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자녀를 잃은 아버지들의 삶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세월호 재난을 중심으로

        최준섭(Choi JoonSup),이동훈(Lee DongHun)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3

        본 연구는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슬픔과 고통에 잠겨있는 아버지들의 삶의 경험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주제분석방법의 질적 접근을 통한 연구로서, 참여자는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총 12명의 아버지, 어머니였다. 참여자들의 직접 경험과 관찰을 통해 보고된 심층면접 자료에서 총 35개의 의미단위, 12개의 드러난 주제, 5개의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부모에게있어 삶의 전부인 자녀를 상실한 아버지의 삶의 변화를 통해, 자녀를 잃은 아버지들은 일과 직장 을 대하는 인식 및 태도에서의 변화가 나타나며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한편으로, 자녀를 잃은 아버지들은 자발적으로 교육, 사회, 경제적 공동체 조직을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life experiences of fathers who are suffering from sadness and grief at the loss of their children due to Sewol Ferry disaster. In this study, which was accessed by qualitative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7 fathers and 5 mothers. A total of 35 semantic units, 12 exposed topics, and 5 essential themes were derived from the in-depth interviews reported through the direct experience and observation of the participants. Fathers who lost their children experienced various difficulties due to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work and workplace, through changes in the lives of fathers who lost their children that were their whole lives. Additionally, this study shows that bereaved fathers voluntarily try to organize educational, social, and economic community. Finally,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을 예측하는 학생 수준 및 학급 수준 변인의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최준섭 ( Choi Joonsup ),이동훈 ( Lee Donghu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과 학급의 위계적 속성을 고려한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학생 및 학급 수준의 다양한 변인들이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과 경로를 검증하는 데 있다. 관계적 공격성을 예측하는 학생 수준 변인으로는 모의 심리적 통제, 정서조절능력을, 학급 수준 변인으로는 교사애착, 학급응집성, 교사경력, 학급규모, 교사성별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국내 8개 시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71개 학급의 1,670명의 학생과 71명의 담임교사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 연구를 수행한 결과, 첫째, 학생 수준 모형에서 모의 심리적 통제(+), 정서조절능력(-)은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조절능력은 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 간의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관계적 공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학급 수준의 변인은 교사애착(-), 학급응집성(-), 교사경력(-), 학급규모(+)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학생수준이 학급수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관한 교육적,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관계적 공격성과 관련한 변인들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학생 수준과 학급 수준에서 검증하여,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은 개인뿐만 아니라 학급 환경의 밀접한 영향을 받음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and pathways of various variables at the student and class level on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applying a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considers the hierarchical attributes of students and classes.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were selected as student-level variables predicting relational aggression, and teacher attachment, class cohesion, teacher career, class size, and teacher gender were selected as class-level variable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of 1,670 students and 71 homeroom teachers from 71 classes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s in 8 cities in Korea was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of conducting this study, first, in the student-level model,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relational aggression,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acted as a mediator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relational aggression. Second, the class-level variables that directly affect relational aggression were teacher attachment(-), class cohesion(-), teacher career(-), and class size(+). Third, the effect on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be higher at the student level than at the class level. This study verifi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variables related to relational aggress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 the student level and class level at the time of increasing education and social interest in relational aggre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mpirically verified that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closely affected not only by the individual but also by the classroom environment.

