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유니버설 디자인 환경 유형 평가 연구 -남해군 소재 경로당을 대상으로-

        최길동,최진희,오승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2 조형미디어학 Vol.25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universal design is applied in 10 SCCCs located in Namhae-gun and prepare standards for quality improvement and awareness improvement of SCCC based on user-centered universal design at the design stage of SCCC. In term of research method, first, the spatial composition of SCCCs were classified into access space, living space, and sanitary space to analyze required rooms. Second, the environmental types of universal design in SCCCs were classified into basic elements, spatial composition principle, and detailed space to analyze whether universal design is applied. Based on th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types of universal design were analyzed with percentage distribution and visualized as distribution chart. Among the analyzed items of environmental types of universal design, basic elements and detailed space were found to be above average, but spatial composition principle were found to be inadequate. As a result, the average of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types of universal design was analyzed to be less than 30% in 8 SCCCs excluding Daeip SCCC and Hwaryong SCCC among 10 SCCCs. Senior citizen community centers should be plann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 behaviors and physical conditions of the elderly with declined physical activity. Also, it is desirable to classify spaces in SCCCs in terms of safety, accessibility, accommodation, and comfort for use and apply them in space planning.

      • KCI등재후보

        진주 남강의 수변공간 개발을 위한 사례분석과 그 활용방안 모색

        최길동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6 No.2

        진주의 대표적 상징성을 지닌 남강과 그 수변공간을 통하여, 문화적 콘텐츠와 효율적 공간 활용이 가능한 수변공간을 지향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례조사 및 기존 공간의 현황파악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도시의 지속적 성장의 기반을 제공하기 위하여 남강의 수변공간에 관한 개선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첫째, 도시 수변공간에 관한 정의와 수변공간의 일반적 특성과 기능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둘째, 남강의 수변공간에 적용이 될 수 있는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여 수변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공간의 역사적, 공간적 상징성이 있는 지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지역의 공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물리적 요소를 하드웨어(hard ware)로 분류를 하였다. 문화를 새로이 창출하거나 기존의 지역 문화의 발전을 통하여 문화적 이슈를 만든 요소와 도시의 환경재생을 위한 구성 부분의 조사, 도시의 계획적 심미성에 관한 판단과 조사, 새롭게 조성된 경관이 공간에서 차지하는 활용적, 조형적 경관성은 어떤지에 관한 조사를 통하여 도시의 문화 콘테츠 요소를 소프트웨어(Software)적인 부분으로 분류하였다. 조사된 사례 지역의 효용적 가치를 정성적 평가를 통해 분석을 실시하여 사례 지역이 지닌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진주 남강 수변공간과 사례조사를 통해 나타난 사례와 남강의 현황을 비교하여 남강의 포지셔닝을 파악하여, 진주 남강의 현재의 위치와 사례조사를 통해 나타난 부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mprovement plans of the waterside area of Namgang to provide a basis for continuous development of Jinju city based on the problems that appeared in case research and investigations on the status of existing space, in order to aim for a waterside area that could support cultural contents and efficient space utilization through Namgang, which is a representative symbol of Jinju, and its waterside. First,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e definition of the urban waterside area as well a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waterside were enforced to present an improvement direction. Second,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Namgang waterside area were investigated to examine whether an area centered around a waterside could have a historical, spatial symbolism. Research on factors that created new local culture or those which brought upon cultural issu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existing local culture, research on components for urban environment regeneration, research and judgment on aesthetic appreciation of aesthetic standards instead of the intentional scenery made by the city, research on the scenery of the existing or newly created landscape in that space were done. Unlike investigations of hardware factors, software parts and types of the city were the standards for studying how contents-centered factors are being achieved in the city, and how much their usefulness was. Analysis was done through qualitative evaluations. Lastly, the case in the case report on Jinju Namgang River waterside was compared with the current status of Namgang to understand the positioning of Namgang and through the current position of Jinju Namgang and case research, an improvement direction was proposed.

