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택용 소방시설의 확대보급 정책방안 연구

        채진(Jin Chae) 한국정책개발학회 2021 정책개발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주택화재의 현황을 바탕으로 문제점과 위험성을 알아보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국의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현황을파악하여 주택화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주택용 소방시설 보급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현황을 분석하여 주택용 소방시설 보급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안한다. 첫째,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를 위한 실효성 확보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 실효성 확보수단인 행정강제와 행정벌의 제도를 도입하여야 한다. 둘째,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주택용 소방시설에 대한 사후 관리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화재 감지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정기적인 유지 보수·점검을 해야 한다. 넷째, 주택용 소방시설 확대 보급을 위한 원사업 조례제정 등 정부의 지원정책이 꾸준히 시행되어야 한다.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를 위해 지원사업 조례제정이 필요하다.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지원사업을 위해 안정적인 재정이 확보되고, 그 계속성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주택용 소방시설 확대 보급을 위한 효과적인 홍보활동을 수행하여야 한다. 효과적인 홍보활동은 주택용 소방시설 덕분에 화재를 초기에 발견하여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홍보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problem and risk based on the situation of house fire, grasps the installation status of fire fighting facility for house in the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A, England and Japan including our country, and deduces the suggestions of house fire. Based on that, this paper has as its objective to do the political proposal for distributing the fire fighting facilities for housing. This research analyzes the installation status of fire fighting facility for house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and does the political proposal for distributing the fire fighting facilities for housing.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this paper does the political proposal as follows. First, the means of securing effectiveness for installing the fire fighting facilities for housing should be prepared. The means of securing effectiveness such as the administrative coercion and administrative punishment should be adopted. Second, the systematic device to confirm the installation of the fire fighting facilities for housing should be prepared. Third, the post-management system of the fire fighting facilities for housing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fire detection, a regular maintenance and revision should be made. Fourth, the government support polity for expanding and distributing the fire fighting facilities for housing should be constantly executed. In order to install the fire fighting facilities for housing, it is necessary to enact the ordinance of support project. In order for the support project of installing the fire fighting facilities for housing, the stable finance should be assured, guaranteeing its continuity. Fifth, the effective PR activity should be made for expanding and distributing the fire fighting facilities for housing. For the effective PR activity, a PR activity to discover early the fire and protect the valuable life and assets due to fire fighting facilities for housing should be made.

      • KCI등재

        화재통계 분석을 통한 화재안전지수 개선방안

        채진(Jin Chae)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3 지식과 교양 Vol.- No.11

        최근 대전광역시의 화재안전지수는 지속적으로 낮은 등급을 유지하고 있어 화재안전지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5년간 대전광역시 화재발생 통계분석을 바탕으로 대전광역시의 화재안전지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화재안전지수개선방안으로 주택화재로 인한 사망자를 줄여야 하고, 주택에서 발생한 화재를 사전에 알아차릴 수 있는 주택용 소방설비가 설치되어야 한다. 공장시설에 대한 폭발사고를 예방하여야 하고, 담배꽁초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여야 한다. 전기화재에 대한 예방대책을 추진하여야 하고, 체험형식의 소방안전 교육과 훈련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효과적인 화재예방 홍보활동이 필요하다. Recently , the fire safety index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continues to remain low, so research on ways to improve the fire safety index is need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fire safety index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based on the analysis of fire occurrence statistic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over the past five years. Firstly, as a way to improve the fire safety index, the number of deaths from dwelling fires should be reduced and residential fire fighting equipment should be installed to detect dwelling fires in advance. Secondly, explosion accidents at factory facilities should be prevented, and fires caused by cigarette butts should be prevented. Furthermore, preventive measures against electric fires should be implemented, and experiential fire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must be conducted continuously. Finally, information activities are needed for effective fire prevention.

      • KCI등재

        소방공무원 인식조사를 통한 필로티 건축물 화재진압 연구

        채진(Jin Chae)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3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effective fire suppression strategy for piloti buildings based on the fire hazard analysis of piloti building fires, analysis of prior research, and a perception survey of fire officials. The use of combustible building materials in piloti architecture poses a risk of rapid combustion, which may cause ground entrances to lose their evacuation function because of flam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iercing applicators and cellar nozzles were suitable for use as a fire extinguishing strategy in pilotis with the aid of fireballs and thermal imaging cameras. Secondly, trios and quadruples were used to extinguish fires. Thirdly, fire suppression strategies bas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fire drones and fire robots, were used to extinguish fires.

