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뮬라크르 시대를 사는 그리스도인의 자기 정체성 -플라톤의 친부 살해 개념과 폴 리쾨르의 자기정체성 이론의접점에서-

        최민식 한국기독교철학회 2024 기독교철학 Vol.39 No.-

        현대는 실체(이데아)를 보유한 실재보다 ‘파생 실재’를 가진 모사본(이미지)이 더 큰 힘을 발휘하는 시대이다. 사람들은 이러한 현대를 시뮬라크르 시대라 부른다. 오늘날에는 실재라는 원본보다 시뮬라크르라는 사본이 더 큰 가치를 가지는 시대가 되었다. 이렇게 되기까지 철학과 문화에서 수많은 친부 살해가 있었다. 그 결과 현대는 진리라는 동일성을 중심으로 창조 유사성 찾기 어렵게 되고 사물 자체 내에 ‘파생 실재’를 내재시키는 것으로서 진리를 대신한다. 현대 기술 문화는 하나님 창조의 한계를 넘고자 하며, 머지않아 인간이 만든 기계(예를 들면 AI)가 인간보다 탁월해지는 ‘특이점’을 예고한다. 본 논문은 시뮬라크르 시대의 그리스도인들이 신앙을 가지고 살아가기 위해 어떤 정체성을 가져야 하는지 그 방안을 제시한다. 필자는 시뮬라크르 개념에 폴 리쾨르의 ‘자기 정체성’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삼위일체 하나님을 새롭게 인식시키고자 한다. 그것은 우리가 하나님 진리의 본질이라는 동일성을 찾기 위해 초대교회 정신이나 종교개혁 정신으로 돌아가 유사성을 찾는 방식이 아니라, 아버지 하나님이 스스로 죽으시고 성령 하나님이 되셔서 나를 성전 삼아 나의 파생 실재가 되심으로 진리와 시대정신 및 문화적 현실을 놓치지 않는 시뮬라크르적 방식이다. The modern age is an age when the simulacre(image) with its “hyper-reality” seems more powerful than the real thing with its substance (idea). That’s because we call modern times the age of simulacre. Today, a simulacre has become, as it is, more valuable than the original, the real. There have been many patricides, that is, old truths have been killed by new truths incessantly, in the long history of philosophy. As a result, modernity is centered on the sameness of truth, which makes it harder to find similarities in creation and replaces truth with “hyper-reality” within things themselves. Modern technological culture seeks to exceed the limits of God’s creation and foreshadows a ‘singularity’ in which man-made machines such as AI will soon be superior even to human brains. This paper proposes a desirable way for Christians that what kind of identity they should have in order to live out their faith in the age of simulacra. By applying Paul Ricoeur’s theory of “self-identity” to the concept of simulacre, it is sought to create a new perception of the Triune God. It is a simulacre that does not turn to the spirit of the early church or the spirit of the Reformation to find similarities, but rather a simulacrum that helps us Christians keep sight of the truth, the Zeitgeist, and the cultural reality of God the Father who dies by himself and becomes God the Holy Spirit for me to live in Him and seek my hyper-reality.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시대의 정체성의 위기와 象의 문제 - 몸적 자기(the bodily self)의 관점에서 -

        최민식 범한철학회 2013 汎韓哲學 Vol.69 No.2

        현대인들의 정체성을 논함에 있어서 ‘자기’에 대해 왜곡된 방식으로 접근하는 경향들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해 보았다. 첫째는 ‘자기’에로의 도피이며, 둘째는 ‘자기’로부터 도피이다. ‘자기’에로의 도피는 내적 자기로의 편향성(신비주의적 심리주의)과 외양적 자기로의 편향성(성형, 다이어트 등 몸적 속성을 자기와 동일시)을 짚어 보고, ‘자기’로부터의 도피는 마조히즘, 중독, 신경증 증상, 사이버 공간의 다중자아의 문제들로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제반 현상들은 어느 시대에나 있을 수 있는 것들이지만, 일부 현상들은 현대사회의 과학기술 발달 - 특히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이 요구하는 주체 해체와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필자는 상의 관점에서 현대인들의 정체성을 위기로 이끄는 국면들을 분석해 보았다. 오늘날 자본주의 문화는 이러한 상을 이용하여 현대인들의 몸과 욕망을 통제한다. 왜곡된 문화에 휘둘리지 않기 위해서는 상을 넘어서서 몸과 정신이 통합된 <몸적 자기>를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I try to classify tendencies with two kinds which is distorted when modern’s identity is discussed. The first is the escaping toward the self and the second is the escaping from the self. The former is a propensity toward the inner self(mystical psychologism) and a propensity toward outward appearance self(a plastic operation, diet etc.) and the latter is on mazochism, toxication, neurosis symptoms and the problems of the multi-egos of cyber space. Although such various actual conditions is the thing which in any era can happen, some phenomenon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dissolution of the subject which postmodernism requests and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especially the advancement of the computer and the internet. I analyse the situations which in the view of image draw crisis on the identity of moderns. Today’s capitalism culture control the bodies and desires of moderns using the image. It is necessary to pursue <the bodily self> which is integrated into one mind-body beyond the image in order not to be controlled by today’s distorted culture.