      • KCI등재

        초등학교상담의 관점에서 스피노자의 코나투스 재해석 : 학생 이해를 중심으로

        최준섭(Choi, Joonsup)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counseling meaning by reinterpreting the concept of conatus, which is Spinoza s human view and the basis of ethics. In the preventive and educational school counseling conducted by teachers, the teacher s perception and attitude to view and assist the student as a personal being and a potential being are most important as a school counselor. Unlike desires that are now perceived negatively, Spinoza s desire for self-preservation, or conatus, is an active and active force to maintain and preserve his existence. Spinoza s understanding of the human view that Conatus is inherent in all people can not only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client, but also affect the whole process of counseling. This study extracts various counseling meaning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through Spinoza s counseling thinking and approach to Conatus, and discusses it in relation to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s client in school counseling. 본 연구는 스피노자의 인간관이자 윤리학의 토대가 되는 코나투스(conatus)의 개념을 학교상담의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상담적 의미를 추출하는 데 있다. 교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예방적ㆍ교육적 차원의 학교상담에서, 학생을 인격적 존재이자 가능성을 지닌 존재로 바라보고 조력하고자 하는 교사의 인식과 태도는 학교상담자로서 무엇보다 중요하다. 오늘날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욕망과는 다르게 스피노자의 자기보존욕망 즉, 코나투스(conatus)는 자신의 존재를 유지, 보존하려는 능동적, 적극적인 힘이다. 이러한 코나투스가 모든 사람에게 내재되어 있다는 스피노자의 인간관에 대한 교사의 이해는 학교상담자로서 내담자인 학생을 바라보는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담의 전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스피노자의 인간관과 코나투스에 대한 상담적 사고와 접근을 통해 초등학교 상담과 관련한 다양한 상담적 의미를 추출하였으며, 교사를 대상으로 내담자인 초등학생 이해와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1년, 초등학생의 내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최준섭(Choi, JoonSup)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2

        본 연구는 2020학년도를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코로나19 펜데믹 시대 1년을 살아온 초등학생들의 내적경험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자료로는 수도권 소재 대규모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남녀 초등학생 21명이 약 2달간 9회에 걸쳐 코로나19 펜데믹 시대 1년을 살아온 자신들의 삶에 대해 작성한 글짓기 작품을 활용하였으며, Krippendorff(2004)가 제안한 내용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의 생활경험과 생각들이 담긴 글쓰기 자료에서 총 3개의 차원, 14개의 대범주, 44개의 소범주, 171개의 의미내용이 도출되었다. 심리정서적 차원은 “코로나19에 관한 다양한 불안을 경험함”, “게을러지고 예민해짐”, “답담함과 무료함의 반복”, “자존감의 하락”의 4가지 대범주, 신체적 차원은 “수면습관 변화”, “신체능력 저하”의 2가지 대범주, 일상생활 차원은 “디지털미디어에 과몰입”, “자기주도적 학습의 어려움”, “학력저하에 대한 자각”, “부모와의 갈등 증가”, “인간관계의 축소”, 달라진 환경에 적응하고자 노력함“, ”이제는 학교에 가고 싶음“, ”가족을 더욱 사랑하게 됨“의 8가지 대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nner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d survived the first year of the COVID-19 pandemic.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were the written work of 21 male and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6th grade who were enrolled in a larg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a metropolitan area, and the subject of the writing was their lives for one year in the era of the COVID-19 pandemic.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rticipants written work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procedure proposed by Krippendorff (2004), a total of 3 dimensions, 14 large categories, 44 subcategories, and 171 meanings were derived. In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mensions, four major categories were derived: experience of various anxieties related to COVID-19, being lazy and sensitive, repeated frustration and boredom, and decreasing self-esteem. In the physical dimension, two major categories were derived: changes in sleeping habits and decline in physical ability. In the daily life dimension, eight major categories were derived: over-immersion in digital media, difficulty with self-directed learning, awareness of a decline in education level, increased conflict with parents, reduction in human relationships, attempt to adapt to a changed environment, wanting to go to school, and more love for fami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are presented.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로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 탐색: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최준섭 ( Choi Joonsup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3 초등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로 살아간다는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 그 경험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총 9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의 생생한 이야기에 주목하고 연구참여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자 포토보이스 연구방법(Photovoice Research)을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초등학교 교사로 살아간다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교육-사진 자료 수집-사진에 대한 발표와 설명-경험(에피소드)과 소감의 공유-평가를 위한 그룹토의 등의 순으로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의 전 과정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연구참여자가 사진자료를 직접 수집하고 다른 연구참여자들에게 에피소드를 포함한 사진의 의미를 설명한 후 공유된 경험을 토대로 핵심주제의 선정을 위해 함께 논의하여 도출된 결과들이다. 