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東國眞體 理論 再考

        崔慶春(Choi Kyeng-Ch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8 한국민족문화 Vol.31 No.-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so called 'Donggukjin Style' that appeared at the calligraphy field in the 18th century. The concept of 'Donggukjin Style' was developed based on 『Haengjang』, the annex of 『Hongdoseonsaengyugo』 written by Seongjae Heojeon (1797~1886) in the next generation, which is not directly related with Lee Gwang-sa as well as Lee Seo and Yun sun who are referred to as the leaders of Donggukjin Style. Therefore,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Donggukjin Style'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while bringing forth a counterargument against the argument that Donggukjin Style was formed during the switchover of Jo Maeng-bu Style to Wang Hee-ji, and has the identity of the 18th calligraphy field. From reciprocal comparison among the existing research outcomes, it was found that so called Donggukjin Style cannot become a unique noun by unifying Lee Seo's style, Yun Doo-seo's style, Yun Sun's style and Lee Gwang-sa's style into one because Okdong Style, that is, Donggukjin Style based on the school of Lee Hwang's Joseon Sung Confucianism changed in quality while transmitting to Yun Sun, and so called Donggukjin Style of Ming Dynasty style that was formed by Yun Sun through acquiring the technique of calligraphy using fakes of Wang Jeo at the beginning of the North Song Dynasty has more reinforced Joseon atmosphere of Han Seok-bong style. Hence, as for 'Donggukjin Style is a true calligraphy of the Joseon Dynasty' and 'Lee Gwang-sa's Donggukjin Style reinforces Joseon atmosphere of Han Seok-bong style' in the previous studies, the current study changed that the former as 'Donggukjin Style is a unique calligraphy of Joseon calligraphers' and the latter as 'so called Lee Gwang-sa's Donggukjin Style restored the trend to Wuijingobeop adding Seokbong Style.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claimed that changing the concept of so called Donggukjin Style that has been beautified by the former researchers as the return to Wang Hee-ji Style, restoration of pure spirit of calligraphy and the presentation of reformative spirit of calligraphy to Lee Sec's Okdong Style, Yun Sun's Baekha Style and Lee Gwang-sa's Wongyo Style can not only expand the aesthetic range of calligraphy and characteristic beauty of individual calligraphers in the 18th century calligraphy field, but also provide a true clue for the calligraphy theory of Kim Jeong-hee in the 19th century and his unique Chusa Style.

      • KCI등재

        朝鮮後期 書藝論의 一局面 - 李匡師, 姜世晃, 金相肅을 中心으로

        최경춘(Choi Kyeng-chu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5 동양한문학연구 Vol.21 No.-

