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복성을 갖는 쌍직교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킹

        최치원(Chiwon Choi),이해성(Hae-Sung Lee),변혜란(Hyeran Byun) 한국정보과학회 2001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28 No.3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보호와 위변조 탐지를 위해 사용되는 비가시적인 워터마킹 기법은 워터마킹된 영상의 화질저하를 최소로 하면서 화질이 현격히 저하되기 전에는 워터마크가 제거되지 않는 견고성을 갖도록 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워터마킹된 영상에서 원영상을 사용하지 않고 저작권자를 탐지할 수 있는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크게 내장단계와 탐지단계로 나뉜다. 내장단계에서는 워터마킹된 영상의 화질이 크게 저하되지 않도록 시각적 마스킹 효과를 고려한다. 워터마크 탐지과정은 원 영상을 사용하지 않고 저작권 분쟁이 발생한 영상과 저작권을 주장하는 사람이 제시한 해당 워터마크만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디지털 워터마킹 방법은 일반적인 영상의 변형에 상당히 견고한 특성을 가지며, 변형이 가해지지 않은 워터마킹된 영상을 저작자가 보관함으로써 다중 소유권 주장 문제에 대해서도 저작권 주장이 가능하다. The invisible watermarking scheme is adopted for the copyright protection and the tamper detection of the digital content. The design issue of the scheme is to minimize the quality degradation of watermarked image and has the robust property that the watermark is not removed until the quality of watermarked image is degraded severally. This paper proposes a digital watermarking scheme in which the original digital image is not used in the watermark detection processing for the decision of copyright owner.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embedding stage and detection stage. In the embedding stage, the visual masking effect is considered not to degrade the quality of watermarked image. The watermark detection procedure does not use the original image but only use the arguable image and the watermark that the copyright owner submits. The proposed digital watermark scheme has the robust property to the general image degradation, and solve the multi-ownership problem if the author keeps the original watermarked image.

      • KCI등재후보

        막스 베버의 문화개념과 합리주의개념 해석

        최치원(Choi Chiwon) 한국정치사상학회 2003 정치사상연구 Vol.8 No.-

        본 논의의 대상은 사회과학자 막스 베버(Max Weber; 1864-1920)의 문화에 대한 기본생각, 특히 그것의 구체적 표현형태인 합리주의개념이다. 베버는 독일 역사에 있어 가장 논란이 많은 인물들 중의 한 사람들인 비스마르크(Otto von Bismarck;1815-1898)와 카이저 빌헬름(Wilhelm;1859-1941) 2세 시대의 전형적인 독일지식인이다. 그가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과학자들 중의 한 명이라는 것은 의심할 나위 없지만, 독일의 지적ㆍ학문적 전통에서 보면 그는 한 명의 철학자일 뿐이다. 철학자로서 베버의 모습은 그의 학문적 입장을 일괄적으로 규정하기 힘들게 할 뿐만 아니라, 또 다양한 해석의 소지도 제공한다. 전통 주류 독일 학문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 인물들과 이론들이 베버의 사상의 모태가 되기 때문이다. 다양한 베버의 면모를 단순화시켜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한 것은 전적으로 탈코트 파슨스(Talcott Parsons;1902-1979)의 공헌이다. 그는 베버의 사상의 형성과정에 나타난 모든 중요한 독일의 학문ㆍ이론사적 맥락들을 제거하고 그것의 일연만을,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그 핵심을 가장 순수한 형태로 보여준다. 본 논의는 막스 베버에게서 그동안 간과되거나 다루어지지 않은 중요한 측면들을 발견하여 재구성하고자 하는, 차후에 계속될 여러 시도들 중의 하나이며, 이를 통해 한국 사회과학 발전에 하나의 보탬이 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ro interpret Max Weber's(1864-1920) 'Grundvorstellung' of culture, especially, his concept of rationalism as a concrete expression of this 'Grundvorstellung'. He is said to be one of the most brilliant social scientists; nevertheless, he a typical intellectual who undergoes the era of Otto von Bismarck(1815-1898) and the Kaiser Wilhelm Ⅱ(1859-1941). From the perspective of German intellectual and scientific tradition, he is only a philosopher. That seems to be the reason why Max Weber, the philosopher, as a kind of phantasmagoria appears and controversial is. But the ambiguous, indefinable but important aspects in his philosophical thought give us a chance to interpret them diversely. They are originally concerned with German traditional main Stream sciences, were omitted in Talcott Parsons'(1902-1979) reception of Weber. Considering all of these questions, this paper will try to reconstruct and show the important aspects in Weber's thought that were neglected or not treated.