      • KCI등재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가짜 정보 대응과 법제 개선 방안 연구

        최민식 대한교육법학회 2018 敎育 法學 硏究 Vol.30 No.3

        In Korea, regulations that impose legal responsibility on online service provider(OSP)’s for distributing fake information are being proposed as a measure to control the posting policy of Internet portal sites and the flood of fake information, such as manipulating comments using macro-programs. If a fake information is illegal or dangerous, judicial authorities and other agencies should make judgment and take legal action. Excessive regulations on information can infringe upon the freedom of the press and the government cannot solve the problem of fake information by imposing proactive responsibilities such as judgment and monitoring of fake information by OSP, which are intermediaries of information distribution.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ecosystem, information generation is organized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 so if one is suppressed, reverse discrimination occurs between online service providers at home and abroad. Regulations on fake information need to be taken a cautious approach as they will not only put a burden on domestic online service providers, but also weaken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For profound changes such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need to improve media(information) literacy by learning the right information from adults, and to respond and evolve with lifelong learning. To respond to false information and improve media understanding as a democratic citizen, media(information) training for adults should be accompanied by lifelong education. In addition, legislation is needed to prepare institutional measures, such as providing education for media(information) literacy, special agencies, administrative systems, and others. 우리나라에서는 ‘드루킹 사건’으로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한 댓글 조작 등 인터넷포털의 댓글 정책과 가짜 정보 범람에 대한 규제방안으로 온라인서비스제공자(OSP, Online Service Provider)에게 가짜 정보 유통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우는 법안들이 발의되고 있다. 가짜 정보가 위법하거나 위험한 내용이라면 사법기관 등에서 판단하고 법률로 조치해야한다. 정보에 대한 과도한 규제는 언론자유를 침해할 수 있고 정보유통 매개자인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가짜 정보 판단, 모니터링 등 사전적인 책임 부과로는 가짜 정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국가, 언론기관,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참여하는 자율규제기구 형태의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팩트 체크(fact check) 결과를 제공하는 것과 함께 근본적인 방안으로 정보이용자가 가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을 위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학교교육은 물론 평생교육 강화를 위해 관련 법제를 개선하여야 한다.

      • KCI등재후보

        노동시장에서의 차별과 한국의 남녀임금격차

        최민식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7 교과교육학연구 Vol.11 No.2

        As a result of recent globalization process, Korean industrial structure has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s. Korean Manufacturing sector has contracted while service sector has expanded, which led to the change of the labor market structure in these sectors. Among other things, the portion of female labor force has increased consistently, now taking up 42% of the entire employees. However, gender wage differential in Korea has not improv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economic theory of discrimination, the gender wage gap due to the discrimination in labor market tends to disappear as the output market becomes more competitive. I tested this hypothesis by investigating the trend of gender wage gap in the Korean financial industry sector. By using Basic Statistical of Wage Structure compiled by Korean Labor Ministry from 1986 to 2004, I analyzed the change of employment and wage structure between male and female workers in service industry including the financial sector. During this period, the number of female workers and their educational level both increased as the employment rate of female college graduates grew substantially in the last two decade. However, in the financial sector where the competitive pressure was stronger after the 1997 economic crisis, the gender wage gap did not decrease. 세계화과정으로 인해 국내 산업구조의 변화가 일어나 제조업이 축소되고 서비스업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노동시장에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사항은 전체노동시장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했다는 것이다. 여성의 고용비중은 2005년 현재, 전체의 42%에 달한다. 하지만 이렇게 여성의 노동시장에서의 비중은 증가하고 있는데 남녀 간의 상대적 임금격차는 최근 들어 크게 좁혀지지 못하고 있다. 경제학에서는 고용주의 차별에 의한 남녀 간 임금격차는 시장에서의 경쟁의 심화와 함께 점차 사라져 간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 가설을 외환위기 이후 여러 규제완화와 세계화로 인해 경쟁이 심화된 한국의 금융 산업에서의 노동시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검증하였다. 1986년부터 2004년까지 『임금구조 기본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의 서비스 산업에서 남녀 간 고용구조의 변화와 남녀임금격차의 변화추이를 분석한 결과, 여성근로자의 수는 이 기간 동안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그 비중 또한 등락을 거듭하며 증가하였다. 또한, 여성 근로자의 고학력화가 이루어졌으며, 여성의 대졸자 취업률의 증가율은 분석 기간 동안 큰 폭으로 상승했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변화를 겪어온 금융보험업을 포함한 서비스산업에서 남녀 임금격차 중 차별을 포함하는 성별 잔차임금격차는 줄어들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발달장애 학부모의 성인전환기 인식과 부모 역할 및 지원 요구에 관한 초점집단면담 연구