본 연구결과, 18개의 소주제로부터 총 5가지의 본질적 주제(수많은 부담스러운 시선들과 동행하는 삶, 교육노동자/서비스업 종사자로서의 삶, 슈퍼맨과 같은 히어로를 꿈꾸는 삶, 소·확·행의 삶, 나선형의 삶을 통한 끝없는 성장)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로 살아간다는 경험과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사의 삶에 대한 이해를 확충하고 필요한 지원방안과 시사점을 모색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fundamental nature of the experience of living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its implications were explored in this study. N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Photovoic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uncover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Under the theme of What is Living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 research participants completed the entire Photovoice research method process, including teaching, collecting photographic data, presenting and explaining photographs, sharing experiences and impressions, and group discussions for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obtained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directly collecting photographic data, explaining the meaning of the photos, including episodes, to other research participants, and discussing them together to select a central theme based on shared experiences. The study identified a total of five essential themes: a life accompanied by many burdensome glances, a life as an education worker/service worker, a life dreaming of a hero like Superman, a life of small but definite happiness, and endless growth through life in a spira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nriched the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sought necessary support measures and implications by in-depth analysis of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living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심리적 통제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최준섭(Choi, Joonsup)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심리적 통제를 살펴보고, 이러한 심리적 통제와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 및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더욱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C도에 소재한 4개 초등학교의 6학년 초등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설명력이 높은 순서부터 모형에 포함되는 단계적(stepwise)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의 주요 변인들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심리적 통제가 부모의 심리적 통제에 비해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의 하위요인에서 부모의 비난만이, 교사의 심리적 통제의 하위요인에서는 교사의 애정철회만이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and teacher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factors that have more influence on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285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our elementary schools in C Province.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of th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are included in the model in the order of high explanatory power.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all of the major variables of this stud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eachers psychological control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s relational aggression than their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Thir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only the blame of parents in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parents and the withdrawal of the affection of the teachers in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teachers only affected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is, the key 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identifie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육대학교 학생용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준섭(Choi, Joonsup)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의 특수성을 고려한 교육대학교 학생용 학교적응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교적응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경험을 반영한 총 48개 문항에 대해, 중복문항을 제외한 후 내용 및 안면타당도 검토를 거쳐 32문항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결과에 대해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차례로 실시하여 6개 영역, 28개 문항을 본 조사를 위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전국 10개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38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고, 학교만족도, 학교소진척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척도는 교우관계, 학업성취, 전공만족, 교수관계, 수업흥미, 학교문화의 총 6요인, 28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전체 변량의 약 69%를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척도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university adjustment scale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school adjustment, a total of 48 questions were drawn, reflecting the experiences of students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fter excluding duplicate questions,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32 questions after reviewing contents and facial validity. For the preliminary survey results,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arried out in order, and 6 factors and 28 items were composed as the items for the survey. Finall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438 students from 10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to verify their suitability. In addition, convergence and discrimination validity were ver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with school satisfaction and school burnout scale. The final scale was composed of a total of 6 factors consisting of 28 questions on peer relationship, academic achievement, major satisfaction, relationship with professor, class interest, and university culture. These six factors accounted for 69% of the total variance.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cale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부모 상담주간의 운영 과정에서 초등학교 교사가 경험하는 정서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최준섭 ( Choi Joonsup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매 학기 1회, 연 2회 실시되고 있는 학부모 상담주간의 운영 과정에서 초등학교 교사가 경험하는 정서 변화를 중심으로 탐색하여 학부모 상담주간의 효과적인 운영을 돕는 학교상담 차원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학부모 상담주간이 시행된 지 9년이 지났지만, 관련 선행연구들이 부족한 상황과 개인의 정서 변화를 탐색하는 연구목적을 고려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선택하였으며, 이를 위해 폭넓은 초점을 염두에 두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점을 지닌 귀납적 분석모형(Hatch, J. A, 2002)의 단계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학부모상담주간 이전부터 두려움과 고민, 회의감, 부담감의 부정적 정서를 주로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부정적 정서들은 상담주간 중에 긴장감과 압박감, 불안함, 답답함으로 인한 포기, 불쾌함, 난처함 등으로 더욱 세분화하여 나타났다. 