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강공원 혼잡도 측정 및 시각화 시스템

        최고운(Gowoon Choi),안우석(Wooseok An),양준영(Junyoung Yang),김동호(Dongho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1 No.6

        최근 COVID-19로 인하여 실내 혼잡 시설을 기피하고, 야외 시설을 선호함에 따라 한강공원에 대한 시민들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On-Board 상에서 일정 시간마다 YOLO를 통하여 한강공원의 사람 및 텐트 객체를 인식 및 계수하여 실시간 혼잡도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한강공원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쏠림 현상을 방지하고, CX(Customer Experience)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Recently, due to COVID-19, citizens" demand for using Hangang Park has been increasing as they avoid indoor congestion facilities and prefer outdoor facilities. This study develops a system that provides real-time congestion by detecting and counting people and tent objects in Hangang Park through YOLO on the board. As a result, it aims to prevent the concentration of citizens using Hangang Park and improve Customer Experience (CX).

      • KCI등재후보

        노인의 사회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고운(Gowoon Choi),김신열(Shinyeol Kim) K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학리뷰 Vol.8 No.4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사회자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둘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14개 시·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노인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08명의 응답을 SPSS 22.0과 AMOS 2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최종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노인의 사회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사회자본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임파워먼트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노인의 임파워먼트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사회자본은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사회자본을 형성하여 새로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임파워먼트를 향상시켜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s, examining the mediation role of empowerment. Among 414 original responses, 408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using IBM SPSS Statistics 22.0 and AMOS 22.0. According to the results, social capital showed direct effects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Secondly, it was confirmed that higher awareness of social capital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empowerment. Thirdly, it was found that higher levels of empowerment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life satisfaction. Lastly, it was found that soci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empowerment.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highligh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support on elderly population. Practical and political efforts are suggested to assist elders form social capital, to ultimately increase empowerment for greater quality of life. The results support and expand the current literature to clarify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capital, satisfaction in life and impact of elderly population. Detailed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