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가구 유형별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비교연구

        천현숙,오민준,Chun, Hyeonsook,Oh, Minjun 한국주거학회 2013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4 No.5

        Because of rapid aging, housing stability of elderly household is becoming an important social problem.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people was 11.3% and that of the elderly household was 23.2%, about 407 million, in 2010. Yet, social policies for elderly people are focusing on the household who takes care of the elderly people, not on the elderly headed households. These policies fail to reflect the reality. Housing satisfaction of the elderly household is different based on the tenure type and the satisfaction can be further affected by the types of elderly household within the same tenure group. Thus, strengthening the policies for the elderly headed households as well as differentiating the policies based on the types of household is required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the elderly households. For the elderly household living in a rent house in a city, a housing voucher is needed and for the low income elders who own their houses, housing renovation is required. Public housing affects only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ingle elderly households, not for all elderly households probably because public housing does not meet the demand of the elderly households appropriately. Since the elderly households wanting to move is noticeably small, a policy that provides proper facilities within the elders' neighborhood is most necessary. Also, in order to lessen the burden of housing expenses of the elders with low income, a public housing policy, in which 2-3 people living together in one public housing, needs to be examined.

      • KCI등재

        공동주택 관리업체 선정방식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천현숙,Chun, Hyeon-Sook 한국주거학회 2012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3 No.2

        As the construction of multi-family housings, especially apartments, has been increased since 1970s, the multi-family housing becomes one of the main housing types in Korea. With the increase of multi-family housings, managing them becomes an important issue. Since 2010, the government has made a lowest price award system by a competitive bid compulsor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housing management systems. Although competitive bids were implemented, the maintenance company was finally selected by the price without any other consideration. Consequently, the quality of management service was not enhanc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scheme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system. In this study, the bidding data of "K-apt", the bidding method and the successful tendered price a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zing bidding materials, the proportion of applying a lowest price system was 67.7%. Also many diverse ways to select the best management company were used, but most of these ways were violate the law and guidelines of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It meant that the lowest price award system was not implemented by strict standards and didn't correspond with the needs of residents of apartment. This condition made the housing maintenance quality low and deteriorated the management industry development. To enhance this condition, a new standard to select the management company, which are included contents of quality of managing quality, management expenses and companies' soundness, is necessary.

      • KCI등재

        간접광고(PPL)의 차별적 규제에 대한 일반 시청자 인식 : Viewers’ perception of indirect advertising discriminatory regulation

        천현숙(Hyun Sook Chun),마정미(Jung Mi Ma) 한국광고PR실학회 2021 광고PR실학연구 Vol.14 No.1

        일반 시청자들은 과연 간접광고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이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간 설문조사를 해보았다. 조사 결과, 시청자들은 간접광고에 대해 잘 알고 있었고 주목해 보고 있었다. 그러나 시청자들은 간접광고를 불편하게 느끼고 있었다. 시청자들은 간접광고 자체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간접광고 규제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었다. 지상파방송에 더 엄격한 간접광고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답하였다. 절반 가까운 시청자가 그렇게 답하였다. 시청자가 지상파방송 간접광고 규제 완화 시 우려하고 있는 것은 프로그램의 선정·폭력성, 공공성 약화, 유료방송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지상파방송 간접광고 규제를 완화해야 하는 이유로 꼽은 것은 방송 광고 시장 활성화, 형평의 원칙, 시장경제 원리, 탈규제의 세계적 흐름이었다. 반대로 지상파방송 간접광고 규제를 완화하지 않고 계속 유지할 경우 시청자들의 우려는 방송사들의 경쟁력 약화였다. 그러나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지상파방송 간접광고 규제를 완화하면 안 되는 이유로 꼽은 것은 시청자 주권, 균형 발전이었다. 시청자들이 지상파방송 간접광고 규제 완화 조건으로 생각하는 것은 간접광고 수익을 방송 프로그램 질 올리는 데 투자하는 것, 시청 흐름에 방해되지 않게 자연스러운 장면에 간접광고가 노출되는 것이었다. 시청자들이 광고 수익 투자 우선순위로 꼽은 것은 공익 프로그램 제작 확대, 프로그램 질 제고, 시청자 모니터링과 피드백 강화였다. 방송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균형적 발전, 디지털 기술 등에 대한 투자는 그 다음 순위였다. 시청자들은 지상파방송 간접광고 규제를 어느 정도까지 완화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일까? 시청자들의 선택은 프로그램 시간의 6%였다. What are viewers thinking about indirect advertising? To solve this question, I did a real-time survey. As a result of the survey, viewers were well aware of and paying attention to indirect advertising. However, viewers were feeling uncomfortable with indirect advertising. Viewers were not only familiar with indirect advertising itself, but also about indirect advertising regulations. They replied that stricter regulations on indirect advertising should be relaxed for terrestrial broadcasting. Nearly half of the viewers answered so. What viewers are concerned about when deregulation on indirect advertising on terrestrial broadcasting is increasing violence, weakening of publicity, and negative effects on paid broadcasting. However, despite these concerns, the reasons for deregulation of indirect advertising on terrestrial broadcasting were revitalization of the broadcasting advertising market, the principle of equity, the principle of market economy, and the global trend of deregulation. On the contrary, if the regulations on indirect advertising for terrestrial broadcasting were not relaxed and maintained, viewers concerns were weakening of broadcasters competitiveness. However, despite these concerns, the reason why the regulation of indirect advertising on terrestrial broadcasting should not be relaxed was the sovereignty of viewers and balanced development. What viewers think as a condition for deregulation of indirect advertising on terrestrial broadcasting is to invest in indirect advertising revenue to improve the quality of broadcast programs, and to expose indirect advertising to natural scene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viewing flow. The top priority for investing in advertising revenue was to expand the production of public programs,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gram, and strengthen viewer monitoring and feedback. Reinforcement of the competitiveness of the broadcasting industry, balanced development, and investment in digital technology were ranked next. To what extent do viewers think they should ease the regulation of indirect advertising on terrestrial broadcasting? Viewers choice was 6% of the program time.

