 민족과 자아의 ‘향토’는언제나 공백 지대로 남겨지고 또 반복됨으로써 다시는 회복될 수 없는‘삶–속의–죽음(death–in–life)’의 공간으로 추락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렇다고 일제 식민주의가 한만(韓滿)의 하위주체 및 그들의 향토에 함부로 새겨넣은 야만과 미개, 멸시와 천대, 동화와 배제의 차별과 폭력에만눈살을 찌푸리고 비판의 강도만을 높여서는 안 된다. 이 끔찍한 식민 담론이 부과하는 전형적인 식민지적 (무)의식이나 이미 결정된 정형성을 조금이라도 벗겨낼 수 있는 예리한 시선과 방법을 찾아내는 작업이 더욱 중요하다. 요컨대 ‘일본정신’으로부터 어떤 식으로든 미끄러지거나 분열되는 ‘죽음-속의-삶’(life-in-death)의 흔적이나 지표를 정성껏 찾아 나가는몸짓과 행동이 더욱 절실해진다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Japanese imperialist state constructed and manipulated the representation of local identities in Japan, Manchuria, and Korea through postcards, revealing mechanisms of cultural domination and marginalization. By idealizing the empire as the pinnacle of new civilization and power, the Japanese authorities sought to “imperialize” the local, recasting these regions to reflect its imperial agenda. In Japan, postcards sanitized historical and colonial traces, recasting locales as embodiments of the “national spirit” and unity. Conversely, Manchuria was depicted through a dual lens: one emphasizing backwardness and the other showcasing modernization imbued with the “Japanese spirit.” Korea’s representation isolated its pre-modern aspects or juxtaposed them against modern developments, highlighting the colonial imposition. This research unpacks how visual media was used to enforce a hierarchy and subordination that perpetuated the “death-in-life” experience among colonial populations by exploiting their cultural landscapes and memories. It highlights the need for critical engagement with colonial legacies and advocates for a nuanced understanding of how colonial powers reshaped conquered spaces to perpetuate dominance. The study calls for strategies to recover and reinterpret suppressed identities and histories.