          朝鮮後期 書壇에 등장한 주목할만한 書論은 당대까지 유행해 오던 松雪體나 石峯體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書論을 전개한 서가로는 李匡師, 姜世晃, 金相肅을 들 수 있다. 이들은 脫俗的이고 審美的 的인 趣向의 서체를 追求하였으며 모두가 왕희지의 書法을 표준으로 삼아서 학습하였다. 그 중에서 李匡師는 董其昌의 서법을 개성화시켜 圓嶠體를 창안하였고, 姜世晃은 米?과 趙孟? 서법을 가미하여 豹菴體를 창안하였으며, 金相肅은 鍾繇의 서법에 경도되어 稷下體를 창안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李匡師, 姜世晃, 金相肅의 書論에서 李匡師는 規矩의 外形의 模寫를 통해 創新에 이르는 길, 즉 ‘法古’를 통한 ‘創新의 길’을 역설하였는바, 臨書는 철저하고 精密히 해야 하며 법첩에 내포된 서가의 뜻과 기상을 파악하여 이를 자유롭게 파악할 수 있는 경지에 이르면 단순한 形似에서 벗어나 創新에 이른다는 法古創新論이다. 그리고 姜世晃은 글을 쓸 때 得心應手하는 마음의 자세를 갖추고, 고인의 글씨를 대할 때 먼저 그 神韻을 터득해야 함을 강조하여 形似를 하되 그 외형에 집착하지 않고 궁극적으로 그 形 속에 들어있는 神韻을 체득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僞作法帖을 임모하는 弊端을 극복하기 위한 그 대안으로 古人 書의 眞意를 담고 있는 가까운 시대의 書를 학습하는 神韻 중시의 臨書探古論을 설파하였다. 金相肅은 書家의 마음속에서 우러나는 筆劃을 중시하여 筆才의 高下를 막론하고 작가의 마음에서 배태된 心劃이 있어야하며, 바람직한 心劃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마음을 바르게 하여야하며 정밀하고도 부단한 학습을 통하여 작가의 내면세계가 서론을 통해 온전히 전달되는 경지에 일러서야 서법이 완성된다고 주장하여 心劃을 중시하는 입장에서 手隨心運論을 전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development of calligraphy style and theory in chosun latter dynasty, especially the theories of Lee Gwang-sa, Gwang Sei-hwang and Kim Sang-suk who took an unique approach to that. All their contemporary calligraphers were in pursuit of unworldly and aesthetic style instead of uniform Songseokche or Seokbongche that were widespread in the preceding generation, and they tried to study in accordance with Wang Hui-ji"s Beopcheop. Specifically, Lee Gwang-sa created Weongyoche by making Dong Gichang"s calligraphy more unique, and Gang Sei-hwang created Pyoamche by mixing the calligraphy of Mibul and Jo Mang-bu. Kim Sang-suk created Jikhache under the influence of Jong Yo.   Lee Gwang-sa suggested how to attain Changshin(creation) through Gyugu"s Hyeongsa(resemble a form), and he put stress on the way of Changshin(creation) through Beopgo(tradition). And he advocated Euigi (spirits) and Beopgochangsinron(the theory of creation through tradition), claiming that Imseo(calligraphy which he or she copies) should be perfect and precise and one could achieve Changshin(creation) by making a liberal stroke. Gang Sei-hwang argued that one should put his or her focus on the heart and acquire the Shinwun(a spirit within mystery and high-mindness) of others" calligraphy instead of concentrating only on external shape. And he advocated Shinwun(a spirit within mystery and high-mindness) and Imseotamgoron(the theory of study through calligraphy which he or she copies), stressing the acquisition of calligraphy in the possible near past as a means to root out the evil impacts of fraud Beopcheop(a book for calligraphy which he or she copies). Besides, Kim Sang-suk placed an emphasis on heartfelt calligraphy. He believed that everybody should acquire Simhoik(a spiritual stroke), even if it"s not perfect, and he additionally advocated Sususimwunron(the theory of calligraphy skill follows a spiritual stroke), stating that calligraphy could be complete by making a heartfelt and accurate effort to express what it means.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배와 김상숙의 직하체(稷下體)와 시 일고

        최경춘 ( Kyeng Chun Choi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70 No.-