      • KCI등재

        대도시 아파트 주거단지의 사회자본

        천현숙(Hyeonsook Chun) 한국사회학회 2004 韓國社會學 Vol.38 No.4

        한국사회에서 아파트는 중산층의 주거로 정착되어왔으며, 지금까지 아파트 단지의 근린특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특성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는 아파트 단지 내에 다양한 계층의 사회적 혼합이 바람직한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평형이 입주자의 소득과 자산에 의해 제한되는 아파트의 특성상 평형의 혼합을 사회적 혼합의 형태로 볼 수 있다. 이를 실증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사회자본 개념을 도입하여 평형혼합이 다양하게 이루어진 단지와 동질적으로 구성된 단지의 사회자본을 비교하여보았다. 근린에서의 사회자본개념은 친밀도, 참여도, 공동체의식, 신뢰도의 하위개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단지구성 유형별 사회자본의 차이에서는 소형평형만으로 구성된 단지나 중대형으로 구성된 동질적 단지의 사회자본이 높게 나타났다. 이런 특성은 지금까지 아파트주거의 발전이 동질적 계층의 집단화를 지향해온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소ㆍ중형단지’보다는 ‘소ㆍ중ㆍ대형단지’의 사회자본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혼합의 가능성은 있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바람직한 주거공동체 구성을 위한 실증적 연구 필요성을 제시한 점에서 이 논문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partment has been developed as a settlement for a middle-income class in the Korean society. Previous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of an apartment prove some negative features. This study departs from the question whether ‘social mix’ in an apartment complex is desirable or not. The mixture of apartment sizes could be seen as social mix because the size of apartment unit depends on the residents’ income and asset levels. For an empirical research, we introduced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and compared its degree in various types of apartment complex: mixed sized and similar size. The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are intimacy, participation, sense of community and trust. The degree of social capital is higher in the similar sized apartment complex, such as small sized unit apartment or large sized unit apartment complex. However the degree of social capital of mixed size-apartment complex (small, middle, and large) is higher than that of ‘small or middle sized complex’ or ‘middle or large sized complex’. It means housing culture in Korea showing the social segregation. The neighborhood relationship and the degree of trust between residents are more desirable in the mixed size-apartment complex. The concentration of small sized or middle to large sized apartment units is not desirable. Therefore the most desirable composition of an apartment complex is the composition of small-middle-large sized units.

