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론송』의 「관사견품」 연구 – 불일불이와 불상부단의 논증을 중심으로 -

        최용권 한국불교학회 2024 韓國佛敎學 Vol.109 No.-

        The founder of the Madhyamaka school, Nāgārjuna inherits the Buddha’s Middle Way (madhyama-pratipad) thought. Whereas the Buddha defeats wrong views of the ten antinomies by silence (avyākṛta), Nāgārjuna confutes wrong views of four padas which presuppose inherent nature (svabhāva) by indirect reduction (prasaṅga). Nāgārjuna argues neither sameness nor difference of past self and present self, present self and future self, ātman and appropriation (upādāna) and neither eternality nor annihilation of transmigratory living thing’s body (loka) in the 27th chapter of Mūlamadhyamakārikā, Dṛṣṭiparīkṣā nāma saptaviṃśatitamaṃ prakaraṇam. First, in verses 3-8, he argues non-sameness of past self and present self and neither sameness nor difference of ātman and appropriation by confuting first pada of wrong views on self’s past. In verses 9-12, he deals with non-difference of past self and present self by confuting second pada of wrong views on self’s past. And he completes argumentation of neither sameness nor difference of past self and present self. In verse 13, he confutes all of four wrong views on self’s past by expanding to the third pada and the fourth pada. In verse 14, he deals with wrong views on self’s future which is confuted by same way with wrong views on self’s past. And in verses 15-20 dealing with wrong views on eternality (śāśvata) and impermanence (aśāśvata) of living thing’s body, he argues neither sameness nor difference on both of past god and present person and neither eternality nor annihilation on one of transmigratory living thing’s body. Finally, in verses 21-28 dealing with wrong views on limitation (antavat) and infinity (anantavat) of living thing’s body, he argues also neither eternality nor annihilation of living thing’s body by confuting wrong views associated with the series of aggregates proceeds, appropriator (upādātṛ), appropriation. 중관학파의 시조인 용수(龍樹, Nāgārjuna, ca.150-250)는 붓다의 중도 사상을 계승했다. 붓다가 모순 대립하는 문제인 십난의 사견을 무기로 물리쳤다면, 용수는 자성을 전제하는 4구 형식의 사견을 귀류법으로 논파했다. 용수는 『중론송』 제27장 「관사견품」에서 과거세의 나와 현재세의 나, 현재세의 나와 미래세의 나, 아뜨만(ātman, 我)과 취해진 것(upādāna, 取)의 불일불이와 윤회하는 중생세간의 불상부단을 논증한다. 우선 3-8송에서는 나의 과거세에 대한 사견 중 제1구를 논파함으로써 과거세의 나와 현재세의 나의 불일 그리고 아뜨만과 취해진 것의 불일불이를 논증한다. 9-12송에서는 나의 과거세에 대한 사견 중 제2구를 논파함으로써 과거세의 나와 현재세의 나의 불이를 다루고, 과거세의 나와 현재세의 나의 불일불이의 논증을 완성한다. 제13송에서는 3, 4구까지 확장하여 나의 과거세에 대한 4가지 사견을 모두 논파한다. 제14송에서는 나의 과거세에 대한 사견과 똑같은 구조로 논파되는 나의 미래세에 대한 사견을 다룬다. 그리고 세간의 항상성(śāśvata, 常住)과 무상성(aśāśvata, 無常)에 대한 사견을 다루는 15-20송에서는 과거세의 천신과 현재세의 인간 둘의 불일불이 그리고 윤회하는 중생세간 하나의 불상부단을 논증한다. 마지막으로 세간의 유한성(antavat, 有邊)과 무한성(anantavat, 無邊)에 대한 사견을 다루는 21-28송에서는 온들의 상속, 취하는 자(upādātṛ, 取者), 취해진 것과 관련한 사견을 논파함으로써 역시 중생세간의 불상부단을 논증한다.