      • KCI등재

        일제 말 시 잡지『國民詩歌』의 위상과 가치 (1) -잡지의 체제와 성격, 그리고 출판 이데올로그들-

        최현식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3 사이 Vol.14 No.-

        This paper reveals the nature and system of the magazine Kokuminsika and the ideas of the ideologues involved in its publication. Since Kokuminsika was published and enjoyed by Japanese writers residing in Joseon, it was alienated from both preservation and research on the magazine. However, Kokuminsika reflects changes in Japanese domination policies, and the beginning and process of change from the ‘assimilation of Korea to Japan’ to the ‘integration of Japan and Korea’. The persons involved in Kokuminsika had an interest in the folksongs of Joseon in the mid-1920s,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ethnicity and locality of their origin. Of course, they set forth the aesthetic and ideological superiority of Japanese folksongs and Manyoshu as a premise, but they admitted the originality and popularity of korean traditional poetry. However, they came to embrace a ‘new-system theory’ and the construction of a ‘Great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of Imperialist Japan, and the ‘theory of Japanese emperor’s subjects’ as the publication’s ideological underpinnings around 1940, that is, they were transformed into ideologues of the ‘integration of Japan and Korea’ who denied the independence and autonomy of Joseon and advocated unconditional integration into Japan. This paper examines in detail the birth and growth of Kokuminsika from three aspects. First, it identifies the system and nature of Kokuminsika through bibliography and text configuration, along with the excavation and introduction of relevant materials. Second, the records of the major Joseon figures that published the first issue of Kokuminsika were investigated through research on folksongs and the association process of ‘Tanka-hoe’, and their positions and roles were objectified by comparison of their genres and ideas with those of poets such as Sato Kiyoshi and Sugimoto Nagao who played an active role in Kookmin Munhak. Third, it tracks of the long-lasting ties between editors of Kokuminsika and Lee Kwang-Soo, and adds a brief introduction to four poems published in Kokuminsika. Lastly, unexpected results, including a modification and complement to Seo Jung-ju’s memory were obtained through while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okuminsika and Kookmin Shiin. 본고는『國民詩歌』의 성격과 체제, 그리고 출판과 관련된 이데올로그들의 이념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國民詩歌』는 재조선일본시인들이 중심이 되어 발간되고 향유된 까닭에, 잡지의 보존과 연구에서 모두 소외되었다. 그러나 『國民詩歌』는 일제의 지배정책 변화, 그러니까 ‘내선융화’에서 ‘내선일체’로 변화해가는 계기와 과정을 가감 없이 보여준다. 『國民詩歌』의 주요 관계자들은 1920년대 중반 조선민요에 관심을 가지면서, 그것의 민족성과 향토성에 주목했다. 물론 일본민요와 만요슈(萬葉集)의 미학적․사상적 우위를 전제한 것이지만, 그래도 조선문화의 독창성과 민중성을 인정했다. 그러나 그들은 1940년을 전후해 일제의 ‘신체제론’과 ‘대동아공영권’ 건설, 그것의 이념적 지주로서 ‘천황귀일론’을 적극 수용하기에 이른다. 조선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부인하고 일본으로의 무조건적 통합을 주창하는 ‘내선일체’의 이데올로그로 변신하게 되는 것이다. 본고는 『國民詩歌』의 탄생과 성장에 얽힌 사항들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자료의 발굴과 소개를 겸하여 『國民詩歌』의 체제와 성격 등을 서지 사항과 텍스트의 구성 등을 통해 규명하였다. 둘째, 『國民詩歌』를 창간한 주요인물의 조선에서의 행적, 이를테면 민요연구와 단카회(短歌會)의 결사 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장르와 사상에서 그 차이가 엄존했던 사토 키요시와 스기모토 나가오 등 『국민문학』에서 활약한 시인들과의 비교를 통해 이들의 위치와 역할을 객관화했다. 셋째, 『國民詩歌』 편집자와 이광수의 오랜 인연을 추적하는 한편 그가『國民詩歌』에 발표한 4편의 시를 확인하여 전문을 제시했다. 또한 현대시를 주로 다룬 『국민시인』과 『國民詩歌』의 관계를 살펴보는 과정에서 서정주의 협력문학에 대한 기억을 수정․보완할 구체적 물증을 확보하는 문학사적 성과도 거두었다.