      • KCI등재

        다수사상자 재난현장의 효과적인 대응방안 연구

        채진(Jin Chae),윤순중(Soon Joong Yu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5 No.6

        본 연구는 다수사상자 재난현장 사례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난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다수사상자 재난현장의 효과적인 대응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착 구급대의 임시응급의료소 운영능력을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구급대원을 포함하여 모든 소방공무원의 중증도 분류 역량 강화를 위해 쉽고 편리한 중증도 분류 포켓북을 제작·배포해야 한다. 셋째, 사상자 관리를 위해서 다수사상자 e-Triage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넷째, 보건소 및 DMAT의 신속한 현장출동을위한 연락체계가 개선되어야 한다. 다섯째, 재난현장의 심정지 환자에 대한 중증도 분류기준 재정립이 필요하다. This study draws implications through a case analysis of disaster sites with multiple casualties. Based on this, througha survey targeting firefighters working at disaster sites,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n effective response improvement planat disaster sites with multiple casualties.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operational capability of the emergencymedical center of the first responders. Second, an easy and convenient triage pocket book should be produced anddistributed to strengthen the triage capability of all firefighters, including paramedics. Thir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multiple casualty e-triage system for casualty management. Fourth, th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mpt on-site dispatchat public health centers and DMAT should be improved. Lastly,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severity classificationcriteria for cardiac arrest patients at disaster sites.

      • KCI우수등재

        다조직의 재난관리 협력체계 분석: 구제역 방역활동을 중심으로

        채진 ( Jin Chae ) 한국행정학회 2012 韓國行政學報 Vol.46 No.1

        재난의 환경은 매우 복잡·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으며, 예측 불가능한 재난의 발생으로 인하여 대규모 인적·물적 피해를 입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구제역,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및 대규모 전파를 동반하여 폐사를 일으키는 가축질병 등 신종 가축질병이 세계 전역에 걸쳐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재난의 환경은 급격하고,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대처를 어렵게 하고 있다. 재난은 그 속성상 발생 원인이 복잡·다양하기 때문에 재난관리 위해서는 다수의 조직(multi-organizational)이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제역 방역활동을 사례로 다조직의 재난관리 협력체계를 분석하여 향후 재난관리 참여기관들의 협력체계를 구축을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재난관리 협력체계의 긍정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해 재난관리 자원을 신속하게 동원할 수 있는 다조직 간의 네트워크가 잘 구축되어야 하고, 재난이 발생했을 때 공동목표를 향해 유관기관과의 상호 협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재난관리 협력에 대한 구체적인 조정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고, 최고관리자는 다른 조직과의 재난관리 협력을 위해 리더십을 발휘하여야 할 것이다. A disaster environment has very complex and varied conditions, and due to unpredictable calamities, large-scale damages are experienced. A particular hazard of such environments is the outbreak of new kinds of animal diseases, such as foot-and-mouth disease,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and diseases that cause animal death through large-scale propagation. Disaster environments change rapidly and unpredictably, which makes them difficult to manage. Because the causes of disaster are complicated and various by nature, it is necessary to put together complex and comprehensive disaster management efforts involving multiple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therefore, is to derive ways to improve the creation of a cooperative system among participating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s in the future, by taking foot-and-mouth disease prevention activities as an example and analyzing multi-organizational cooperative systems coordinating thos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a network that can quickly mobilize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should be well established, and that cooperation among the related organizations is necessary at the outbreak of a disaster to increase the positive effects of a cooperative disaster management system. Also, a detailed coordination plan for disaster management cooperation should be prepared, and the top manager should demonstrate the capacity for leading a disaster management system that requires cooperation among several organizations.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노동조합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채진(Jin Chae)(蔡鎭)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7