      • KCI등재후보

        조형발상 집단과 평가집단간의 이미지평가 비교 연구

        최길동,곽봉철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8 No.1

        The definition of formative in design is extremely important. Formative is the result of the best inspiration that a design can enjoy. This dissertation compares how the formative inspiration which is the result of a designer's inspiration is evaluated by the evaluators. In the evaluation analysis of the compared images, analysis has been made on the conformity and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purpose is to increase the consumer's preference of a product through formative when a designer designs in the future. Moreover,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targeted to be used to determine the design education necessary for formative inspiration as well as to find the measures to utilize them. The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image of a designer and a consumer is to be distinguished and by studying the connectivity and the differentiation of image evaluation of the two groups, that is, the designer and the evaluation group, it is to be applied in formative design education.

      • KCI등재

        도로환경개선을 위한 공공디자인 연구 -노점상을 중심으로-

        최길동,한경돈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1

        Public design studies the urban environment of public spaces from the perspective of pedestrians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life. Issues that negatively impact the use of public spaces and public facilities should be rationally managed. One of these issues impacting public spaces is the physical clash of the street vendor stalls and the pedestrian walking experience. Vendor stalls surrounding store fronts or located in traditional markets provide obstruction to both pedestrian walking range as well as city aesthetics. Therefore, this study observes theories and case studies of street vendors in and outside of Korea by surveying various regions to uncover underlying issues. Through pilot studies and surveys on street vendor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street vendors should be given restricted guidelines for operation and design. Street vendors should be restricted to a designated area in which to operate and provided consequences for occupying the sidewalk. The vendor stalls in the traditional market should be limited to 1.5m x 1m in dimension so that pedestrians can easily move left and right of the stalls. There should be guidelines to how the stalls should be designed in terms of color and shape, and these guidelines should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o better fit the city aesthetics. The stalls can serve as advertisement for the city’s history, culture, and tourism after their operating hours. Other restrictions can include restricting operating hours, regular sanitation and security check, fees for occupying the road, licensing, and policing restricted areas. 공공디자인은 공공장소에서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보행자의 관점에서 공공공간과 시설들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합리적으로 운영 관리하여 보다 나은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그러나 도시공간에서 상점가나 재래시장 주변에 있는 노점상의 경우 보행자의 통행공간에 불편을 주고 있어 도시미관과 보행권 확보 측면에서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점상에 관한 이론적인 내용을 검토하고, 국내외 노점상에 관련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하나의 도시에서 현장실태조사를 실시하고 노점상에 관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노점상에 관한 선행연구와 현장실태조사를 통하여 도시의 노점상은 일정한 공간을 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인도를 점유한 노점상의 경우에는 단속에 의한 입지제한을 통해 보행환경과 거리미관의 개선 효과가 동시에 있어야 한다. 재래시장 내에 있는 노점상의 경우에는 중앙에 1.5×1m 크기의 직사각형 공간을 지정하여 그 안에서 노점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좌·우로 시장 이용객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공공시설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규격화된 디자인으로 크기, 색상, 형태가 지역특색에 맞는 것을 정하여 도시미관에 어울리는 것이 좋으며, 노점판매대는 영업시간 이후에는 도시의 역사·문화·관광자원 등을 홍보할 수 있는 광고 장소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전통 재래시장 활성화 측면에서 재래시장주변 노점상은 외국인을 상대로 관광 문화상품으로 활용하여 지역의 명물시장 관광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다. 상업공간에서 원활한 노점상 운영관리는 시간 지정제 도입, 위생검사 및 안정성 확인, 도로점유율 지불, 디자인 형태와 크기의 규격화, 실명제 및 등록증 발급, 허용 및 불허 구간을 지정하여 관리 감독하는 것이 효과적인 운영방법이다.