      • KCI등재

        풍경 바라보이는 자의 내면 — 최하림의 후기시를 중심으로

        최현식 국제한인문학회 2020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28

        이 글은 최하림의 후기시를 대상으로 풍경과 내면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작성된다. 그는 시의 제일 명제를 부조리한 세계에 대한 부정의 정신과 그것 을 언어-내의 모험이 응결된 심미적 충동에 두었다. 특히 후기시는 ‘속이 보 이지 않는 심연’을 가로지르면서 인간존재의 삶과 죽음의 문제를 소멸하는 자 연의 형상과 거기서 피어나는 영원한 삶의 복합적 운동을 통해 사유하고 표 현해 냈다. 연구자는 이러한 후기시의 면모를 다음 세 단계의 시적 흐름과 거 기서 문득 솟아나는 정신의 파고를 중심으로 읽어냈다. 첫째, 그는 자기 시의 핵심적 국면들인 내면의 굶주림, 시와 삶의 유랑, 존 재와 자연의 심연을 현실 저편의 정신과 언어를 통해 날카롭게 벼려냈다. 둘 째, 자신의 생애 전반을 파고들던 개인적·사회적 죽음의 그림자나 충동을 ‘문 둥이’라는 최고 약자의 영혼과 육체의 소외 및 파국을 통해 객관화했다. 하지 만 그들의 삶과 영혼의 행렬을 새나 나무 같은 자연사물에 대한 비유, 다시 말해 처연한 몰락을 새로운 삶을 거머쥐는 동일성의 시학을 통해 내면화함으 로써 질병과 죽음의 위기를 극적으로 넘어섰다. 셋째, 시인은 죽음 충동에서 삶의 충동으로 갱신된 존재의 생명운동을 ‘‘나’의 풍경’에서 ‘풍경의 ‘나’’로 전환하는 입체적인 모험의 언어로 상상하고 그려냈다. 그 결과가 유고 후 『최하림 시 전집』에 실린 일련의 산문 시편들이다. 최하림 시인은 느릿하고 유장 하여 오히려 긴장감 넘치고 역동적인 산문시를 통해 죽음과 삶이 서로를 넘 나들며 하나 되는 최후의 서정을 우리에게 남겼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s and the internal world with the later poetry of Choi, Ha-rim. He placed the first proposition of poetry in the mind of denial to a world of absurdity and in the aesthetic impulse in which the adventures in the language are solidified. In particular, his later poetry is thought and expressed through the shapes of nature that dissipate the problems of life and death of human beings as they cross the ‘invisible abyss’ and complex exercises of everlasting life that flowers from them. The researcher read these aspects of his later poetry focusing on the following three stages of poetic flow and the mental crests that burst from them. First, he forged the internal starvation, the wandering of poetry and life, and the abyss of existence and nature, which are the key angles of his poetry, through the mind and language of the far side of reality. Second, he objectified the shadow or impulse of personal and social death that dug into his entire life through the alienation and destruction of the body and soul of the weakest man called ‘Moondoongee.’ However, by internalizing the procession of their lives and souls into comparisons for natural things such as birds and trees, or in other words, by internalizing the pitiful downfall of life through the poetics of oneness that grasps new life, the threat of disease and death has been dramatically overcome. Third, the poet imagined and drew the life movement of being renewed from the impulse of death to the impulse of life with the language of three-dimensional adventure that converts the “‘landscape’ of me to the ‘me’ of landscapes”. The result is a series of prose poems in the Choi, Ha-rim Complete Book of Poetry after his death. Poet Choi, Ha-rim left us with the final lyricism of death and life crossing over each other through slow and lengthy prose poems that are dynamic and actually full of suspense.

      • KCI등재

        K-SVD 기반 사전 훈련과 비음수 행렬 분해 기법을 이용한 중첩음향이벤트 검출

        최현식,금민석,고한석,Choi, Hyeonsik,Keum, Minseok,Ko, Hanseok 한국음향학회 2015 韓國音響學會誌 Vol.34 No.3

        비음수 행렬 분해(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NMF) 기법은 사전행렬과 크기성분을 번갈아 가며 업데이트 하면서 구하는 방법이며 직관적 해석 및 구현의 용이성으로 인해 중첩음향이벤트 분리 및 검출방법으로 널리 활용되었다. 하지만 비음수 행렬 분해의 고유한 특성인 부분기반표현(part-based representation)으로 인해 하나의 음향 이벤트를 구성 하는 사전(dictionary)의 파편화 현상이 발생하고, 다른 음향이벤트와 중복되는 사전이 생성되어 결과적으로 분리, 검출 성능의 저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전 획득 단계의 부분기반표현에 의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K-Singular Value Decomposition(K-SVD)을 사용하여 사전을 획득하고, 음향이벤트 검출 단계 에서는 기존 비음수 행렬 분해 기법을 이용하여 크기를 획득 한다. 제안하는 방식을 통해 비음수 행렬 분해 기반의 사전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중첩음향이벤트 검출 성능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NMF) is a method for updating dictionary and gain in alternating manner. Due to ease of implementation and intuitive interpretation, NMF is widely used to detect and separate overlapping sound events. However, NMF that utilizes non-negativity constraints generates parts-based representation and this distinct property leads to a dictionary containing fragmented acoustic events. As a result, the presence of shared basis results in performance degradation in both separation and detection tasks of overlapping sound ev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that utilizes K-Singular Value Decomposition (K-SVD) based dictionary to address and mitigate the part-based representation issue during the dictionary learning step. Subsequently, we calculate the gain using NMF in sound event detection step. We evaluate and confirm that overlapping sound event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that utilizes NMF based diction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