        최민식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발달장애 학부모를 대상으로 성인전환기에 대한 인식과 그 과정에서의 부모 역할, 지원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발달장애 학생과 부모에 대한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S 특수학교 고등학교 3학년 및 전공과 학부모 1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의 관심 진로에 따라 2개의 초점집단(낮 활동팀과 직업생활팀)을 구성하여 면담이 진행되었다. 모든 면담은 전사한 후 상호작용적 비교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개의 주제어, 8개의 범주, 24개의 하위범주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성인전환기에 대한 인식(준비되지 않은 성인전환기, 성인기 삶에 대한 이해 부족과 기대), 성인전환기에 대한 부모의 역할(성인기 인식 전환을 위한 노력, 전환계획과 실천, 자립생활을 위한 노력), 성인전환기에 대한 지원 요구(안정적인 진로 지원, 가족 지원).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발달장애 학생의 안정적인 성인전환을 위한 특수교육과정, 학부모 지원, 진로와 직업 정책 등을 위한 기반자료와 후속 연구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복합소재 제조 및 응용

        최민식,이정록,류성우,구본철 한국복합재료학회 2020 Composites research Vol.33 No.3

        Polyphenylene sulfide (PPS) is a semi-crystalline engineering thermoplastic resin that has outstanding thermal stability, mechanical strength, inherent flame retardancy, chemical resistance, and electrical properties. Due to these outstanding properties, it is preferred as a matrix for composite material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oduce composites with carbon fibers and glass fibers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and provide functionality of PPS. In this review paper, we report a brief introduction to the fabrication and applications of PPS composites with carbon nanotubes, graphene, carbon fibers, and glass fibers.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는 반결정성 엔지니어링 열가소성 수지로 뛰어난 열안정성, 우수한 기계적 강도, 고유의 난연성 및 내화학성, 전기적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PPS는 복합체의 매트릭스로 선호되고 있다. PPS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며 기능성 부여를 위해 탄소섬유나 유리섬유와 같은 필러를 이용 한 복합화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본 총설 논문에서는 PPS와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탄소섬유, 유리섬유 등 과의 복합체 제조 및 응용에 대한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고등 및 전공과 중도장애 학부모의 학교기반 진로·직업 자조모임 경험과 그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최민식,김원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and understand the realities of the career and vocation self-help group meetings for parents who have high school and college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by examining their experiences and needs. Meth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which allow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needs and experien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From March to July in 2018, two focus groups were compos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out of 14 parents who voluntarily organized and participated in self-help groups at S Special-Education School to prepare for adulthood transition of thei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objective analysis, the research team and the supervisor team participated in the data analysis. Results and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3 themes, 9 categories, and 24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themes and categories are 1) Adult transition period that is recognized as a problem—Aggravation of parenting, Challenges of transition, Poor environment for adult transition, 2) Process and results of the parent self-help groups—Motive for participation, Difficulty of participation, Meaning of self-help group: Empowerment, Change in parent’s attitude, and 3) Tasks for self-help group hereafter and implications—Need for school-based career and vocational parental self-help groups, Clear purpose of the meeting and operation method. These results will be used as background data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and needs that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have in transition to adulthood and to develop specific action plans for parental self-help groups in further studies.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학교 고등 및 전공과 진로·직업 자조모임에 참석한 중도장애 학부모들을 중심으로 자조모임 경험과 그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자조모임의 실제를 이해하고, 나아가 이를 기초로 자조모임 실천에 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참여자들의 경험과 이에 대한 해석 및 요구를 단기간에 심층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2018년 3~7월까지 ○○지역 소재 S 특수학교에서 중도장애 자녀들의 성인전환기 준비를 위해 학부모들이 자발적으로 모임을 구성·운영한 자조모임 참석자 총 14명 중 6명을 대상으로 2개의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여 인터뷰가 진행되었고, 객관적인 분석을 위해 연구팀과 감수팀이 자료분석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그 결과 ‘주제 1) 문제로 인식되는 성인전환기-가중되는 양육의 무게, 열악한 성인전환기 환경, 전환의 과제’, ‘주제 2) 학부모 자조모임의 과정과 결과-참여 동기, 참여의 어려움, 자조모임의 의미: 임파워먼트, 학부모의 태도변화’, ‘주제 3) 향후 자조모임 과제와 시사점-학교기반 진로·직업 학부모 자조모임의 필요성, 명확한 모임목적과 운영방식’이라는 3개의 주제와 9개의 범주, 2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도장애 학생의 성인전환기 어려움과 지원에 관한 사항들을 이해하고 학교를 기반으로 한 학부모 자조모임의 필요와 구체적인 실천방안에 관한 기반자료 및 후속연구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부모와 고용주의 취업준비 및 고용유지에 관한 인식 비교