      • KCI등재
      • KCI등재

        고령 사회, 인쇄 광고에 나타난 노인의 모습

        천현숙(Chun, Hyun-Suk)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광고연구 Vol.0 No.114

        광고에서 노인은 아직도 소수에 지나지 않았다. 특히 여성, 외국인 노인은 소수 중의 소수였다. 양성평등 시대,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짚어 봐야 할 문제다. 노인은 노인 타깃 광고에 주로 등장했다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는 노인과 비노인 사이에 경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방증한다. 이것은 잡지 광고에 노인 등장이 드물다는 것과도 연관된다. 잡지 광고는 절반 이상이 패션, 스포츠, 화장품 광고임을 생각할 때 이러한 미의 영역에서 노인이 소외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타깃과 매체뿐 아니라 제품군에서도 경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 등장 광고의 절반이 관공서/단체 광고였다. 비록 모든 제품군에서 노인이 등장하여 노인은 노인 제품 광고에만 등장한다는 인식에는 변화가 엿보였지만 아직도 노인은 기관, 단체에서 펴는 정책의 대상으로서의 인식이 적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노인은 광고 속에서 더 이상 배경이 아니라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미지도 매우 긍정적이었다. 대부분이 행복하거나 전문가답고, 여유롭고, 활기찬 모습이었다. 노인은 이제 이른바 ‘뒷방 늙은이’가 아니다. 노인이 다른 연령층과 함께 등장하는 모습, 어울리는 모습이 많다는 것 또한 이것을 뒷받침한다. 하지만 청소년과 함께하는 모습은 볼 수 없다는 점, 외국인 노인은 어울리지 못하고 있다는 점들은 여전히 세대 간, 국적 간 간극을 드러내고 있었다. 노인들은 이제 가정이나 일터에 고정되어 있지 않았다. 이제 노인은 남·여, 내·외국인 할 것 없이 ‘뒷방’에서 나와 당당히 활동하고, 즐기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었다. 그러나 노인은 말이 없었다. 말을 하는 경우에도 10어절 이상인 경우는 없었다. 자신의 주장을 펴는 적극적인 모습보다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소극적 모습을 보여 주고 있었다. 이것은 노인이 사용하는 문장 유형의 대부분이 서술문이고 청유문, 명령문이 극히 적다는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말의 내용은 문제 해결, 민족/애국 등이 많았다. 노인을 이해하는 프레임이 이성적이고 계층적이라는 것이다. 노인을 지칭하는 호칭은 없는 경우가 절반이 넘었다. 노인이 아직 주체적인 존재로서 인정을 받지 못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호칭이 있는 경우 성명, 직책으로 불리는 경우가 나이든 사람이나 가족관계를 가리키는 일반명사보다 더 많다는 것은 노인이 주체적 존재로 인정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 There are still a handful of elderly people in advertising. Especially women and foreigner elderly were few in the minority. It is a problem that we should discuss in the era of gender equality and the multicultural era. It is also pointed out that the elderly appeared mainly in elderly targeted advertisements. This demonstrates the existence of a boundary between the elderly and the non-elderly. This is also related to the rarity of elderly appearances in magazine advertisements. When we consider that more than half of magazine advertisements are fashion, sports, and cosmetics ads, we can see that elderly people are being neglected in this beauty area. We were able to identify boundaries not only in the target and medium, but also in the product category. Half of advertisements for the elderly appeared in government/group advertisements. Although there is a change in the perception that elderly people appear in advertisements for elderly products, the elderly are still perceived as objects of policy by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However, the elderly were playing a leading role in advertising, not the background any more. The image was also very positive. Most were happy, professional, relaxed, and lively. The old man is not the so-called ‘back room old man’.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elderly people appear with other age groups, and there are many ways to match them. However, the fact that they can not be seen with teenagers and the fact that foreign elderly people do not fit is still revealing the gap between generations and nationalities. The elderly were no longer fixed at home or at work. Now, the elderly man and woman from the ‘back room’, showed me the activity of being proud and enjoying. However, the elderly person showed only his speech without words. There was no case of more than ten words even if we spoke. It shows the passive aspect that indirectly conveys rather than the positive aspect of opening his claim. This can be confirmed by the fact that most of the sentence types used by the elderly are statements, and there are very few statements or statements. The contents of the words were problem solving, ethnicity/patriot. The frame for understanding the elderly is rational and hierarchical. There are more than half of the titles that refer to the elderly. The lack of a title indicates that an elderly person is not yet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entity. However, in the case of a title, the name of a senior citizen is more likely to b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entity than a general noun indicating an older person or family relationship.