        배와 김상숙(배窩 金相肅)은 18세기에 활동했던 문인이다. 이 시기는 조선조 고유의 문화적 정체성을 수립하려는 주체적인 정신이 발아하였고, 특히 실학(實學)의 태동으로 평등과 자주, 그리고 반봉건의 사조가 팽배한 시기였다. 아울러 문단과 예술계에서는 천재성을 지닌 문인 예술가들이 등장하여 전대와는 다른 그들만의 색채를 당당하게 표출한 시기이기도 하다. 김상숙의 직하체는 예서(隸書)와 해서(楷書)를 중시한 학습으로부터 시작해서 서가들 각자의 마음속에서 우러나는 필획(筆확)을 강조한 심획(心획)으로의 승화과정을 거쳐, 손이 마음을 따라 움직여야 하는 수수심운(手隨心運)을 통해 창안되었다. 직하체의 특징은 왕희지(王羲之)와 종요(鍾繇) 서체에 비견할 정도로 외형적인 선조(線條)가 절제되고, 자구(字軀)가 아담하며 간결하여 정제미(精製美)와 내재미(內在美)가 두드러진다고 하였다. 이러한 직하체는 김상숙이 당시 위진고법(魏晉古法)을 통한 필법개선의 의지가 강했던 서단의 분위기 속에서 전통필법에 근거하여 개성적인 서체를 이루어 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김상숙의 시세계는 첫째, 관직사회의 부패 때문에 자연에 대한 동경심과 극복할 수 없는 시대상황이 그로 하여금 자연으로의 회귀를 생각하게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주변사물을 소재로 한 작품은 우선 그가 대상을 자세히 관찰하여 사물의 진면목을 그려냈는데, 특히 「토호필가(兎毫筆歌)」와 같은 시는 붓의 특성을 자세히 관찰하고 묘사하여, 심획으로 승화시킨 직하체 창안에 근간이 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셋째, 관직생활에서 외직을 선호하고 예술을 동경하여 세상을 유람하면서 그 소회를 밝힌 그의 기행시를 통해 부조리한 현실과 대면한 18세기 지식인의 내면적 갈등을 엿볼 수 있었으며, 자연동경이나 초야은일(草野隱逸)은 그의 직하체 창안의 기저(基底)로 작용되어 결국 예술적 승화라는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Theories on the calligraphy Kim Sang suk had follow up calligraphy style on the squar style and having not copying form but focused meaning thorougly. specially, It had a continual research on adopt as normal that Jhong-yo`s squar style. Kim Sang suk`s calligraphist has to write from his heart regardless of the class in order to have the rightattitude in writing, one should have right kind of mind by studying constantly and thoroughly so that he can reveal his inner world into his calligraphy. This is his theory that says ``write calligraphy from the teart`` Kim Sang suk`s and their achievement of new calligraphy styles have brought out the glorious days for the calligraphy in the 18th century. They took Zhong yao(鍾繇) and Wang xi-zhi(王羲之) as the chief model for them to study on and accomplished the new calligraphy styles of their own by reviving the old styles with creativity and new spirit. Their independent art activities have led de-standardization de-regularization de-formalization out of the conventional viewpoints that used to emphasize the outward rules and formality in calligraphy and they suggested a new viewpoint of aesthetics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the mind of calligraphist. As we know in Kim Sang suk`s poetic world, he entered into the official life to realize his ideals, but he was very doubtful about government systems because of the corruption of the officers, and uncertain vision of rising in the world. Eventually, his yearn for nature arose in his mind of itself, and with returning to the nature and living there freely, he had many honorable aspects, which assimated with surroundings and observed all the things closely. His concern on things was expanded and assimilated the customs through traveling to many villiages. Such attitudes in his study was connected with the recognitions of a realistic school.