      • KCI등재후보

        창의적 발상법을 활용한 인테리어디자인 산업 웹(web) 네트워크 개발

        최길동(Gil-Dong Choi)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5 No.3

        본 논문에서는 국내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에서 상권규모가 가장 큰 서울ㆍ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인테리어 콘텐츠가 개발이 되고 콘텐츠가 중소도시로 이동함에 따라 대상 지역의 인테리어디자인 활동에서 이루어지는 관련 산업들이 대상 지역에서 활성화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도시에 편중되어 있어 고비용 저효율의 많은 문제점을 가진 상황임 에도 지방 공사의 대부분을 시공을 하고 있다. 결국, 지식기반 사회에서 급속하게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기초적 장치조차 마련되어 있지 않는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에 지역에 차이를 가지지 않고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이 지출되지 않는 커뮤니티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인테리어디자인 산업네트워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기초적 사이트의 제작을 구성하였다. 시스템의 구성을 하는 방법적 접근으로서 창의적 발상을 시행하였으며, 창의적 발상을 유발하거나 개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 접근을 통하여, 물리적 제품만이 아닌 다양한 소프트웨어적 콘텐츠 개발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브레인스토밍, KJ법 등과 같은 창의적 발상을 통하여 웹상에 표현될 수 있는 계층 구조도의 구현을 통한 웹 네트워크 개발을 통하여, 중소도시의 열악한 인테리어디자인 산업구조의 변화를 줄 수 있고, 지역 간의 소통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는 매개체를 조성하여 다양한 방법적 접근 방법을 활용한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의 지역 간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웹 콘텐츠를 활용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개발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In this thesis, we confirmed that interior contents are being developed mainly in the Seoul and Gyeonggi-do region which marketing area is the largest in the domestic interior design industry. As contents shift to small and middle-sized cities, industries that are relevant to interior design activities in the target areas should be activated in those regions. However, instead they are concentrated in major cities while taking most of the local constructions which leads to many problems such as high expenditure and low efficiency. Eventually, the need for a community that does not have regional difference and unnecessary social expenditure has been raised in the interior design industry which does not have any basic device for adjusting to the rapidly changing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production of a basic site that could act as an interior design industry network has been organized. Creative thinking was enforced as a methodical approach for system organization. Through approaches using various methods for introducing or developing creating ideas, not only physical products but many kinds of software contents are also being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twork service system that applies web contents that could resolve the imbalance in interior design industries by using various methodical approaches. Creative thinking such as brainstorming and the KJ method could be used for realizing the web construction plan to change the inadequate interior design industry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to create a medium for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se regions.

      • KCI등재

        상업시설의 BIM 융합적 활용 라이브러리에 관한 연구

        최길동(Choi, Gil D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3 No.-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최근 건설IT 융합 분야의 화두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 전 세계 건설업계에 대두되면서, 국내에서도 그 실용성과 활용성에 대해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상업시설의 융합적 관점에서의 BIM 라이브러리에 대한 연구는 시급한 실정이다. BIM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가 건축 전 과정 동안 정보의 재활용과 관리를 통한 프로젝트의 가치 향상이기 때문에, 기획․설계․시공․유지관리 등 프로젝트의 모든 단계에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한다. 실내건축분야에 있어서는 관련 BIM 기술개발 및 활용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 및 내용, 범위는 다음과 같다. 즉, 선행 프로젝트로 진행 된 상업공간의 BIM 적용성 검토를 토대로 상업시설 실내공간계획 시 BIM 적용 프로세스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업공간(대형마트)의 실내공간계획을 위한 BIM의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내용,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BIM기반의 라이브러리DB의 구축을 통한 공간계획을 상업시설의 BIM 라이브러리 연구를 통해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객체 정보화, 객체 설계, 객체 데이터의 라이브러리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향후 상업시설의 실내공간계획의 BIM 라이브러리는 IT기술과의 결합으로 인한 융합적 통합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ank to the rapid advance of a digital technology and an information technology, there has been active research into process simulation-based project management job interlinking process management with 3D design also in construction management. Recently,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growing in size and complexity, the utilization of BIM is increased to improve effective management and integration of information.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has been focused on architecture,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field. However, There is a lack of BIM research on Interior Architecture fields. So It needs more research in this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through a previous study that review on BIM applicability of commercial building interior design, this study propose a process of MD Plan and utilization planning for commercial building Interior design based on BIM. As a result of this, BIM library, 3D simulation, automation for quantity estima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can improve efficiency of business and help decision making for MD plan. However, existing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s merely play the role of saving and sharing information through a field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is supposed to be utilized as a construction management alternative for d decision-making support while proposing another possibility to those engaged in related industries and academic circles. Also a temporary plan to apply the BIM simulations are not going well. The reason for the building of a library well enough and the DB is not made. Therefore, a temporary plan of the library database is the correct formulation needed.

