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조전문직의 문화적 역량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최소연(Choi, So-Y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사회복지학 Vol.64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교사, 간호사, 사회복지공무원의 문화적 역량 현황과 선행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교사의 문화적 역량이 가장 높았으며 사회복지사, 공무원, 간호사 순이었다. 문화적 역량 선행요인으로는 연령, 교육수준, 외국어구사여부, 다문화업무시간, 종사기간, 교육훈련시간, 조직의 지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각 직군 간에 유의미한 선행요인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문화적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과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 conditions and antecedent factors affecting helping professions" cultural competence, focusing on such groups as social workers, teachers, nurses, and social work civil servants. The analysis of data shows that teachers" cultural competence is the highest, social workers, social work civil servants, and nurses are descending order. The study also found significant antecedent factors: (1)individual antecedent factors are age, education, and foreign language skill; (2)work-related antecedent factors are multicultural working hours and working duration; (3)organizational antecedent factors are education/training and organizational support. Finally, the study suggests policy direc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cultural competence.

      • KCI등재후보

        1세대 혼혈인의 생애사 연구

        최소연(So-Yun, Choi)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1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1세대 혼혈인의 생애를 조명하고 삶의 의미를 사회구조적인 측면에서 파악하기 위해 생애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생애사 분석을 위한 텍스트는 구술 면접을 통해 구성했으며 4명의 혼혈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텍스트 분석을 위해 Mandelbaum이 제안한 삶의 영역(dimension), 전환(turnings), 적응(adaptation)의 틀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삶의 영역은 <어쩔 수 없이 태어난 삶>, <일상화된 놀림과 차별의 삶>, <버려지고 내보내진 삶>, <부평초가 뿌리내리는 삶>으로 분석되었다. 전환은 <나와 같은 혼혈인-위로를 받다>, <준비 안 된 채 사회로 내보내짐>, <광야에서 살아냄>으로 나타났다. 적응은 <역경을 통해 살아냄>, <자랑스러운 아버지>, <명예를 회복해야 한다는 일념>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차별과 배제의 억압된 삶을 산 1세대 혼혈인의 삶의 치유를 위한 프로그램과 자조집단의 필요성, 그리고 지역사회 기반의 맞춤형 지원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conducted a life history study to illuminate the lives of first-generation mixed-race people and to analyze the meanings of lives in terms of social structure. The text for life history analysis was constructed through oral interviews, and four mixed-race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ext analysis, Mandelbaum’s analytic framework of life dimension, turning point, and adaptation was appl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ife dimensions were analyzed as <life born out of necessity>, <life of routine teasing and discrimination>, <life abandoned and thrown out> and <Life like floating weeds>. The turning points were found to be <receiving comfort from mixed-race people like me>, <sent out into society without preparation>, and <living in the wilderness>. The adaptation was analyzed as <survival through adversity>, <proud father>, and <determination to recover hono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necessity of a program to heal the lives of first-generation mixed-race people who lived repressed lives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nd the need to support self-help groups and community-based social care for true inclusion.