      • KCI등재후보

        A Maritime DGPS Reference Station Configuration Proposal for Operation Improvement

        최용권,손석보,이상정 사단법인 항법시스템학회 2015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Vol.4 No.4

        A maritime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DGPS) reference station broadcasts correction information to users having a DGPS receiver so that the navig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 maritime DGPS reference station consists of a reference station (RS) that generates and broadcasts correction information, an integrity monitor (IM) that monitors the integrity of correction information, and a control station (CS) that controls them. A maritime DGPS reference station is continuously operated for 24 hours, and thus improvement in the ease of operation is a major element tha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In this study, a configuration of a maritime DGPS reference station that can improve the ease of operation and a relevant protocol were proposed, and an exampl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system was presented.

      • KCI등재

        MapReduce와 시공간 데이터를 이용한 빅 데이터 크기의 이동객체 갱신 횟수 감소 기법

        최용권,백성하,김경배,배해영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2

        Until now, many indexing methods that can reduce update cost have been proposed for managing massive moving objects. Because indexing methods for moving objects have to be updated periodically for managing moving objects that change their location data frequently. However these kinds indexing methods occur big load that exceed system capacity when the number of moving objects increase dramatically.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update frequency reducing method to combine MapReduce and existing indices. We use the update request grouping method for each moving object by using MapReduce. We decide to update by comparing the latest data and the oldest data in grouping data. We reduce update frequency by updating the latest data only. When update is delayed, for the data should not be lost and updated periodically, we store the data in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hash table that keep previous update data. By the performance evaluation, we can prove that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update frequency by comparison with methods that are not applied the proposed method. 지금까지 대규모의 이동객체 관리를 위해 갱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인덱스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이동객체 인덱스는 빈번하게 위치정보가 변화하는 이동객체를 관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갱신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법들은 이동객체의 수가 현저히 증가하는 경우 인덱스의 갱신 가능범위를 초과하는 부하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기존의 처리 가용량을 초과하는 빅 데이터 크기의 이동객체에서 발생하는 갱신요청들을 MapReduce와 기존 인덱스기법을 조합하여 감소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에서는 수많은 이동객체에서 발생하는 갱신요청들을 MapReduce를 이용하여 각각의 이동객체 별로 그룹화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각 이동객체 별로 그룹화 데이터들의 최신의 데이터와 가장 오래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갱신여부를 판단하고 최신의 요청만 갱신하도록 하여 전체 갱신 횟수를 크게 감소시킨다. 갱신이 지연된 경우 기존의 갱신요청들을 가지고 있는 해시 테이블에 일정기간 보관하여 지연된 갱신요청이 분실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갱신되도록 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을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해 전체 갱신 횟수 및 갱신 비용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MapReduce와 시공간 데이터를 이용한 빅 데이터 크기의 이동객체 갱신 횟수 감소 기법

        최용권,백성하,김경배,배해영,Choi, Youn-Gwon,Baek, Sung-Ha,Kim, Gyung-Bae,Bae, Hae-You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2

        지금까지 대규모의 이동객체 관리를 위해 갱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인덱스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이동객체 인덱스는 빈번하게 위치정보가 변화하는 이동객체를 관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갱신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법들은 이동객체의 수가 현저히 증가하는 경우 인덱스의 갱신 가능범위를 초과하는 부하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기존의 처리 가용량을 초과하는 빅 데이터 크기의 이동객체에서 발생하는 갱신요청들을 MapReduce와 기존 인덱스기법을 조합하여 감소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에서는 수많은 이동객체에서 발생하는 갱신요청들을 MapReduce를 이용하여 각각의 이동객체 별로 그룹화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각 이동객체 별로 그룹화 데이터들의 최신의 데이터와 가장 오래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갱신여부를 판단하고 최신의 요청만 갱신하도록 하여 전체 갱신 횟수를 크게 감소시킨다. 갱신이 지연된 경우 기존의 갱신요청들을 가지고 있는 해시 테이블에 일정기간 보관하여 지연된 갱신요청이 분실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갱신되도록 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을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해 전체 갱신 횟수 및 갱신 비용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Until now, many indexing methods that can reduce update cost have been proposed for managing massive moving objects. Because indexing methods for moving objects have to be updated periodically for managing moving objects that change their location data frequently. However these kinds indexing methods occur big load that exceed system capacity when the number of moving objects increase dramatically.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update frequency reducing method to combine MapReduce and existing indices. We use the update request grouping method for each moving object by using MapReduce. We decide to update by comparing the latest data and the oldest data in grouping data. We reduce update frequency by updating the latest data only. When update is delayed, for the data should not be lost and updated periodically, we store the data in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hash table that keep previous update data. By the performance evaluation, we can prove that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update frequency by comparison with methods that are not applied the proposed method.