      • KCI등재

        秋史金正喜의 學問論

        최경춘(Choi, Kyeng-Chu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8 No.-

        본고는 秋史金正喜(1786~1856)의 학문론을 고찰하였다. 당시 대부분의 실학자들은 經世致用, 利用厚生, 實事求是의 세 부류로 그 들의 의견을 주창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實事求是派는 明末淸初에서 淸中朝에 걸쳐 中國에서 발전한 經世致用의 學問내지는 考證學의 영향을 받아들이면서 고증을 위주로 하는 학문태도로 우리 민족의식을 일깨우고자 했다. 그 중 대표적 인물인 金正喜는 儒學·金石學·考證學·訓詁學·佛敎學者였으며 탁월한 書藝家였다. 그는 이른바 전시대 實學의 주체로 일컬어지는 楚亭朴齊家(1750~1815)의 뒤를 이었으며, 직접 燕行하여 覃溪翁方綱(1733~1818) 藝臺阮元(1764~1849)을 비롯한 수많은 淸當代碩學들과 交流하였는데, 특히 옹방강의 漢宋不分論과 완원의 實事求是論을 적극 수용하였다. 이와 같이 청조의 이론적 근거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김정희의 사상은 조선후기 실학사상의 공통적 특징으로 나타난 비판정신과 실용적 관심에서 우러나온 實際性과 博學性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추사 학문의 본질은 바로 經學이며, 그 목적은 聖賢之道의 本源을 窮究하여 實踐躬行하는데 두고 있으며, 그 학문의 방법은 存古精神을 바탕으로 한 折衷性그리고 平心하여 一切의 문호를 떠난 綜合性을 지니고 있다 하겠다. 그리고 그의 학문적 태도는 분명한 목표의식을 가지면서, 학문을 위한 학문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儒學에서 실천이 강조되는 점과 같이 그는 金石學에 있어서 과학적인 考證性을 들어내었다. 또한 藝術에 있어서도 形似보다 品格을 重視하는 보다 차원 높은 作品性을 발현하였다. 그리고 추사 학문론 연구의 과제로는 그의 학문적 이론이 중국의 學問論을 수입하였다는 점에서 무조건 그 독창성을 인정하고 찬양하기 보다는 좀 더 균형 잡힌 판단이 필요한 점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추사는 方法論的으로 중국 학문을 우리의 학문과 折衷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기존과는 또 다른 自己化를 實現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academic theory of Chusa Kim Jeong-hee (1786~1856) who sublimated practical science academically through ideology based on Spirit of Jongo(valuing the old things) during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periods of the Joseon Dynasty. At that time, most realists claimed their opinions by dividing into three classes; Gyeongsechiyong, Liyonghusaeng and Silsagusi(Oriental pragmatism), among them, the school of Silsagusi tried to enlighten the national spirit focusing on historical investigation while accepting the learning of Gyeongsechiyong that developed in China from the end of the Ming Dynasty to the middle of the Qing Dynasty, or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Among them, Kim Jeong hee was a representative figure as a scholar in Confucianism, epigraphy,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exegetics and Buddhism and excellent calligrapher. He succeeded Chojeong Park Je-ga(1750~1815) who is referred to as the main body of realism of the entire times, and exchanged with so many erudite scholars of the Qing Dynasty including Damgye Ongbanggang(1733~1818) and Yedae Wanwon(1764~1849). In particular, he actively accepted the Hansongbulbun theory of Ongbanggang and the Silsagusi theory of Wanwon. Like this, Kim Jeong-hee's ideology based on the theoretical grounds of the Qing Dynasty clearly present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realism ideology of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such as critical mentality, actuality originating from practical interest and erudite features. The essence of Chusa's teaching is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the purpose is Silcheongunghaeng (practice-is-best theory) by seeking the origin of Seonghyeonjido(the teaching of the sages). The method has compromise and synthetic features regardless of a great writer based on Spirit of Jongo(valuing the old things). In addition, his academic attitude has a clear spirit of goals and focused practice, not staying as learning for learning. He emphasized the scientific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for epigraphy and focused on dignity for arts. However, it was found that although his ideologically biased thought toward China in his academic theory enabled to import China's learning and could be compromised methodologically, but failed in self-actualization and making homemade theory.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18세기 서예론의 배경과 전개양상 일고 -이광사(李匡師), 강세황(姜世晃), 금상숙(金相肅)을 중심으로-

        최경춘 ( Kyeng Chun Choi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3 No.-

        본고는 18세기 서단의 대표적 인물인 圓嶠 李匡師(1705~1777), 豹菴 姜世晃(1713~1791), 배窩 金相肅(1717~1792)의 서론을 검토하여 18세기 서예론의 배경과 전개양상을 고구해 보았다. 먼저 18세기 서예론의 성립배경으로, 18세기 書風에서 이전 시기 서예술의 추이를 살펴보면, 한호의 석봉체는 힘찬 필법으로 여러 묘법을 두루 겸비했으나 정신성의 부재로 말미암아 서단에서 퇴조되었다. 그 후 眉수 許穆은 「衡山神禹碑」를 근간으로 古篆體를 창안하였다. 특히 허목의 서체는 그에게 사숙한 玉洞 李서에게 영향을 미쳤는데, 이서는 「筆訣」을 지어 한국서예사상 최초로 書論을 남겼으며, 王羲之의 學書를 바탕으로 玉洞體를 완성하였다. 이러한 옥동체는 그 후 恭齋 尹斗緖에게 전하였는데, 이는 白下 尹淳으로 이어져 당대에 일세의 변화를 일으켰다. 그리고 윤순의 白下體는 이광사에게 그 영향을 미쳐 드디어 강세황, 김상숙 등의 서가들의 개성적 서체가 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18세기 서예론의 구체적 전개양상으로, 이광사는 ``法古``를 통한 ``創新의 길``을 역설하였는바, 臨書는 철저하고 정밀히 해야 하며 법첩에 내포된 서가의 意氣를 통한 法古創新論을 중시하였다. 강세황은 글을 쓸 때 得心應手하는 마음의 자세를 갖추고, 그 외형에 집착하지 않고 궁극적으로 그 形 속에 들어있는 神韻을 체득하는 臨書探古論을 설파하였다. 김상숙은 서가의 마음속에서 우러나는 필획을 중시하는 心화을 강조하여, 작가의 내면세계가 서론을 통해 온전히 전달되는 경지에 이르러야 서법이 완성된다는 手隨心運論을 전개하였다.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each theory of calligraphy of the leading calligraphists in the 18th century such like Wongyo Gwang-sa Lee(1705~1777), Pyoam Se-hwang Gang (1713~1791), Baewa Sang-suk Kim(1717~1792) and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define each theory of calligraphy with their respective personality. Kwang-sa Lee had completed his style by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researching on the various monuments done by xi-zhi Wang(王羲之). As part of emphasizing the revival of xi-zhi Wang style, hestudied the basic of calligraphy earlier and wrote calligraphy that can be a match for that of xi-zhi Wang. Although he took example by xi-zhi Wang, he had studied on the various stone monument of Han(漢) and Wei(魏) dynaste faithfully, who were the grounds of the style and worked on the conventional patterns and the strength in it to accomplish his own unique style. Se-hwang Gang viewed that the square style is much closer to the semicursive style than cursive style. Also if anyone sticks to only the square style, his style could be stiffened with limited sight, while one who studies the semicursive style will gain extended sight through the flexibility and space perception given by the writing speed. So he believed if one does the square style in the way of the semicursive style, he would secure broad and firm strength in his calligraphy. Therefore Se-hwang Gang claimed that all the calligraphy methods are actually identical and it`s unnecessary to divide between the semicursive style and the cursive style. Sang-suk Kim didn`t imitate other styles but had a thorough research on the collections of yao Zhong(鍾繇) such like xuanshibiao(宣示表), jianjizhibiao(薦季直表), and limingtie(力命帖) by imagining the ancient ethics in those works. At result, he accomplished a style called ``Jikha`` which has thin and strong writing pattern with less streaks and moderate phrases. His style contains simple but sharp ethics in it and features thin squares and hemistiches mainly revealing the loftiness of a classical scholar.