      • KCI등재

        제약 · 의료 광고에 비춰진 우리나라 노인 정체성 변화

        천현숙(Chun, Hyun Suk)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광고연구 Vol.0 No.119

        제약/의료 광고 등장인물 중 노인 비율이 인구 중 노인 비율의 절반가량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은 우리 사회 노인 소외를 잘 보여 준다. 광고 속에서 노인은 주로 비직업인이나 주부, 단순 사용자라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노인의 양적 향력은 비약적으로 커지고 있지만 아직 전문성 등 질적 향력 면에서는 인식이 미미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과거에는 노인이 문제 해결, 발표자 유형 광고, 성능/기술 메시지에 자주 등장한 반면, 최근엔 드라마, 생활 단면 유형 광고, 타인 관계 메시지에 자주 등장했다는 것은 과거엔 노인이 문제나 불편을 안고 있는 존재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엔 생활 속에서 함께 어울리는 존재, 관계를 맺어야 할 대상으로 더 많이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증언, 실연 유형에 노인이 전혀 등장하지 않았다 는 것, 말이 없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는 것, 말을 해도 의문이나 제안 형태보다 서술 형태가 많았다는 것, 최근 들어 정보 제공자보다 정보 수용자가 더 많아졌다는 것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인 발언권은 예나 지금이나 크지 못하다는 것을 방증한다. 특히 노인이 사용하는 언어가 거의 성 역할, 지위 역할에 일치하는 언어라는 것 은 노인의 성적 역할, 사회적 지위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이 사회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다만 연령 역할, 관계 역할에는 불일치하는 언어가 다소 보여서 나이나 관계에 있어서는 인식의 변화가 엿보인다. 그러나 과거에 비해 최근 노인이 감성적 소구에 등장한 경우가 대폭 늘었다는 것, 과거엔 전혀 등장하지 않았던 감동톤 광고에 자주 등장했다는 것, 최근 정서적 언어 사용이 증가했다는 것들은 과거엔 늙으면 감정도 메마를 것이라 생각했지만 최근 노인들의 여러 가지 활동과 함께 그들도 감정을 가진 존재, 감정의 대상이라는 인식이 생긴 결과로 보인다. The fact that the elderly are alienated even in the advertisement of the elderly products indicates that the prejudice against the elderly in our society is more serious than expected. The fact that the elderly are concentrated only in advertisements targeted to elderly people clearly shows the prejudice that ‘the elderly are different. In reality, despite the fact that there are more female elderly people, there are still fewer ads, and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see foreigners, which are common in the real world, shows other social prejudices that we need to solve. These prejudices must be solved not only from a social standpoint but also from a marketing standpoint. The fact that elderly people are mainly represented as non-professional, simple product users shows that the perception of qualitative influence is low compared to the elderly`s quantitative influence.

      • KCI등재

        유머가 광고 기억에 미치는 영향 분석

        천현숙(Hyun Suk Chun) 한국광고홍보학회 200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0 No.4

        본 연구는 유머 광고가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 하는 것보다, 언제 유머 광고가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그 효과의 이면에 있는 처리는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유머가 강하고 메시지 주장과 관련되었을 때, 유머의 주의를 모으는 메커니즘은 기억을 위한 긍정적 효과로 바뀐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는 강한 유머 자체가 항상 효과를 보증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말해준다. 둘째, 유머는 보는 사람의 기분 상태를 긍정적으로 만듦으로써 그들의 주의를 이끌어내고, 그 결과 광고 내용을 더 기억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 셋째, 유머-메시지 관련성이 메시지 주장 회상에 미치는 영향력은 인지욕구가 낮은 사람들보다 인지욕구가 높은 사람들에게 더 크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유머를 사용하려는 광고 실무자들에게 목표 청중을 세분화하고 타깃팅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유머가 과연 광고의 이해를 높이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기술인가?’라는 오랜 의문에 답을 제시함과 동시에 유머 광고가 소비자들에게 호감을 주고 주의를 끌 것이라는 광고 실무자들의 관습적인 믿음에 이론적 뒷받침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n does humor influence on ad memorability and what is the process underlying such effects. The results show that humor`s attention gaining mechanism may translate into positive effects for memory when humor is both strong and related to the message. It means that strong humor itself is not always guarantee effects of advertising. This joint impact of humor strength and humor-message relatedness on claims recall is mediated by attention and mood. And higher humor-message relatedness induce higher recall among individuals with a high need for cognition than individuals with a low need for cogn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how target and segment the audience of humor advertising.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