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탄화 규소가 균일 분산된 규화 몰리브데넘계 복합재의 제조

        최원준,박천웅,김영도,변종민,Choi, Won June,Park, Chun Woong,Kim, Young Do,Byun, Jong Min 한국분말야금학회 2018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5 No.5

        Molybdenum silicide has gained interest for high temperature structural applications. However, poor fracture toughness at room temperatures and low creep resistance at elevated temperatures have hindered its practical applications. This study uses a novel powder metallurgical approach applied to uniformly mixed molybdenum silicide-based composites with silicon carbide. The degree of powder mixing with different ball milling time is also demonstrated by Voronoi diagrams. Core-shell composite powder with Mo nanoparticles as the shell and ${\beta}-SiC$ as the core is prepared via chemical vapor transport. Using this prepared core-shell composite powder, the molybdenum silicide-based composites with uniformly dispersed ${\beta}-SiC$ are fabricated using pressureless sintering. The relative density of the specimens sintered at $1500^{\circ}C$ for 10 h is 97.1%, which is similar to pressure sintering owing to improved sinterability using Mo nanoparticles.

      • KCI등재

        Spectral Response Change in a Quantum Well Infrared Photodetector by Using Quantum Well Intermixing

        최원준,김은규,H. J. Kim,한일기,J. C. Shin,J. I. Lee,J. W. Choi,Y. J. Park 한국물리학회 2003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42 No.III

        We have studied the change of spectral response in a Quantum Well Infrared Photodetector (QWIP) by using the Impurity Free Vacancy Disordering (IFVD) technique to change the bandgap of GaAs/AlGaAs Multi Quantum-Well (MQW) absorption layer. The fabricated QWIP whose MQW absorption region was intermixed by an IFVD technique showed the maximum change in spectral response peak from 8 to 10mm at 10K when compared to a QWIP without intermixing.

      • 자동차 조립라인의 실시간 투입시스템의 자동화

        최원준,박혜규,신현오,Choi, Won-Joon,Park, Hye-Kyou,Shin, Hyun-Oh 대한산업공학회 1996 산업공학 Vol.9 No.2

        자동차 조립공장의 생산은 혼류생산 (Mixed-Model Production)의 대표적인 형태로서 동일한 조립라인에서 다양한 사양의 차량들을 Batch생산이 아니라 각 사양의 생산량이 평준화되도록 생산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 도장라인에서 생산완료 된 순서는 혼류조립라에서의 평준화 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조립라인에의 투입순서를 재작성하여 제어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조립라인의 실시간 투입순서 작성 및 운영시스템을 자동화하여 성공적으로 운영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제주 남서부지역 스코리아의 철 화합물에 대한 미시적 연구

        최원준,고정대,Choi, Won-Jun,Ko, Jeong-Dae 한국재료학회 2008 한국재료학회지 Vol.18 No.3

        Fe compounds in scoria as distributed in the south-western area of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 using X-ray fluorescence spectroscopy, X-ray diffractometry, and $^{57}Fe$ $M{\ddot{o}}ssbauer$ spectroscopy. The samples were prepared from four parasite volcanoes. It was found that these samples are typical basalt comprised of $SiO_2$, $Al_2O_3$, Fe, and silicate minerals. The $M{\ddot{o}}ssbauer$ spectra showed doublets for olivine, pyroxene, and ilmenite as well as sextets for hematite and magnetite. The valence state of Fe is chiefly a 3+ charge state with a slight 2+ charge state.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will add to the body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formation mechanisms of Jeju Island.

      • KCI등재

        차세대 초고온 합금인 Mo-Si-B 합금의 연구 동향

        최원준,박천웅,박정효,김영도,변종민,Choi, Won June,Park, Chun Woong,Park, Jung Hyo,Kim, Young Do,Byun, Jong Min 한국분말야금학회 2019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6 No.2

        Over the last decade, the next generation's ultra-high-temperature materials as an alternative to Nickel-based superalloys have been highlighted. Ultra-high-temperature materials based on refractory metals are one of several potential candidates. In particular, molybdenum alloys with small amounts of silicon and boron (Mo-Si-B alloys) have superior properties at high temperature. However, research related to Mo-Si-B alloys were mainly conducted by several developed countries but garnered little interest in Korea. Therefore, in this review paper, we introduce the development history of Mo-Si-B alloys briefly and discuss the properties, particularly the mechanical and oxidation properties of Mo-Si-B alloys. We also introduce the latest research trends of Mo-Si-B alloys based on the research paper. Finally, for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this field, we explain why Mo-Si-B alloys should be developed and suggest the potential directions for Mo-Si-B alloys research.