      • KCI등재

        배와 김상숙(金相肅)의 직하체(稷下體)와 서예론(書藝論)의 특징(特徵)

        최경춘 ( Kyeng Chun Choi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 漢字 漢文敎育 Vol.17 No.-

        본고는 18세기 서단의 대표적 인물인 배窩 金相肅(1717~1792)의 『배窩遺稿』와 『百一集』의 「筆訣」을 중심으로 그의 서체와 서예론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김상숙의 書體成立 배경에서 그는 다른 사람의 서첩을 모방하지 않고 고인의 筆意를 상상하여 붓끝에 옮겨 내는 방법으로 鍾繇의 「宣示表」,「薦季直表」, 「力命帖」 등의 法帖을 철저하게 意臨하였다. 그 결과 필획이 가늘면서도 굳센 心畵을 바탕으로 線條가 절제되고 字軀가 아담한 稷下體를 이루어 낸다. 이는 간결하면서도 날카로운 筆意를 內含하고있는 楷書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선비의 고고함이 그대로 드러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그는 書家의 마음속에서 우러나는 필획을 중시하여 筆才의 高下를 막론하고 작가의 마음에서 배태된 心畵이 있어야 하며, 바람직한 심획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마음을 바르게 하여야 하며 정밀하고도 부단한 학습을 통하여 작가의 내면세계가 서론을 통해 온전히 전달되는 경지에 이르러야 서법이 완성된다고 주장하여 심획을 중시하는 입장에서 手隨心運論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김상숙의 개성화 된 서론과 서체의 창안으로 18세기 서단이 백화만발하게 된다. 이는 서예의 반성적 전형을 왕희지로 삼고, 주체적 창조정신과 생명정신을 예술창작의 기저로 삼아, 서예의 체질을 개선하는 법고주의 발현에 의한 서예의식을 고취시켰다. 이러한 주체적 예술 활동은 서예의 외재적 객관규율을 중시하던 기존의 미학관에서 脫規範化 · 脫規定化 · 脫形式化를 선도하면서 순수한 자기 심정의 眞을 중시하는 미학관을 새롭게 제시했다.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each theory of calligraphy of the leading calligraphists in the 18th century such like Baewa Sang-suk Kim(1717~1792) and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define each theory of calligraphy with their respective personality. Sang-suk Kim didn`t imitate other styles but had a thorough research on the collections of yao Zhong(鍾繇) such like xuanshibiao(宣示表), jianjizhibiao(薦季直表), and limingtie(力命帖) by imagining the ancient ethics in those works. At result, he accomplished a style called ``Jikha(稷下)``which has thin and strong writing pattern with less streaks and moderate phrases. His style contains simple but sharp ethics in it and features thin squares and hemistiches mainly revealing the loftiness of a classical scholar. The calligraphy in the 18th century mostly features the styles Sang-suk Kim was specially motivated by the yao Zhong style from the ancient styles of Wei and Jin which were chiefly led by xi-zhi Wang and yao Zhong. Based on that, he accomplished his own style of swift movement in calligraphy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calligraphy of the age. The theory of calligraphy by Sang-suk Kim emphasized that a calligraphist has to write from his heart regardless of the class in order to have the right attitude in writing of mind; one should have right kind of mind by studying constantly and thoroughly so that he can reveal his inner world into his calligraphy. This is his theory that says ``write calligraphy from the heart``. Sang-suk Kim`s achievement of new calligraphy styles have brought out the glorious days for the calligraphy in the 18th century. They took xi-zhi Wangas the chief model for them to study on and accomplished the new calligraphy styles of their own by reviving the old styles with creativity and new spirit.