      • 스위치드 릴럭턴스 전동기의 토오크 리플 저감을 위한 폴 형상 최적화

        최용권,윤희성,황인성,고창섭 충북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 연구소 2006 컴퓨터정보통신연구 Vol.14 No.1

        최근 스위치드 릴럭턴스 전동기(Switched Reluctance Motor)는 고효율, 안정성, 용이한 가변 속도, 그리고 유지 보수의 불필요성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산업의 많은 분야에서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SRM은 고정자와 회전자가 모두 돌극(Saliency) 구조를 이루며 펄스 형태의 여자 방식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소음과 진동의 원인이 되는 토오크 리플이 크다는 단점을 갖는다. 토오크 리플 저감을 위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턴온 각 (θ_(on))과 턴오프 각 (θ_(off))조정, 고정자 극호(β_(s)) 그리고 회전자 극호 (β_(r))를 조정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그러나 고속 구동 시에는 여자 전류의 확립을 위한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므로 스위칭 각도를 조정하여 토오크 리플을 저감하는 방법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턴온 각, 턴오프 각, 고정자 극호, 그리고 회전자 극호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고정자 돌극의 형상 변화를 통한 토오크 리플 저감법을 제안하고 반응표면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을 이용하여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Recently the switched reluctance motor(SRM) is highly expected to have more and more growing applications because it has many advantages over the other type motors such as high torque/weight ratio, robustness, easy variable speed and less maintenance. However, the SRM has large torque ripple which is caused by the excitation method of the pulse waveform and the saliency of both the stator and the rotor. The prior researches on the reduction of torque ripple are mainly focused on optimizing the switching angle, stator pole arcs, and rotor pole arcs. In high speed operation, however, it has a limitation to control the switching angle for the reduction of torque ripple because enough time is required in the establishment of exciting current. This paper shows that the torque ripple can be successfully minimized by optimizing the shape of the stator pole without controlling the switching time, stator pole arcs and rotor pole arcs.

      • 3차원 비선형 정자장 문제의 유한요소 해석을 위한 적응 요소분할 기법

        崔容權(Yong-Kwon Choi),柳在燮(Ryu-Jae Seop),高彰燮(Chang-Seop Koh) 대한전기학회 2006 전기학회논문지 B Vol.55 No.6

        A three dimensional adaptive finite element refinement algorithm is developed for non-linear magnetostatic field problems. In the method, the edge elements are used for finite element formulation, and the local error in each element is estimated from the fact that the tangential components of magnetic field intensity and the normal components of magnetic flux density should be continuous at the interface of the two adjacent elements. Based on the estimated error, the elements which have big error are divided into several elements using bisection method.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algorithm is proved through numerical examples.

      • KCI등재

        해양용 DGPS 운영성 개선을 위한 시스템 경고 임계값 제안

        최용권 ( Yong Kwon Choi ),이주현 ( Ju Hyun Lee ),손석보 ( Seok Bo Son ),이상정 ( Sang Jeong Lee ) 한국항행학회 2017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1 No.1

        국내에서 운용하고 있는 해양 DGPS는 다중 GNSS 수신기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의사거리 보정정보를 제공하고, 지속적으로 보정정보의 무결성을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해양 DGPS 기준국 (RSIM; reference station and integrity monitor)은 서비스 단절상황을 막기 위하여 상태 감시 요소에 대한 알람 수준을 설정하여 시스템을 정지시키고, 백업시스템으로 전환하거나, 문제 사항에 대해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해양 DGPS 기준국 운용 시 이중화 시스템 적용되어 시스템 오작동에 의한 서비스 중단 등의 상황에 대비 할 수 있으나, 백업용 시스템까지 문제가 발생하거나,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서비스 중단에 대해서는 대비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운영자가 사전에 문제 발생 가능성에 대해 확인 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기존의 알람과 정상 상태에 추가적으로 경고 기준값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기준국에서 생성한 상태 감시 정보를 마코프 분석 방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A maritime DGPS in Korea offers pseudo-range correction information and monitors integrity of correction data by using multiple GNSS receivers. The maritime DGPS reference station and integrity monitor service sets alarm threshold value about integrity monitoring parameters for preventing service interruption status. However there is no way to avoid system interruption according to malfunction of backup systems and outside factors. Therefore, in this paper, warning threshold values were proposed for maritime DGPS operator can be counteract in advance. And Markov analysis method was carried out for selection of these warning threshold values.