      • 자동차 조립공장의 일일 생산순서계획 시스템

        최원준,Choi, Won-Joon 대한산업공학회 1996 산업공학 Vol.9 No.2

        자동차 조립공장의 주요 공정은 차체라인, 도장라인, 조립라인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차체라인과 조립라인은 주요 부품소모의 평준화를, 도장라인은 동일 색상차체의 연속 생산을 선호하므로, 생산순서의 결정시 상호 상층되는 점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조립공장전체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차체라인, 도장라인, 조립라인의 특성을 고려한 일일생산순서결정 방법을 제시한다.

      • KCI등재

        란타넘 산화물의 분산을 통해 향상된 파괴인성을 갖는 몰리브데넘 합금의 제조

        최원준,박천웅,박정효,김영도,변종민,Choi, Won June,Park, Chun Woong,Park, Jung Hyo,Kim, Young Do,Byun, Jongmin 한국분말재료학회 (*구 분말야금학회) 2019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6 No.3

        In this study, lanthanum oxide ($La_2O_3$) dispersed molybdenum ($Mo-La_2O_3$) alloys are fabricated using lanthanum nitrate solution and nanosized Mo particles produced by hydrogen reduction of molybdenum oxide. The effect of $La_2O_3$ dispersion in a Mo matrix on the fracture toughness at room temperature is demonstrated through the formation behavior of $La_2O_3$ from the precursor and three-point bending test using a single-edge notched bend specimen. The relative density of the $Mo-0.3La_2O_3$ specimen sintered by pressureless sintering is approximately 99%, and $La_2O_3$ with a size of hundreds of nanometers is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Mo matrix.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fracture toughness is $19.46MPa{\cdot}m^{1/2}$, an improvement of approximately 40% over the fracture toughness of $13.50MPa{\cdot}m^{1/2}$ on a pure-Mo specimen without $La_2O_3$, and this difference in the fracture toughness occurs because of the changes in fracture mode of the Mo matrix caused by the dispersion of $La_2O_3$.

      • KCI등재

        랜덤화된 트리워킹 알고리즘에서의 RFID 태그 보안을 위한 백워드 채널 보호 방식

        최원준,노병희,유승화,오영철,Choi Wonjoon,Roh Byeong-hee,Yoo S. W.,Oh Young Cheol 한국통신학회 2005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0 No.5C

        수동형 RFID 태그는 스스로 전력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연산 능력이 매우 미약하고, 통신 신호는 크기가 약하고, 도달 거리가 짧다. 이런 특성을 이용하여, 대부분의 태그 보안 방법은 태그로부터 리더로 전달되는 무선경로인 백워드(Backward) 채널은 도청의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가정하에 리더로부터 태그로 정보를 전달하는 포워드(Forward) 채널을 보호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태그와 가까이에 있는 불법적인 리더는 정보를 불법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근접거리에서 백워드 채널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태그정보의 충돌방지를 위하여 제안된 트리워킹 방식의 도청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안된 랜덤화된 트리워킹과 같은 기존 방식들에서 문제점을 해결하여 준다. 제안 방법의 효율성은 분석 모델을 사용하여 보였으며, 표준 코드시스템인 EPCglobal, ISO, uCode의 경우 도청가능성을 거의 '0'에 근접시킴을 보였다. Passive RFID tag does not have its own power, so it has very poor computation abilities and it can deliver signals in very short range. From the facts, most RFID Tag security schemes assumed that the backward channel from tags to a reader is safe from eavesdropping. However, eavesdroppers near a tag can overhear message from a tag illegal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protect the backward channel from eavesdropping by illegal readers. The proposed scheme can overcome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schemes such as randomized tree walking, which have been proposed to secure tag information in tree-walking algorithm as an anti-collision scheme for RFID tags. We showed the efficiency of our proposed method by using an analytical model, and it is also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provide the probability of eavesdropping in some standardized RFID tag system such as EPCglobal, ISO, uCode near to '0'.