      • KCI등재후보

        豹菴 姜世晃의 書藝論 一考

        최경춘(Kyeng-chun Choi)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7 동양한문학연구 Vol.24 No.-

          본고는 18세기 서단의 대표적 인물인 豹菴 姜世晃(1713~1791)의 『豹菴遺稿』와 「書論」을 중심으로 그의 서체와 서예론의 특징을 고찰하였다.<BR>  강세황의 書體成立 배경에서 그는 楷書가 草書보다 行書에 가깝다고 보았다. 또한 楷書만 학습을 하게 되면 한정된 시야로 경직된 자형에 국한되기 쉬우나, 行書를 학습하면 柔軟性과 筆速에 의해 생긴 空間知覺力이 書寫者의 視野를 넓혀주므로 行書法으로 楷書를 쓰면 시원하고 튼튼한 筆勢를 確保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강세황은 서법이란 일치하므로 해서와 행?초서는 나눌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여 그는 書體變移에 있어 초서와 해서의 중간단계인 行書를 주력으로 써서 得意하였다. 강세황의 豹菴體는 왕희지와 왕헌지의 書法을 익히고 난 뒤에 원대의 조맹부 서체와 宋代 米?의 서체를 가미하여 유려하고 힘찬 筆?으로 형성되었다.<BR>  그리고 그는 僞作法帖을 임모하는 弊端을 극복하기 위한 그 대안으로 古人 書의 眞意를 담고 있는 가까운 시대의 書를 학습하는 神韻 중시의 臨書探古論을 설파하였다. 또한 그는 글을 쓸 때 得心應手하는 마음의 자세를 갖추고, 고인의 글씨를 대할 때 먼저 그 神韻을 터득해야 함을 강조하여 形似를 하되 그 외형에 집착하지 않고 궁극적으로 그 形에 들어있는 神韻을 체득해야 한다고 하였다.<BR>  이러한 강세황의 개성화된 서론과 서체의 창안으로 18세기 서단이 백화만발하게 된다. 이는 서예의 반성적 전형을 왕희지로 삼고, 주체적 창조정신과 생명정신을 예술창작의 기저로 삼아, 서예의 체질을 개선하는 법고주의 발현에 의한 서예의식을 고취시켰다. 이러한 주체적 예술 활동은 서예의 외재적 객관규율을 중시하던 기존의 미학관에서 脫規範化ㆍ脫規定化ㆍ脫形式化를 선도하면서 순수한 자기 심정의 眞을 중시하는 미학관을 새롭게 제시했다.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each theory of calligraphy of the leading calligraphists in the 18th century such like Pyoam Se-hwang Gang(1713~1791) and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define each theory of calligraphy with their respective personality.<BR>  Se-hwang Gang viewed that the square style is much closer to the semicursive style than cursive style. Also if anyone sticks to only the square style, his style could be stiffened with limited sight, while one who studies the semicursive style will gain extended sight through the flexibility and space perception given by the writing speed. So he believed if one does the square style in the way of the semicursive style, he would secure broad and firm strength in his calligraphy. Therefore Se-hwang Gang claimed that all the calligraphy methods are actually identical and it"s unnecessary to divide between the semicursive style and the cursive style. He enjoyed his best days as he mainly worked on the semicursive style in his calligraphy, which is in between the cursive style and the semicursive style. The Pyoam style by Se-hwang Gang formed a strong and elegant style by adding Meng-Fu Zhao(趙孟?) style of Ming dynasty and Fu Mi(米?) style of Sung dynasty after studying the style of xi-zhi Wang(王羲之) and xian-zhi Wang (王獻之) as well.<BR>  The calligraphy in the 18th century mostly features the styles Se-hwang Gang studied the collections of xi-zhi Wang and created his own Pyoam style(豹菴體) by adding the styles of Meng-Fu Zhao and Fu Mi.<BR>  The theory of calligraphy by Se-hwang Gang stressed that a calligraphist must be prepared with clear mind to do calligraphy by understanding the purpose fully. So he said when one learns the old styles he must learn to the mysterious energy in it and must not stick to imitating the outward alone, but he should first understand the true meaning in it so that his work will not end up in a mere forgery. And this is his theory that says "follow the old styles focused on the comprehension of the spirit and purpose in it".<BR>  Se-hwang Gang’s achievement of new calligraphy styles have brought out the glorious days for the calligraphy in the 18th century. They took xi-zhi Wangas the chief model for them to study on and accomplished the new calligraphy styles of their own by reviving the old styles with creativity and new spirit.

