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연숙 한국독어독문학회 1993 獨逸文學 Vol.51 No.1
In diesem Aufsatz wird Holderlins Natur untersucht. U¨ber die Natur war von den verschiedenen Gesichtspunkten aus zu betrachten. Die Natur Ho¨lderlins war unter den zwei beiden Ideologien voneinander angenommen. Die eine Rezeption Ho¨lderlins war unter dem Einfluß National-Sozialismus entwickelt. Mit der Theorie von Nietzsche, Dilthey, Gundolf, u.s. ideologisierte NZ Ho¨lderlins Werke. Die Ho¨lderlin-Rezeptionsmethode unter dem NZ. ist $quot;die A¨sthetisierung des Lebens$quot; zu begreifen. Und die undere Rezeption war in DDR entwickelt. Die Ho¨lderlinRezeption in der DDR war von dem Theoretiker des sozialistischen Realismus, Luka´cs, von den Dichtern, z.B., Becher, Seghers und Brecht nachha¨ltig beeinflußt. Das Charakteristikum der Rezepdon Ho¨lderlins in der DDR ist $quot;die Politisierung der Kunst$quot; zu bezeichnen. Die Kunst in der Literaturgesellschaft(Becher) war nur notwendig, den Staat DDR damit stiffen zu helfen. Also war die politische Tendenz Ho¨lderlins darin willkommen gelassen worden. Aber Ho¨lderlins Naturbegriff liegt nicht da. Er ist nicht nur hegelianisch, sondern auch nietzscheisch. Ho¨lderlins Wertungssystem im Naturbegriff liegt in der Absolutierung der Kunst. Aber diese Absolutierung der Kunst bedeutet nicht fart pour Part. Die Kunst bedeutet in seinen Werken rein, begrifflos, sprachlos, unschuldig, Vor-sprache und Vor-geschichte. Sein Naturbegriff ist auch ein Begriff des Menschen, des Vaterlandes als geschichtliches System. Er ist nicht im statischen, sondem im dialektischen. Sein Natur- und such Kunstbegriff kann in den modernen kritischen Theorien, wie in der offenen Dialektik(Bachtin) oiler negativen Dialektik (Adomo) rekonstruiert interpretiert werden. Also kann Holderlins Naturbegriff ein offener, kritischer Begriff der Kunst gegen die Politik, Ideologie, und Zivilisation begriffen werden. Aus diesem Gesichtspunkt sind Holderlins Werke in diesem Aufsatz zu behandeln.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최연숙,홍혜영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과 거부민감성, 정서표현 양가성, 우울의 관계를 살펴보고, 불안정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강원, 충북, 경남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23명이었다. 연구결과, 불안애착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불안애착과 우울 사이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며,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회피애착도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회피애착과 우울 사이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며 회피애착과 우울의 사이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불안정 애착이 높은 사람은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높아지면서 우울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말해준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4 variables (Insecure Attachment, Rejection Sensitivit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423 undergraduates taking a 4-year program at different universities located in the Seoul, Gyeong-gi Province, Kangweon Province, Chungbuk Province, Gyeongnam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nxious attachment had an direct effect on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as significant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as significant. Also avoidant attachment had an direct effect on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as significant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as significant. It indicates that those with high degrees of insecure attachment are very likely to have some depression syndromes as both rejection sensit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become higher in their degrees. Finally,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ADHD 증상 학생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태도에 관한 실증 연구
최연숙,박원희 한국통합교육학회 2012 통합교육연구 Vol.7 No.1
ADHD는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 장애증상으로 행동 및 학업성과에서 어려움을 불러일으키는 흔한 장애로 알려져 있다. ADHD 증상을 보이는 학생들 중에서도 특히 실업계 고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학생들은 직장생활로의 전환과 직무관련 추가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태도와 주관적 규범이 의도의 핵심 선행요인이라는 합리적 행동이론을 이론적 기반으로 설정하고,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ADHD 증상학생에 대한 긍정적 지도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202명의 현직 실업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10% 유의수준에서 통합 교육의도에 다소 약한 영향을 미치며 태도는 다시 자기효능감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촉진조건과 ADHD에 대한 지식수준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지만, 통합교육에 대한 부담은 10% 정도의 유의수준에서 자기효능감에 상대적으로 약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DHD is a common disorder known to be associated with behavioral and academic difficulties. Students with ADHD, specially enrolled in vocational high schools, need programs to help them make transitions to the working world and to re-engage with further learning. Teachers are frequently expected to implement and support treatments for students with ADHD, and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ADHD may influence their support of these treatments as well as academic and behavioral outcomes of students with ADH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research model based upon theory of reasoned action(TRA)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provide inclusive teaching services to students with ADHD in vocational high schools. Based on 202 survey responses from high school teachers, we show that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marginally (p - value ≤ 10%) motivate teachers to provide inclusive classroom services, and attitude is directly influenced by self-efficacy. It was also confirmed that facilitating condition and knowledge level about ADHD are the antecedents of self-efficacy. But contrary to our expectation, burden for inclusive services has significant impact on self-efficacy, only at 10% significance level.