      • SCOPUSKCI등재

        소아에서 Helicobacter pylori 감염에 대한 치료결과 및 재발률

        최원준,김제우,정기섭,Choi, Won-Jun,Kim, Je-Woo,Chung, Ki-Sup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1998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 No.1

        목 적: H. pylori 감염증에 대한 치료요법은 성인의 경우 여러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 소아를 대상으로 한 H. pylori 치료결과에 대한 연구보고는 미미하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의 H. pylori 감염증에 대한 치료결과 및 재발률을 조사하고, 아울러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치료방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1월부터 1997년 8월까지 복통 또는 상부위장관 출혈을 주소로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와 Warthin-Starry 은염색, CLO검사 결과 H. pylori 감염증으로 진단된 환아 120례 중 치료 후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75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아는 남아가 39례, 여아가 36례였으며, 평균연령은 $11.4{\pm}2.5$세였다. 대상환아들은 초기약제로 DA($Denol^{(R)}$과 amoxycillin), OA(omeprazole과 amoxycillin) 또는 DC($Denol^{(R)}$과 clarithromycin) 등 세가지 요법중 한가지를 투여하였고, 제균에 실패한 환아에 대해서는 DAM($Denol^{(R)}$과 amoxycillin, metronidazole), DC, OA, OC(omeprazole과 clarithromycin) 중 한가지를 2~4주간 투여하였으며, 치료종결 4주 후 H. pylori 제균 여부를 진단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대상환아의 상부위장관질환은 만성 결절성위염 46례, 위궤양 9례, 십이지장궤양 6례, 표재성위염 6례 및 정상 8례 등이었다. DA는 69례에서 투여되어 이중 63례(91%)에서 H. pylori가 제균되었고, DAM은 DA에 실패한 2례중 1례, DC는 초기 치료한 4례중 3례(75%)와 DA에 실패한 2례중 1례(50%)에서, OA는 초기치료한 2례에서, OC는 DA에 실패한 1례에서 모두 제균되였다. 치료 후 H. pylori 제균에 실패한 환아는 7례(DA 6례, DC 1례) 였으며, 이중 3례는 2차 치료(DAM, DA 및 DC 각 각 1례)로 제균되었고, 나머지 4례(DAM 2차요법 1례, 추적 불능 3례)에서는 제균되지 않았다. 치료 후 H. pylori가 제균되었으나 수 개월이 지나 재발된 환아는 4례(5.3%)로 치료 종결 후 3개월에서 3년 사이에 재발되었다. 재발된 4례중 2례는 2차 요법(OC, DA 각각 1례)으로 제균되었고, 나머지 2례(DC 2차요법 1례, 추적불능 1례)에서는 제균되지 않았다. 결 론: bismuth subcitrate와 amoxycillin의 두약제 요법은 H. pylori의 제균율이 91%로 높고 재발률도 5.3%로 낮으며, 또한 경제적이기 때문에 소아의 H. pylori 감염증에 대한 초기 치료제로 선택되어 질 수 있는 유용한 치료방법중의 하나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the therapeutic outcome, cost effectiveness and recurrence rate in children with H. pylori infection after the treatment using various medications. Methods: Seventy five children (mean age $11.4{\pm}2.5$ years) were given an endoscopy with biopsy and H. pylori status assessed by CLO test and histologic examination (Warthin Starry stain). Children were given one of following medications such as DA ($Denol^{(R)}$ and amoxycillin), OA (omeprazole and amoxycillin), DC ($Denol^{(R)}$ and clarithromycin) as primary treatment. And one of following medications such as DAM ($Denol^{(R)}$, amoxycillin and metronidazole), DC, OA, OC (omeprazole and clarithromycin) were used in children who failed the eradication of H. pylori. Results: The endoscopic diagnoses were: nodular gastritis (46 cases), gastric ulcer (9), duodenal ulcer (6), superficial gastritis (6), and normal (8). H. pylori eradication rate was 91% (63 of 69 children) on 4 weeks course of DA, 50% (1 of 2 cases who had treatment failure on DA) on DAM, and 75% (3 of 4 cases who treated on DC primarily) and 50% (1 of 2 cases who had treatment failure on DA) on DC, and 100% on OA (all of 2) and on OC (all of 1 who failed on DA). In 3 of 7 children in whom H. pylori had not been eradicated by primary medications (DA 6 and DC 1 case), H. pylori was re-eradicated by secondary medications (DA 1, DAM 1 and DC 1 case). But in remaining 4 cases, H. pylori infection persisted. Reinfection of H. pylori was found in 4 of 75 children between 3 months and 3 years after completion of the treatment of DA, yielding recurrence rate of 5.3%. In 2 of 4 cases who had relapsed, H. pylori was re-eradicated by secondary medications (OC 1 and DA 1 case). But in remaining 2 cases, H. pylori infection persiste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ual therapy with $Denol^{(R)}$ and amoxycillin is the effective medications in treating H.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Concerning the cost effectiveness, it can be recommended as first line treatment of choice as well.