      • KCI등재

        종교문화적으로 이해된 막스 베버의 유교윤리에 대한 정치이론적 해석

        최치원(ChiWon Choi) 한국정치사상학회 2012 정치사상연구 Vol.18 No.1

        동(북)아시아에 관한 베버의 입장은 유교, 도교 및 불교와 같은 (종교)문화의 이해 속에서 드러나 있다. 본 연구는 그의 동(북)아시아관, 특히 유교 이해에 나타난 공공성의 문제를 탐구한다. 베버는 서구의 합리주의적 근대와 관료제의 맥락에서 국가, 교회, 군대, 정당, 이익집단, 결사 그리고 자본주의 경제로 표현되는 각종의 제도들을 설명하면서 이러한 제도들이 인간의 ‘의미있는’ 행위에 기초해서 성립된다고 이해하고 있다. 그런데 베버에 따르면 인간 행위의 원천은 윤리이고 이념이다. 따라서 공공성의 최종적 의미는 그가 윤리와 인간 행위의 동기로서 이념, 즉 유교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밝히는 데서 찾아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특히 종교사회학적으로 혹은 종교문화적으로 덧칠되어진 그의 사유를 현실적 맥락에서 정치이론적으로 재구성하여 공공성의 의미를 해석해 간다. In Max Weber’s understanding of the Confucianism in specific and his thought in general, there are no clear concepts regarding publicity: One can only derive such concepts from the way how he approaches the question of rationalism, bureaucracy, institution, action and finally ethics. Ethics is for him the ground on which he understands and explains all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phenomena including actions and institutional praxis. Confucianism is regarded as the ethics of (North)east Asia. Thus, this paper explores the publicity question in Northeast Asia by critically reconstructing Max Weber’s understanding of the Confucianism.

      • KCI등재

        동북아시아 공동체의 의미탐구

        최치원(Choi Chiwo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7 亞細亞硏究 Vol.50 No.3

        Today, according to post-modem conditions there are tries to understand East Asia as a community and to see into its future. But they are attended with difficulties and limits. This situation i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East Asia presented by us is actually a expression of historical tracks, concerns, standpoints and inter est relations which are developed within this track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trace the whole situation of their expression & to answer the question which meaning today they have in considering the East Asia as a community. To put it concretely, this paper will inquire into the questions; how each nation in the East Asia interpreted itself and the East Asia, while developing a idea of spiritual and moral superiorities in the new transitional period; how it, through wars and through becoming aware of being the yellow race, realized itself and the other; especially how it, while becoming not only victim but also perpetrator, developed a horizon of an East Asia in the era of violence and aggression. By doing so, this paper will reconstruct the present meaning of a East Asia and raise the following questions: Is there really something intrinsic in the East Asia to consider the East Asia as a community in comparison to Europe(European Union)? Don't we need to free ourselves from the history if it is too burdensome or bring disadvantage (Nachteil) in visualizing the East Asia as a community?

      • KCI등재

        ‘미완의 근대기획’으로서 동북아시아

        최치원(ChiWon Choi) 한국정치사상학회 2013 정치사상연구 Vol.19 No.1

        유럽의 근대기획은 계몽에 의해 세계의 탈신비화를 목적으로 만들어 지고 전개되었다. 그러나 유럽의 근대 기획은 유럽자신에서만 실현되어 있던 것은 아니다. 한?중?일 삼국이 19세기 중반이래로 서구로부터 계몽으로 이해되는 학문과 사상 및 기술, 한마디로 근대 문명을 수용하는 순간부터 동북아시아의 근대기획은 출발되었다. 유럽의 정치ㆍ사회ㆍ경제ㆍ교육ㆍ군사제도들과 이데올로기들 그리고 문화들이 동북아시아 삼국의 삶의 양식 속으로 흡수되면서 계몽이 목적으로 했던 세계의 탈신비화가 시작되었다. 동북아시아는 유럽과 마찬 가지로 그 자체가 근대기획의 유형이 되었다. 그러나 세계의 탈신비화 혹은 계몽된 세계에 나타난 파멸의 모습은 유럽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바로 동북아시아 자신의 모습이었다. 서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이곳에서도 계몽으로 이해되는 학문과 사상 그리고 문명은 계몽이 원래 상정했던 목적, 즉 지배와 억압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기 보다는 평화파괴적 현실논리와 정치공학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침략 전쟁을 위한 수단으로 봉사했다. 이 모든 것들을 정당화시키고 합리화시키데 주요 역할을 담당한 것이 과학?기술로 이해되는 지식이었다. 그러나 근대기획으로서 동북아시아는 미완의 기획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동북아시아의 의미를 하나의 미완된 근대기획이라는 맥락에서 이해하고 이에 관해 탐구한다. 무엇보다 지난 세기들의 혼돈들과 오류에 대해 반성해보고, 이러한 맥락에서 그러한 혼돈과 오류를 만들어 내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지식의 의미와 이것의 담지자인 지식인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러한 작업은 전체 근대의 맥락에서 과거의 사상과 지식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반성하고, 미래의 동북아시아의 통합과 평화를 위한 새로운 대안적 사상과 지식체계를 전개시키는 것과도 연관된다. The modern project of Enlightenment has been created and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the de-mystification of the world. It is not, however, realized only in Europe itself. Northeast Asian countries also developed a modern project from the moment when they accepted Western science, knowledge, thoughts and technology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Enlightenment, in short, the modern civilization. The de-mystification of the world has been begun since political, social, economic, educational and military institutions, cultures and ideologies were introduced in Northeast Asian countries of mid-19th century. Northeast Asia has become a modern project as in the case of Europe. The reality of destruction in the de-mystified or enlightened world was not only that of Europe but also of Northeast Asia. Science, knowledge and civilization, which are understood as Enlightenment, were served as an effective instrument for the peace-destructive logic, political enginnering and finally for aggressive wars. They were not served as an end for the liberty of human beings from domination and oppression, an end which Enlightenment originally assumed. Especially, the knowledge of science and technology played a main role in legitimating and defending such an end. Northeast Asia as a modern project is, however, an unfinished one. This paper thus explores the meaning of Northeast Asia in the context of a modern project of Enlightenment: It reflects confusions and fallacies of the past centuries and, in this context, critically investigates the knowledge and intellectuals who, as carriers of that knowledge,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such confusions and fallacies. This kind of work is on the one hand closely connected to a critical reflection of thoughts and knowledge in a whole context of modernity and on the other hand to the development of an alternative system of thoughts and knowledge for the future integration and peace of Northeast Asia.