        최민식,신현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8 지적장애연구 Vol.20 No.4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review the perspectives of employer and parents in regard to the employment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reer retention, employment preparation, and systemic national supports and to suggest a plan that develop a desirable employment competenci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with three general business employers with years of employment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xperiencing changes of perception, two directors of sheltered workshop, and six parents of transition-aged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focus on the study purpose, researchers provide a pre-interview document including a research description, a consent form, and a demographic questionnaire. Further, a special education professor and three vocational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data analysis to validate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and the interview data. Researchers found a total of six main themes, 20 categories, and 30 sub-categories. From the analysis, employers and parents perceived the following themes: (1) Employment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e., employment definition, employment characteristic, employment reason, employment recognition); (2) Rewards and difficulties; (3) Power of career retention (i.e., employer’s willingness to hire, occupational skill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mployee-centered support, cooperation); (4) Career retention risk factors (i.e., individual, business, family); (5) Employment preparation (i.e.,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prepare for employment, a common preparation among family and school); and (6) National level supports (i.e., national responsibilities for career, financial·facility·human resources support, employment policy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findings related to the six main themes will be used as a based data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for the employment policy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parent support, and career readines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부모와 고용주가 인식하는 발달장애인의 직업, 취업준비, 고용유지, 국가지원 등에 관한 내용을 비교·검토함으로써 발달장애인의 직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과 내용을 정리하고,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방향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다년간 발달장애인 고용과 인식전환 경험을 가진 일반사업체 고용주 3명, 장애인보호작업장 원장 2명, 그리고 고등·전공과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학부모 6명을 대상으로 현상학 연구의 이론적 관점에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주제에 집중하기 위해 연구 설명문, 참여 동의서 및 면담 기초정보조사지와 같은 사전 면담 요청 문서를 제공하였고 반구조화 된 면담 질문 및 면담의 타당도 확보를 위해 특수교육학과 교수 1인, 직업특수교사 3명이 자료 분석에 참여하였으며, 6개 영역의 주제어, 20개의 범주, 45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분석결과 부모와 고용주가 인식하는 각 주제와 범주는 1)발달장애인의 직업(직업의미, 직업특성, 고용이유, 고용인식) 2)보람과 고충 3)고용유지의 힘(고용주의 고용의지, 발달장애 근로인의 직업능력, 근로자중심의 지원, 협력) 4)고용유지 위험요인(개인, 사업체, 가족) 5)취업준비(발달장애 취업준비생, 가족·학교·공통의 준비) 6)국가차원의 지원(진로에 대한 국가적 책임, 재정·시설·인력 지원, 발달장애인 고용정책)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6가지 주제와 관련한 연구결과는 발달장애인 고용 정책, 특수교육과정, 학부모 지원, 그리고 발달장애 학생 본인의 직업준비를 위한 기반자료와 후속연구로 활용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