        우리나라의 노동조합에 대한 인식은 과거 경제성장과 독재정권의 유지라는 차원에서 접근하여 부정적 인식이 사회적으로 팽배해 있다. 그러나 오늘날 소방공무원의 근무조건 개선과 소방조직과 소방행정의 효과성 제고를 위하여 소방공무원의 노동조합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 노동조합 설립에 관한 기본적인 노동조합 이론적 논의와 선진국의 소방공무원 노동조합 활동의 실태를 문헌연구를 통하여 비교, 분석해 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소방공무원 노동조합설립을 둘러싼 논의를 중심으로 소방공무원의 노동조합 도입에 대한 이론적 단초를 제공하고, 바람직한 소방공무원 노동조합 도입과 활동에 관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소방공무원 노동조합 도입에 있어 다음과 같은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소방공무원 노동조합 도입에 대한 주장이 공익과 사회의 안전과 반드시 조화를 이루어야 될 것이다. 소방공무원 노동조합의 활동으로 생명과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고, 공공의 안녕 및 질서 유지와 복리증진에 이바지함에 있어 소홀함이 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 둘째, 소방공무원의 근무여건이 열악하다는 것은 사회적으로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소방공무원 노동조합의 도입에 대한 당위성을 헌법적 해석 등 학문적 근거에서 찾아야 한다. 셋째, 국제노동기구(ILO), OECD 등 국제기구의 권고를 근거해서 노동조합의 필요성을 기술할 때는 반드시 권고라는 것을 강조해야 한다. 넷째, 투쟁과 대결의 노사문화를 버리고 상생을 강조한 성숙한 노사문화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노동운동을 헌법과 법률에서 보장되는 제도적 기본권으로 인식하여 노동조합의 부정적인 인식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다섯째, 근로여건의 개선을 위한 단체교섭이나 파업에 대해서는 이데올로기 접근으로 부정적인 인식이 사회적으로 팽배했다. 노동조합 활동에 대해 이데올로기적 접근에서 벗어나 근로여건의 개선, 조직의 발전과 부정ㆍ부패의 근절 등의 접근으로 인식이 바꿔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cies on introduction and activities of fire fighting officer labor union and to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 for introduction of fire fighting officer labor union centering on discussion over establishment of fire fighting officer labor union by covering discussion of labor union for establishment of fire fighting officer labor union and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fire fighting officer labor union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following policy alternatives for introduction of fire fighting officer labor union. First, argument for introduction of fire fighting officer labor union should be harmonized with public interests and social security. Fire fighting officer labor union activities should consider the protection of citizens' life and asset and improvement of public order and welfare important. Second, it is well known that working conditions of fire fighting officers are poor and therefore the appropriateness of introduction of fire fighting officer labor union should be sought in scholarly basis such as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Third, when the need of labor union is described based on a recommendation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ILO, and OECD, the recommendation must be emphasized. Fourth, mature labor-management culture that places an emphasis on win-win should be created. Labor movement should be recognized as the legal fundamental human right that is guaranteed by constitution and law. Fifth, in the past, Korean society had a negative view of labor union activities such as collective bargaining and strike for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due to the manipulation of public opinion by developmental dictatorship. The public awareness of labor union activities should aim for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developing organization and eradicating corruption after emerging from ideological approach.

      • KCI등재

        세월호 침몰 재난 이후 한국의 안전문화에 관한 연구

        채진(Jin Cha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7 Crisisonomy Vol.13 No.8

        세월호 침몰 재난 이후 우리나라는 재난관리 체계와 제도의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세월호에는 구명 조끼와 구명정 등 수난구조 장비를 갖추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사용하지 못한 원인은 안전 문화가 정착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안전문화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과 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들 중 재난예방 단계는 안전점검, 위험요소 제거, 재난관리계획이 안전 문화에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재난대비 단계는 재난자원 관리, 재난정보 공유, 재난관리 교육이 안전문화에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재난대응 단계는 재난피해의 최소화, 재난경보 발령이 안전문화에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재난복구 단계는 재난관리 평가, 임시주거지 확보, 재난피해자 상담이 안전문화에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olicy proposal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afety culture in Korea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mong th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safety culture, safety inspection, hazard elimination, and disaster management pla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afety culture during the disaster prevention stage. During the disaster preparedness stage, disaster resource management,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and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 were influential variables in determining safety culture. During the disaster response stage, minimization of disaster damage and disaster alarm issuanc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determinants. During the disaster recovery stage, disaster management evaluation, provision of temporary housing, and disaster victim counseling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for safety culture.

