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D CQT 심전도 영상을 이용한 운전자 식별 시스템

        최규호(Gyuho Choi),반성범(Sung Bum Pan)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1 No.11

        차량 내 · 외부의 보안이 강조되면서 생체신호를 이용한 운전자 식별 시스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신체 내부에서 전기생리학적 신호로 발생하는 심전도의 1D 데이터를 2D CQT 영상으로 변환하여 운전자를 식별한다. 운전자 식별 시스템은 운전자로부터 취득된 심전도에서 1D 신호의 잡음 제거를 위한 전처리과정, 특징 추출을 위한 기준점 분할 과정, 2D CQT 영상 변환 과정, CNN에 의한 식별 과정으로 구성된다. 실험 결과, 휴식, 시내, 톨, 고속도로 주행 상태에서 평균 식별 정확도가 2D 스펙트로그램보다 0.9%, 2D 스칼로그램보다 13.3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As security is emphasized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research on driver identification system using bio-signals is being studied. In this paper, it converts 1D data of an ECG generated as an electrophysiological signal inside the body into a 2D CQT image and identifies the driver. The driver identification system consists of a preprocessing process for noise removal of the 1D ECG signal acquired from the driver, a fiducial point segmentation process for feature extraction, a 2D CQT image conversion process, and an identification process by CN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identification accuracy was 0.9% better than the 2D spectrogram and 13.3% better than the 2D scalogram in rest, downtown, toll, and high way driving state.

      • 유아를 위한 교육용 AR 어플리케이션의 설계와 구현

        김초롱 ( Chorong Kim ),신진섭 ( Jinseop Shin ),최규호 ( Gyuho Choi ),박은주 ( Eunju Park ),임한규 ( Hankyu L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2

        교육의 질이 향상됨과 동시에 학습 콘텐츠의 질 역시 향상되고 있고 어플리케이션, AI, AR 등 다양한 기술들과 접목된 다양한 교육 방식들이 존재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의 기술 발달과 보급률 증가에 따라 다양한 기술들과 접목된 교육용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접근 또한 쉬워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아의 학습 능력을 조사하여, 단어 학습에 있어 의미파악, 단어 인지, 바른 발음 지도 등을 길러 줄 수 있도록 AR 기술을 접목한 교육용 AR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은 유아의 인지와 학습 방법을 토대로 하여 바른 발음과 철자를 지도하고, 단어 학습에 있어 낱말이 가진 의미파악을 도와주며, 반복학 습을 통하여 단어를 인지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논문의 어플리케이션은 AR 기술을 융합하여 이미지만을 사용한 교육보다 쉽게 의미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지 능력도 상승시켜 줄 것이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