      • KCI등재

        인성교육 콘텐츠로서의 천자문

        최경춘(Choi, Kyeng-Ch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천자문 소재 한자(漢字)를 인성교육 콘텐츠라는 측면에서 탐색하는데 있다. 천자문은 인성교육 콘텐츠의 다양한 내용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는 인성교육 콘텐츠로서 활용 가능한 역사적인 사건을 비롯하여 단순한 자연현상, 정치제도, 인간생활, 인류도덕, 충효, 처신, 예악 등이 골고루 갖추어져 있다. 따라서 이 한 권만 읽으면 인성을 중시하는 현시점에서 우리 대학생들이 지녀야할 기본 소양이 다 갖추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인성과 한자학을 정의하고, 관련된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천자문의 내용을 1.자연, 역사, 생활, 제도. 2.인물, 정치, 인륜, 인성. 3.충효, 교화, 지리, 농사, 4.지혜, 처신, 학문, 예악, 송덕, 행동으로 분류하고, 인성영역에 해당하는 한자를 형성원리, 한자자원학, 한자자체학, 한자문화학적인 측면에서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천자문 소재 인성교육 관련 한자에서 ‘①누구나 허물이 있는 것이니 허물을 알면 반드시 고쳐야 하고, 사람으로서 알아야 할 것을 배운 후에는 잊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② 다른 사람의 단점을 말하지 말고, 자신의 장점을 믿고 자랑하지 말라. ③ 덕을 세상에 세우면 명예도 서게 되고, 몸가짐이 단정하고 깨끗하면 마음도 바르며 겉모습도 바르게 된다’는 의미의 배경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chinese characters in Chun ja mun in terms of personality education contents. Chun ja mun contains various of contents personality education. These include natural phenomenon, political institutions, human life, human rights, loyalty and filial duty, behavior, manners and vice, as well as historical events that can be used as personality educational contents. Therefore, at the time of the present of put emphasis on personality, It have the advantage of establishing a basic culture that our university students should possess. As a method of study, we define personality and chinese character study and integrated a previous study of related to. we classified the contents of the Chun ja mun into four categories 1.nature, history, life, system 2.person, politics, humanity, personality 3.loyalty and filial piety, education, geography, agriculture 4.wisdom, conduct, study, manners and vice, virtue, behavior At the same time, we analyzed chinese character that have meaning of personality in the side that formative principle, resources, its own, culture The result, we expressed background of these meaning in chinese character related to personality education Chun ja mun. The meaning is as follows. ①Everyone have faults, if we find ours, we must correct our faults and after learn humans duty, we must not forget to learned thing ②Don’t talk about people s faults, nor do say your own merits ③virtue leads to fame, right behavior make right mind and right one s appear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