      • KCI등재후보

        다중이용업소의 효과적인 소방안전 개선방안

        채진(Jin Chae),우성천(Seong Cheon Woo)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0 Crisisonomy Vol.6 No.3

        다중이용업소는 바닥, 벽 및 천장에 다양한 종류의 내장재와 장식품을 설치하여 고객의 기호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화재 시에 다량의 연기와 유독가스를 발생시켜 질식으로 인한 사망자를 발생시키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다중이용업소 안전관리 실태를 분석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화재 등 재난발생시 불특정 다수인이나 관계자 모두에게 능동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하며 인명피해나 재산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소방안전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다중이용업소의 효율적 소방안전관리 방안으로 안전관리 조직체계 구축, 안전관리자 선임, 소방안전교육의 중요성, 구조.용도 변경 시 신고의무화, 내장재 불연화 및 방염화, 다중이용업소의 소방안전기준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Multiplex available premises has structural issues that occurs suffocated casualties by massive smoke and poisonous gas when it is on fire, due to using diverse material to meet the customer’s preference by installing various interior material and decorations on the floor, the wall and from the ceil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ffective fire-safety improvement plans for unspecific people as well as interested parties,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 analysis of the safety management of multiplex available premises, which can minimize casualties or property damage through active and effective management when disaster, such as fire has occurr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building safety management system, electing safety manager, the importance of fire-safety education, report requirement when changing the structure or the use, and using inflammable interior material as effective fire-safety management plans for multiplex available premises.

      • KCI우수등재

        유해화학물질 사고의 재난대응체계 개선방안

        채진 ( Jin Chae ) 한국행정학회 2015 韓國行政學報 Vol.49 No.2

        본 연구는 효과적인 재난대응 연구의 출발점으로서 재난관리, 재난대응체계, 소방조직의 재난대응체계 등의 개념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 위험물질 사고의 효과적인 재난대응 개선방안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재난관리, 재난관리 과정, 재난대응의 중요성, 재난대응의 특성, 소방조직의 재난대응체계, 재난대응 선행연구, 위험물질 재난대응 선행연구, 위험물질 재난대응 사례분석에 대해서 논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재난대응 체계에 관한 선행연구와 사례분석 등의 요인들을 종합하여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방관서 상황실 요원은 재난현장 정보를 자세하게 수집하여 유관기관과 출동한 소방관에게 화학물질 재난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재난대응시 화학물질에 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화학사고 대응장비를 확보하여 효과적인 재난대응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셋째, 효과적인 재난대응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지휘관은 재난관리 컨트롤타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질병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보건안전에 대한 세부적인 행동지침을 마련한 효과적인 재난대응체계를 확립하여야 한다. 다섯째, 다조직의 재난대응에 있어 공동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조직간의 협업을 통해 효과적인 재난대응 협력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여섯째, 재난대응기관은 신속하게 주민대피 명령을 실시하여 효과적인 재난대응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As a starting point in the study of disaster response systems, this research explores concepts such as disaster management,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disaster response system of the fire-fighting organization, and analyzes an improvement plan for the system of response to a chemical material accident. This thesis discusses disaster management, disaster management process, importance of disaster respons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response, disaster response system of the fire-fighting organization, preceding studies of disaster response, preceding studies of disaster response caused by chemical material, and analysis of examples of disaster response caused by chemical material. A framework of analysis is then presented that incorporates preceding studies of disaster response systems as well as factors related to analysis of examples. First, staff in the situation room of a fire station should collect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disaster site and provide information on chemical materials at the site to the fire-fighting organizations and fire officers dispatched for fire-fighting.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secure chemical accident response equipment to avoid exposure of skin to chemical materials during the disaster response and to establish a safe disaster response system. Third, in order to establish an effective disaster response system, the on-site commander should be able to exert adequate leadership. Fourth, an effective disaster respons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at is equipped with a detailed behavior guide for health and safety to prevent exposure to disease. Fifth, in order to achieve a common goal in disaster response of multiple organizations, an effective disaster response cooperative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that can overcome organizational egoism. Sixth,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s should issue an evacuation order to residents promp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