하지만 상담주간이 종료된 시점에서는 만족감과 다행스러움, 뿌듯함과 안도감의 긍정적 정서를 주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부모 상담주간의 운영, 학교상담, 초등학교 교사 이해와 관련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level of school counseling to assist in effective operation of parent counseling week by exploring the operational experience of parent counseling week, which is conducted once a year and twice a year i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changes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motions. Nin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Parent Counseling Week, but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chosen in consideration of the lack of relevant previous studie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to explore changes in individual emotions. To do this, the steps in the inductive analysis model (Hatch, J. A., 2002) with the benefits of processing data with a broad focus in mind were applied. In this study, study participants have mainly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of fear, anxiety, anxiety, frustration, and pressure before the parent counseling week, and these negative emotions have been further subdivided into tension, pressure, frustration, abandonment, displeasure, and embarrassment during the counseling week. However, at the end of the counseling week,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positive emotions of satisfaction, pride and relief.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기수용과 인성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최준섭(Choi, Joonsup)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기수용에 따른 인성 수준을 살펴보고, 초등학생의 자기수용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공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2곳에 재학 중인 남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수용척도, 공감능력척도, 인성수준 척도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2019년 9월 23일부터 각 학급 담임교사를 통해 학급별로 배부되기 시작하였고, 가정에서 설문조사를 마친 후 봉투법을 활용하여 담임교사에게 제출되었다. 10월 18일에 모든 설문지의 수거가 완료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무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 자료를 제외한 239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부트스트랩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초등학생의 자기수용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관련 변인들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공감은 자기수용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character according to self-accept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acceptance and character. A tota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Korea responded to self-questionnaires on self-acceptance, empathy, and character.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each class through the classroom teacher from September 23, 2019, and was submitted to the classroom teacher using the document envelope method after completing the survey at home. The collection of all questionnaires was completed on October 18, and this study analyzed 239 questionnaires excluding non-response and unfaithful responses.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using SPSS Process Macro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 As a resul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all related variables. Second, empathy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self-acceptance on character.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대학교 내 교육대학원 상담 전공 지원 및 입학 동기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명소연 ( Myung Soyoen ),최준섭 ( Choi Joonsup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2 초등교육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상담 전공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대학교 내에 설치된 교육대학원 입학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을 사용하여 연구참여자들의 입학 경험이 담긴 경험보고서 및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207개의 핵심개념, 33개의 범주, 6개의 영역이 도출되었는데, C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 전공 학생들의 입학 경험은 크게 대학원 진학 동기, 대학원 진학 결정과정에서의 고민/갈등, 교육대학원 내 교육대학원 선택 동기, 상담 전공 선택 동기, 전공 선택과정에서의 고민/갈등, 졸업 후 기대하는 나의 모습의 6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대학원 입학 및 상담 전공 선택의 전과정을 드러냄으로써 해당 경험에 내포된 의미와 시사점을 밝혔으며 더불어 초등학교 현장 및 교직문화에 기반한 교사의 직무 경험에 대한 이해, 상담 전공이 초등학교 현장에 기여하는 학문적 의의, 교육대학원생 모집/운영 및 상담 전공 커리큘럼의 내실화와 관련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stablished with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cusing on the counseling major. For this purpose, the experience report and interview data containing the admission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CQ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207 core concepts, 33 categories, and 6 domains(Motivation for going to graduate school, Concerns/Conflicts in the Graduate School Admissions Decision Process, Motives for choos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ith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otives for choosing a major in counseling, Concerns/Conflicts in the Major Selection Process, What I look forward to after graduation) were derived. In this study,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 were revealed by revealing the entire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dmission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selection of a counseling major. In addition, we drew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job experience of teachers based on the elementary school field and teaching culture,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e counseling major contributing to the elementary school field, the substantialization of the curriculum for counseling major, recruiting graduate students and operat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