      • KCI등재

        1세대 혼혈인과 다문화청년 세대의 정체성과 탄력성에 관한 연구

        최소연(So Yun Choi)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1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1세대 혼혈인과 다문화청년 세대의 정체성과 탄력성을 두 집단의 비교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1세대 혼혈인과 다문화청년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을 진행한 결과, 1세대 혼혈인은 ‘용납할 수 없는 존재’로 출생하여 ‘타자화를 통한 배제’의 과정을 삶 전체에서 경험하였다. ‘나를 버린 나라’ 대한민국에서 ‘그래도 한국인’의 정체성을 갖고 있지만, 주류집단에 속할 수 없는 ‘박탈과 혼돈’의 삶을 살고 있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다문화 청년은 ‘놀림의 대상’으로 ‘부담과 불편함’을 경험하였으나 ‘이중문화 정체성의 한국인’으로 자부심이 있었다. 또한, 혼혈의 인종적 지위가 주류사회에서 융화할 수 없는 취약성의 위험요인이라면 다문화청년의 외모와 이중문화 경험은 자신들만의 고유한 보호요인이었다. 혼혈인은 역경을 통해 역경에 대처하였으며, 다문화청년은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도전에 대응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사회를 지향하기 위해 주류사회의 인식 개선의 필요성과 다문화정책의 기본 조건으로서 재범주화의 중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dentity and resilience of the first generation mixed-race and the multicultural youth.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generation mixed-race were born as “unacceptable beings” and experienced the process of “exclusion through otherization”. Although they had the identity of Koreans in the “country that abandoned them,” they were living a life of “deprivation and chaos”. In contrast, multicultural youth experienced “burden and discomfort” due to differences as “objects of teasing,” but were proud of being “Koreans with dual cultural identity.” To them, multiculturalism was not deprivation and exclusion, but “opportunities and blessings”. While the racial status of mixed-race was a risk factor for vulnerability that could not be integrated into the mainstream society, the appearance and bicultural experience of multicultural youth were unique protective factors that they only could possess. Mixed-race coped with adversity through adversity, but multicultural youth responded to challenges by using various resource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critical to improve the awareness of mainstream society and recategorization is a basic condition for multicultural policy and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다차원척도분석법(MDS)을 활용한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의 이미지에 대한 탐색적 연구

        최소연(So-Yun Choi),고언정(Eon-Jeong Ko)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0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그리고 노인복지관에 대한 대중이미지를 파악한 연구 이다. 서울사회복지사협회 대중이미지자료를 활용하여 각 유형별 사회복지기관이 일반대중에게 어떤 이미지로 인식되고 있는지, 각 복지관에 근접한 이미지는 무엇인지, 그리고 시설에 따라서 대중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해 어의차이 척도로 각 유형의 복지관 이미지를 측정하였으며,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11개의 유의미한 이미지요소를 추출하여 다차원척도분석법(MDS)을 활용해 각 시설이 어떤 이미지로 대중에게 포지셔닝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관은 ‘안심이 되는’, ‘평판이 좋은’, “깨끗한‘, ’유쾌한’이미지에 근접하고 있었으며 장애인복지관은 ‘실제로 도움이 되는’, ‘민감한’, ‘혁신적인’ 이미지에 그리고 노인복지관은 ‘편안한’, ‘친숙한’이미지에 근접하므로 사회 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이 서로 다른 이미지로 포지셔닝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미지 문항과 복지관유형의 거리를 포지셔닝 맵을 통해 확인한 결과 세 기관 모두 ‘효율적’이고, ‘혁신적’이고 ‘실제로 클라이언트에게 도움이 되는’ 이미지와는 근접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ublic images of three types of welfare centers: community welfare center,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nd senior welfare center. Utilizing the public perception data owned by Seoul Social Workers Association, this study examines how each of three types of welfare center is perceived by the public, what image is close to it,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public perception of each welfare center. The study measured the images of welfare centers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and abstracted eleven significant image factors using the Multi-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identified the position of the public images of each welfare centers using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ree types of welfare centers have different public images. Specificall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are perceived by the images of feel relief , good reputation , clean , and pleasant . And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are perceived by the images of practically helpful , sensitive , and innovative . Finally, the senior welfare centers are perceived by the images of comfortable and familiar .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positioning map suggests all of three welfare centers are not perceived to be efficient , innovative , and practically helpful .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피그말리온 리더십이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 직무몰입,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소연(So Yun Choi)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4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Pygmalion leadership on social worker’s self-efficacy, job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One of distinctive job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is that most of the works are performed in clos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s supervision. In this regard, Pygmalion effect, which means the phenomenon in which people’s expectations of themselves or others lead them to behave in ways that make those expectations come true, is useful to explain leadership role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Even though leadership study of social workers is very scarce, such study is urgently need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erefore, this study particularly focuses on the question: How managerial leaders can harness the Pygmalion effect to lead social worker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 that Pygmalion leadership has positive effects on social worker’s self-efficacy, job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that Pygmalion leadership affects job satisfaction more than other variables. In addition, Pygmalion leadership affects job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indirectly through self-efficacy. Finally,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Pygmalion leadership role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본 연구는 피그말리온 리더십이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 직무몰입,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사회복지사는 대부분 직속상사와 밀접한 슈퍼비전 관계 속에서 업무를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사의 부하직원에 대한 기대가 부하직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피그말리온 리더효과는 사회복지조직의 리더십을 설명하는데 있어 유용성이 크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리더십 연구는 매우 제한적인 수준으로 사회복지조직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리더십 연구의 확장은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피그말리온 리더 행위가 사회복지사의 직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피그말리온 리더십은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 직무몰입,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변수에 미치는 영향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피그말리온 리더십은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연구결과 직속상사의 피그말리온 리더행위의 중요성을 반영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서비스 질에 대한 인식이 사회복지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최소연(Choi, So-Yun),고언정(Ko, Eon-Jeong)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3