      • SCOPUSKCI등재

        Volume-Controlled Mode의 기계환기시 동일환 I:E Ratio하에서 Inspiratory Pause가 기도압 몇 가스교환에 미치는 영향

        최원준,정성한,이정아,최강현,Choi, Won-Jun,Jung, Sung-Han,Lee, Jeong-A,Choe, Kang-Hyeon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199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45 No.5

        연구배경: Volume controlled ventilation(VCV)시 inspiratory pause의 사용은 흡기시간을 연장하여 평균기도압을 상승시키고 가스교환을 호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같은 흡기시간을 유지하더라도 inspiratory pause를 사용하였을 경우 평균기도압과 가스교환의 변화에 대하여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방 법: 저자들은 VCV으로 기계호흡을 받는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흡기산소농도, 상시호흡량, 호흡수 및 I : E ratio(1 : 3)는 변화시키지 않고 5%의 pause를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기도압 및 가스교환의 변화를 관찰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은 pause를 사용한 경우 $38.6{\pm}7.4$ mmHg로 시용하지 않은 경우의 $41.0{\pm}7.7$ mmHg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1). 동맥혈 산소분압은 pause를 사용한 경우 $94.4{\pm}23.2$ mmHg로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91.8{\pm}19.7$ mmHg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으나 (p=0.054), 폐포-동맥혈 산소분압차$(P(A-a)O_2)$는 pause 유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185.3{\pm}86.5$ mmHg vs. $184.9{\pm}84.9$ mmHg, P=0.766). 평균기도압은 pause를 사용한 경우 $9.7{\pm}4.0\;cmH_2O$로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8.8{\pm}4.0\;cmH_2O$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1). Pause를 사용했을 때의 pause pressure와 pause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최고흡기압의 차이는 호흡기계의 저항과 역상관관계를 보였으나 (r=-0.777, p<0.01), pause가 없을 때의 최고흡기압에서 pause를 사용했을 때의 최고흡기압으로의 증가는 호흡기계의 저항과 정상관관계를 보여 (r=0.811, p<0.01), 평균기도압의 차이는 호흡기계의 저항과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다(r=0.681, p<0.05). 평균기도압의 변화는 $PaCO_2$의 변화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Volume control ventilation시 동일한 1:3 의 I:E ratio하에서라도 5%의 inspiratory pause를 사용하는 것이 평균기도압을 더 높게 유지할 수 있으며 폐환기를 호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호흡기계의 저항이 증가되어 있을수록 평균기도압의 상승이 많았으나 평균기도압의 상승 정도는 폐환기의 변화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Background : In volume-controlled ventilation, the use of inspiratory pause increases the inspiratory time and thus increases mean airway pressure and improves ventilation. But under the same I : E ratio, the effects of inspiratory pause on mean airway pressure and gas exchange are not certain. Moreover, the effect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sistance of respiratory system. So we studied the effects of inspiratory pause on airway pressure and gas exchange under the same I : E ratio in volume-controlled ventilation. Methods: Airway pressure and arterial blood gases were evaluated in 12 patients under volume-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with and without inspiratory pause time 5%. The I : E ratio of 1 : 3, $FiO_2$, tidal volume, respiratory rate, and PEEP were kept constant. Results: $PaCO_2$ with inspiratory pause was lower than without inspiratory pause ($38.6{\pm}7.4$ mmHg vs. $41.0{\pm}7.7$ mmHg. p<0.01). P(A-a)$O_2$ was not different between ventilation with and without inspiratory pause $185.3{\pm}86.5$ mmHg vs. $184.9{\pm}84.9$ mmHg, p=0.766). Mean airway pressure with inspiratory pause was higher than without inspiratory pause ($9.7{\pm}4.0\;cmH_2O$ vs. $8.8{\pm}4.0\;cmH_2O$, p<0.01). The resistance of respiratory system inversely correlated with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plateau pressure with pause and peak inspiratory pressure without pause (r=-0.777, p<0.l),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peak inspiratory pressure with pause and peak inspiratory pressure without pause (r=0.811, p<0.01). Thus the amount of increase in mean airway pressure with paus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resistance of respiratory system (r=0.681, p<0.05). However, the change of mean airway pressure did not correlated with the change of $PaCO_2$. Conclusion: In volume-controlled ventilation under the same I : E ratio of 1 : 3, inspiratory pause time of 5% increases mean airway pressure and improves ventilation. Although the higher resistance of respiratory system, the more increased mean airway pressure, the increase in mean airway pressure did not correlated with the change in $PaCO_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