      • KCI등재후보

        스쿨존 환경개선을 위한 디자인서비스 제안

        최길동(Gil-Dong Choi),김영미(Young-Mi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8 No.3

        스쿨존은 초등학생들의 안전한 통학을 위하여 학교를 중심으로 일정한 영역을 정한 것이다. 스쿨존의 영역에는 교통안전 시설과 환경시설물, 보호시설물 등을 설치하여 어린이들에게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에 대한 교육을 학습하기 위함이다. 스쿨존 내 시설물을 디자인하고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갖기 위해서 어린이들의 행동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시설물을 설치하여 스쿨존의 환경을 개선하고자 한다. 스쿨존 시설물 환경이 운전자의 운전습관에 영향을 줌으로서 운전자들에 대한 운전습관을 개선하고 스쿨존의 안전사고를 해결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주안점이 있다. 스쿨존 시설현황과 스쿨존에서의 어린이 교통사고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디자인개선을 위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조형적인 측면, 색채적인 측면, 재질적인 요소들을 디자인개선안의 측면에서 제안하는 것으로 연구를 하였다. School zone refers to certain territory surrounding the school for safe commut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purpose of school zone is to prevent any accident and practice traffic safety education by installing traffic safety facilities, environmental facilities, and protective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hildren’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design facilities with spatial efficiency for building of optimal facilities and improving of school zone environment. This study seeks to solve the issue of traffic accidents of school zone by enabling the school zone facilities to improve driving habits of drivers. Current facilities and children traffic accidents within school zone were studied to analyze problems for improvement of design. The proposal for improvement of design presented solution in the aspects of shape, color, and material of facilities.

      • 가상시스템(WEB 3D)을 이용한 인테리어 디자인에 대한 고찰

        최길동 ( Gil Dong Choi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04 정보디자인학연구 Vol.7 No.-

        In an imaginary space design architectural modeling is an essential part, but it is generally difficult for designers to understand current architectural modeling because of the specialty and complexity. Thus it interrupts the imaginary space design. Therefore it is demanded to make the way of modeling the structures for the imaginary pace easily and effectively. In this research the way of modeling exterior of buildings by automatism will be investigated. It is suggested to develop the language of describing an imaginary structure and then express the exterior of buildings and make an instant modeling in a real time when requesting the expressed buildings. There are two ways of planning 3d structures, which are drawing directly on the 2d instrumental drawing, and using CAD tool. In recent studies methods from drawing to constructing are progressing through the modeling based on Object. Despite these studies the way of making models in real by minimizing them is mainly used in practical business. The reason is that expressing method of 3d cad system is ultimately 2d based on screen and insensible. In this research architectural modeling process will be naturally moved into 3d space by using imaginary system, 3d display table and offer a computing environment suitable for practical field.

      • KCI등재

        실내공간계획을 위한 BIM기반의 가구 라이브러리 기초연구

        최길동(Gil Dong Choi) 한국가구학회 2016 한국가구학회지 Vol.27 No.3

        Recently,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growing in size and complexity, the utilization of BIM is increased to improve effective management and integration of informatio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has been focused on architecture,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field. However, There is a lack of BIM research on Interior Architecture fields. So It needs more research in this area. Through a previous study that review on BIM applicability of building interior design, this study propose a process of Plan and utilization planning for building Interior design based on BIM. As a result of this, BIM library, 3D simulation, automation for quantity estima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can improve efficiency of business and help decision making for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