        이 연구는 서비스 질에 대한 인식이 사회복지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서비스 만족의 매개효과를 통해 파악한 연구다. 사회복지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질에 대한 기대수준의 상승과 사회복지관의 전문적이고 신뢰받는 이미지 구축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서비스 질과 만족 그리고 사회복지관이미지의 관계를 구조방정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관대중이미지자료를 활용하여 복지관이용경험이 있는 15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서비스 질 중 전문적 대응성이 서비스만족에, 서비스만족이 사회복지관 성실성과 전문성이미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서비스 질은 사회복지관이미지에 직접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서비스만족을 매개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o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image,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s of service satisfaction. Under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that both the level of expectations toward the service quality and the necessity of building professional and trustful image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is rapidly rising, this study verifie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image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tilizing the data on the public images of social welfare centers obtained from the Seoul Social Workers Association, this study analyzed 151 persons who have experienced the use of services provided by community welfare center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ndicates that the professional correspondence among the service quality has direct effects on the service satisfaction, and that the service satisfaction has direct effects o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images of trust and specialty. The service quality does not have direct effects o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images, but has indirect effects o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images of trust and specialty through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ervice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전문가 자기효능감척도 타당도 연구

        최소연(So Yun Choi),염태산(Tae San Yeo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9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2 No.-

        이 연구는 사회복지전문가-자기효능감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나 효능감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와 관련하여 엄격한 평가 없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외국척도를 번역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지표를 변형하는 등 사회복지의 전문성과 관련된 신뢰할만하고 타당한 측정도구가 제시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직의 전문성을 측정하기 위한 타당한 척도가 제시될 필요성에 대한 인식하에 사회복지전문가자기효능감척도(SWSE)의 국내 사회복지영역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충청권에서 일반주의실천(지역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종합복지관)을 주로 담당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537명과 실습을 이수한 사회복지전공학생 105명을 포함, 총642명을 대상으로 실천방법,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정책과 조사연구, 지지, 치료기법, 사례관리, 평가로 개념 구성된 52개 문항의 사회복지전문가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연구 조사된 내용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동질적 문항으로 분류되지 않은 지표를 제외하고 사회복지전문가의 최종자문을 통해 28개 지표로 구성된 한국판 사회복지전문가 자기효능감척도(SWSE)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Social Work Self-Efficacy (SWSE) measure. Even though special studies of social work profession and self-efficacy are now under investiga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 are being used without strict evaluations. In addition, there have been some cases of transforming the indicator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foreign measures in a Korean versio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lidity of applying the Social Work Self-Efficacy(SWSE) measure to the field of Korean social work, recognizing that it is critical to provide the valid measure of social work prof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642 respondents, including 537 social workers working for generalist social work practice in the community agencies in Seoul, Kyong-Gi, and Choong-Chong provinces, and 105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ork. This study measures the self-efficacy of social workers through 52 items which consists of ESSW(i.e., social work practice,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social policy and research) and PSI(i.e., psychotherapeutic, case management, and evaluation). This study excludes 24 items which are not grouped as homogeneous through factor analysis. Finally, this study provides a Korean version of Social Work Self-Efficacy (SWSE) measure which is composed of 28 items, after the final consultation of social work profession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