      • 중파 안테나의 GPS 영향과 성능개선 구현 및 제안

        최용권(Yong-Kwon Choi),정진호(Jin Ho Jeong),이상정(Sang Jeong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추계

        해양수산발전 기본법 제 15조(해양안전관리 등)에 의거 해양안전 및 해양교통시설의 하나인 위성항법 보정서비스(DGPS) 전국망 구축에 따라 국가 인프라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대국민 편익 개선을 위해 원천기술개발이 꾸준히 제기 되고 있다. 특히 해양용 중파수신기 공급제품 유형을 살펴보면 국제해사기구(IMO) 권고에 만족하는 성능 제품 대부분 안테나와 수신기가 분리되는 구조 공급되고 있고 일부 통합모델의 경우 매우 고가모델로 해양용 수신기 보다는 휴대가 쉬운(Portable) 측위용으로 일부 활용되고 있어 저렴한 통합모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해양용 위성항법 보정정보 수신기 중 GPS모듈, 중파모듈 각각은 저가 개발이 가능하나 독립적 운용 환경에서 통합모델 개발 이루어지지 않아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 살펴보고, 285kHz~315kHz 중파(medium wave or Beacon)를 이용한 DGPS Beacon 수신기 구조에서 중파안테나와 GPS수신기가 중파대역 폭당 신호대 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가 GPS 수신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중점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중파와 GPS 통합과정에서 중파안테나 및 수신부와 GPS안테나와 수신부가 어떤 영향을 미치고 GPS 신호감쇄가 DGPS 성능에 미치는 특성을 GPS 제조사별로 살펴보았고 중파 정규화 신호대 잡음비가 GPS제조사별 미치는 영향과 중파신호 영향에 대해 GPS 대역 폭당 잡음 전력비 성능개선을 위한 제안을 하였다. Fisheries development of the basic law pursuant to article 15 (marine safety management, etc.) one of maritime safety and maritime traffic facilities nationwide network of DGPS in accordance with the building maximize infrastructure utilization and country. Source technology has been improving steadily raised for the benefit daegukmin. In particular, look at the type of product for the marine supply medium-wave receiver Performance products that satisfy most of the IMO Advisory. The antenna and receiver are separate structural supply for some integrated model with a very high Rather it is used as a portable receivers for marine positioning cheap integrated model development is needed. Correction of satellite navigation receivers for the current Marine GPS module, medium-wave modules can be developed one low cost Integrated in independent operating environments do not support the model development done look at what the problem is 285kHz ~ 315kHz in DGPS Beacon receiver structure using a medium wave or Beacon The medium-wave antenna and a GPS receiver signal to noise ratio was studied GPS signal attenuation on the DGPS performance looked at each GPS manufacturer medium-wave signal-to-noise ratio and normalized impact by GPS manufacturers noise power ratio per bandwidth for medium-wave GPS signals affect it was implemented to improve performance

      • 토오크 리플 저감을 위한 스위치드 릴럭턴스 전동기의 폴 형상 최적화

        최용권(Yong Kwon Choi),윤희성(Hee Sung Yoon),고창섭(Chang Seop Koh),김효준(Hyo Jun Kim)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4

        This paper proposes a new stator pole shape having non-uniform air-gap in order to minimize the undesirable torque ripple of switched reluctance motor(SRM). Through numerical analysis using finite element method(FEM) and optimization, the proposed pole-shape-optimized stator is proven to give reduced torque rip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