      • 프레임 구조의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킹

        최치원(Chiwon Choi),이해성(Hae-Sung Lee),변혜란(Hyeran Byun)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B

        본 논문에서는 워터마킹된 영상에서 원영상을 사용하지 않고 저작권자를 탐지할 수 있는 비가시적인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되 워터마킹 기법에서는 주파수 도메인상에 워터마크를 삽입하기 위해 프레임 구조의 웨이블릿 변환(redundant biorthogonal wavelet transform)을 이용하여 영상을 분해한다. 원영상의 화질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웨이블릿 변환된 저주파영역은 워터마크 내장 영역에서 제외된다. 워터마크는 웨이블릿 변화된 고주파 영역의 계수 중 내장 임계치 이상의 값에 대해 내장된다. 내장된 워터마크는 저작권자의 식별자를 초기값으로 하여 무작위로 생성된 실수열이다. 워터마크 탐지과정은 원 영상을 사용하지 않고 저작권 주장을 위해 제시한 워터마크와 워터마킹된 영상만을 사용한다. 워터마킹된 영상의 웨이블릿 변환된 계수 중 탐지 임계치 이상의 계수와 워터마크간의 상관관계를 구한다. 구해진 값이 저작권 주장 임계치(copyright threshold)보다 높다면 해당 워터마크의 소유자는 영상에 대한 저작권을 주장할 수 있다. 본 디지털 워터마킹 방법은 변형이 가해지지 않은 워터마킹된 영상을 저작자가 보관함으로써 다중 소유권 주장 문제에 대해서도 저작권 주장이 가능하다.

      • KCI등재

        청소년의 자존감 변화와 영향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종단 연구

        최치원(Chiwon Choi),김형희(Hyung-Hee Kim),박희서(Hwieseo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9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 및 삶의 내적목표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종단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료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초4 패널 4차년에서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 자아존중감 변화모형은 실증자료에 더 적합한 선형모델을 최종모델로 선정하였으며 초기치와 변화율 및 각각의 분산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의존적 변수는 교사관계 4차년도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청소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독립적인 변수들은 모두 초기치 와 변화율 및 각각의 변량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som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adolescent’s self-esteem through analyzing longitudinally the effects of parental attitude,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hool learning activity, life-goal on adolescent’s self-esteem by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 Analytical data was obtained from the KYCPS. The analytical results showed that the change model of adolescent’s self_esteem turned out to be a leaner model in which the change rate and intercept were significant. Second, time dependent variables influence on adolescent’s self_ esteem meaningfully. Third, time dependent variables influence on adolescent’s self_esteem changes significantly. This study proposed some policy implications basing on these findings.

      • KCI등재
      • LED 모듈의 방열시스템 개발을 위한 열전달 해석

        우장미(Chiangwei Yu),민경휘(Keonghwe Min),서다한(Dahan Seo),손한호(Hanho Son),이효재(Hyojae Choi),조수진(Sujin Jo),최치원(Chiwon Choi),고한서(Han Seo Ko) 대한기계학회 201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2 No.11

        Since LED bulb market has been increasing, the heat problem of the LED bulb is emerging. So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solve this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heat sink used for the LED bulb. The standard heat sink in this study is commercial product. Its size and capacity are Φ110㎜ × 60㎜ and 35W. Using the theory of the fluid mechanics and heat transfer, we have proposed a new heat sink design. Then, the results have been verified by the numerical method. Finally, the prototyp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numerical results. From redesign, the volume is decreased by 52.8%, so its size is Φ110㎜ × 45㎜. Also, the temperature has been maintained about 75℃. This result can be used to reduce the price o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