통합 교육환경에서의 ADHD 증상 학생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 태도에 관한 실증 연구
최연숙,박원희 한국통합교육학회 2012 통합교육연구 Vol.7 No.1
ADHD는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 장애증상으로 행동 및 학업성과에서 어려움을 불러일으키는 흔한 장애로 알려져 있다. ADHD 증상을 보이는 학생들 중에서도 특히 실업계 고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학생들은 직장생활로의 전환과 직무관련 추가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 는 태도와 주관적 규범이 의도의 핵심 선행요인이라는 합리적 행동이론을 이론적 기반으로 설정하 고,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ADHD 증상학생에 대한 긍정적 지도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202명의 현직 실업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분석 한 결과,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10% 유의수준에서 통합 교육의도에 다소 약한 영향을 미치며 태도는 다시 자기효능감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촉진조건과 ADHD에 대 한 지식수준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지만, 통합교육에 대한 부담은 10% 정도의 유의수준에서 자기효능감에 상대적으로 약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고문서의 체계적 정리와 활용을 위한 제언
최연숙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5 南道文化硏究 Vol.0 No.29
본고에서는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고문서의 체계적 정리와 활용방안을 다루었다. 한국국학진흥원은 2001년부터 민간 소장의 전통문화유산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수집 활동을 통해 훼손 및 멸실 위기에 처해있는 국학자료가 미래세대로 안전하게 전승할 수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는 44만 점 가까운 자료를 소장한 국내 최다국학자료 수장기관이다. 조사·수집과 함께 기탁 자료의 가치 발굴에도 힘을 쏟아 금년10월에는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유교책판 718종 64,226장이 세계기록문화유산에 등재되는 쾌거를 이루기도 하였다. 그러나 단시일의 수집 활동에 비해 이들 자료를 정리할 수 있는 인력과 예산이 여의치않아 현재 국학자료의 정리 상황은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1980년대 이후로 몇몇 기관에서 고문서 수집과 함께 전문 인력 양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만 관심 대비 인력풀은많이 부족하다. 이는 국학자료 소장기관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고민이기도 하다. 필자는 고문서의 체계적 정리 및 활용을 위해 네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내부 인력 양성에 힘을 쏟는 것은 물론이고 외부의 활용 가능한 인력풀을 충분히 확보하자는 것이다. 고문서 정리를 위해서는 고문서 해독 능력과 초서 해독 능력, 문서를 감정할 수 있는 능력을 고루 겸비해야 하는데 단시일에 내부의 인력을 양성하여 실무에 투입시키기란 쉽지 않다. 이를 위해 여러 기관에서 양성되고 훈련된 인력풀을 확보하여 적극활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한국국학진흥원에서는 자료의 보존 관리를 위해 매년 훈증 소독을 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서로 다른 상태의 자료들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제대로 보존하기란 쉽지않다. 소장 국학자료에 대한 정확한 상태조사는 물론이고, 훼손된 자료에 대한 보존처리가 함께 진행될 때 자료의 영구적 보존이 가능하므로 이를 위한 보존처리실 구축이 시급히 요구된다. 이는 아직까지 민간에 보관되어 훼손이 진행되고 있는 자료들의 유입을가져올 것이며 전통문화유산의 멸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국학진흥원의 자료검색시스템인 소장자료관리시스템의 적극적인 활용과 함께유관 기관과의 유기적 관계망을 구축하는 것이다. 한국학 관련 연구기관에서는 수년 전부터 기초자료의 DB구축사업 등을 통해 기관 소장 자료들을 상당 부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들 자료를 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면 고서, 고문서 등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한 입체적 연구가 활발해질 것이고 이는 자료 정리 인력의 필요성이 부각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넷째, 전통자료에 대한 적극적인 현대적 재해석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의문화유산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 노력은 세대간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으며 역사와스토리를 담고 있는 우리의 우수한 전통문화유산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을 환기시킬 수있을 것이다. This paper demonstrates systematic arrangement and application plan of historical manuscripts possessed by the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Since 2001, the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has carried forward to contribute the creative succession of our traditional culture by conducting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searches, conservation, collection and studies on Korean study materials owned by individuals which were on the brink of disappearing due to damage or theft. As a result, the center possesses over 440,000 valuable Korean study materials which makes the nation’s largest institute for possessing Korean study materials. In October 2015, 718 titles and 64,226 pieces of Confucian Printing Woodblocks in Korea, possessed by the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was registered to the list of UNESCO Memory of the World for its world significance and distinctive values. However, the current condition of arrangement for Korean study materials can be very insignificant as materials were collected in very shorttime but the manpower and budget had not been sufficient. Since 1980s, several institutes started to collect the historical manuscripts as well as to train professional manpower, but the manpower does not satisfy attentions from Korean study institutes. The issue for the shortage of manpower can be primary concerns for all institutes for Korean study material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four proposals for systematic arrangement and application of historical manuscripts. Firstly, training internal manpower as well as securing applicable external manpower can be necessary. Secondly, establishing conservation laboratory is urgently required for the permanent conservation of Korean study materials. The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laboratory shall attract private sectors whose materials are being damaged consistently, thus it prevents the extinction of traditional heritage while fostering the atmosphere for conserving Korean study materials. Thirdly, establishing organic networks between related institutes and active application of Data Management Program, the data search system of the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are required. Lastly,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materials can be broadly suggested. The reinterpretation of cultural heritage draws attentions from various generations, as well as draws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rests of Korean traditional heritage.
시간대를 고려한 교통발생 행태 분석 : 서울시를 중심으로
최연숙,정진혁 중앙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2001 環境科學硏究 Vol.12 No.1
In this paper trip generation patterns by time of day are explored to understand household-base travel making behaviors. Understanding of the trip-making behavior by time of day is a crucial aspect in travel demand forecast in future as well as an empty hall in classical four-step demand forecast procedure. In this paper, data collected in Seoul, Korea in 1997 is utilized in analysis and modeling. Cluster analysis technique is employed to group households, which has similar travel making patterns by time-of-day. The resulting cluster groups are adopted to construct multinominal logit models. The results show that the models developed provide trip-making patterns in households highly depend on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such as household size, number of employers, number of cars owned and so forth. In addi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model developed in these study is reliable and a promising practical improvement to traditional four-step proced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