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졸자의 첫 일자리 직업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차재빈,최정웅,이혜경 한국취업진로학회 2022 취업진로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affect work adjustment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and secon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ollege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A college graduate's first job is important as it marks his first entry into the labor market. In addition, it is very important for new graduates to adapt to the job because it is the beginning of personal career development and has a great impact on the career for the rest of one's life. In particular, there is no active research on comparing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career paths and employment education support at universities preparing for the transition period and beyo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first work adjustment, college graduates found that personal development potential, personal relationships, work autonomy and authority, and social reputation for job were significant in adapting to their first job. On the other hand, for graduates universities, the type of work, working hours, personal development potential, human relations, personnel system, work autonomy and authority, job social reputation, and job-related educa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adapting to the job. Second, for graduates of colleges,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and passion of major professors are important in adapting to their first job. However, for graduates of universities, educational facilities, career-related counseling and support system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adapting to their first job. The results can be used by companies to effectively manage their employees and use career education to help them adapt to the workplace. 대졸자의 졸업 이후 첫 일자리는 처음 노동시장으로 이행한다는 의미이지만 그런 의미 외에도 개인에게는 경력개발의 시발점으로서 생애 동안의 직업생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신규 대졸 신입사원에게는 직업 적응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전문대학과 일반 4년제 대학생들의 비교를 통해서 진로 전환기 이후를 대비하는 대학에서의 진로와 취업 교육 지원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대학생활 만족과 직장 만족과의 관계에서 전문대학생과 4년제 대학생들 간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기업의 효율적인 인력관리와 신규 직장인들이 첫 일자리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진로와 취업 교육의 효과적 개입을 모색하고자 한다. 첫째, 직장 만족 속성이 첫 일자리 직업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문대학 졸업자는 개인의 발전 가능성, 인간관계, 일의 자율성과 권한, 일자리에 대한 사회적 평판이 첫 일자리 직업 적응에 따른 집단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4년제 대학 졸업자는 직무내용, 업무 시간, 개인의 발전 가능성, 인간관계, 인사제도, 일의 자율성과 권한, 일자리에 대한 사회적 평판, 직무관련 교육 또는 훈련이 직업 적응에 따른 집단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졸업한 대학 만족 속성이 첫 일자리 직업 적응은 전문대학 졸업자는 전공 교수진의 능력 및 열의가 첫 일자리 직업 적응에 따른 집단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4년제 대학 졸업자들은 교육지원 시설, 진로관련 상담 및 지원제도가 첫 일자리 직업 적응에 따른 집단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직업가치와 학습참여가 교육만족, 진로포부, 학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차재빈,이환의 한국취업진로학회 2021 취업진로연구 Vol.11 No.3

        올바른 직업가치관 형성과 학습참여에 대한 동기 부여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만족도와 진로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대학 경쟁력 제고에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만족과 진로포부 의 선행변수로 직업가치와 학습참여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결과로 대학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 고자 하는 학생충성도와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2021년 7월 5일부터 7월 16일까지 약 2주간 경기도에 위치한 K대학교 호텔관광계열 재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50명 중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 한 328부(회수율 93.7%)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25.0 프로그램과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직업가치는 교육만족보다 진로포부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학습참여는 진로포부보다 교육만족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참여와 교육만족 중 진로포 부에는 학습참여가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만족은 학생충성도에 유의한 영향 을 미쳤으나 진로포부는 학생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대학 경쟁력 강화와 학생충성도 제고 방안 마련에 실무적인 시 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Since enhancing student motivations for development of work values and learning participation is viewed as a primary driving factor to increase student satisfaction and confidence about future career and that it is imperative for boosting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As su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work values, learning participa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career aspirations and student loyalty. A total of 350 online/offline questionaries were distributed to students with the majors in hotel and tourism areas of K university, of which 328 were deemed usable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and AMOS statistical tools and various analysis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rk values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career aspirations that educational satisfaction. Second, learning participation i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career aspirations than educational satisfaction. Third, educational satisfaction affects student loyalty but career aspirations is not related to student loyalty. The study’s findings provided some practical suggestions to boost college competitiveness and student loyalty.

      • KCI등재

        전문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예측요인분석을 통한 학생진로의 방향성 제시에 관한 연구: K 전문대학생을 중심으로

        차재빈,이혜경 한국취업진로학회 2018 취업진로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선택에 있어 학업중단을 결정한 K 전문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예측요인을 살펴보고, 학업지속을 지원하고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학생진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진로선택에 있어 학업중단을 결정한 학생들의 대학생활 부적응 요인을 분석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부적응 요인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학업중단을 결정한 학생들 중 어느 환경 요인이 중도포기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학업중단을 결정한 학생들 2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업중단 원인을 타 학교 이동학생과 대학교육을 중도에 포기하는 학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성별에 따라 대학생활 부적응 차이를 나타낸 요인은 직무능력, 대학이미지, 동기결여, 대인예민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라 대학생활 부적응 차이를 나타낸 요인은 직무능력, 대학이미지, 학생지원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중단에 따라 대학생활 부적응 차이를 나타낸 요인은 기초학습, 전공학습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공학습, 대학이미지, 대인예민성이 학업중단에 따른 집단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시사점과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student career by analyzing the predictors of dropout focusing on K college students. This is to support students' continuing education in career counseling and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support. Therefore, we analyzed the factors that cause students to decide whether to stop studying, and the difference in factors of university maladjustment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we examined whether any of the students decided to dropout the program. The data collected 260 students who decided to stop studying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17. The reasons for dropout were divided into the students who moved to other schools and those who gave up university education in the midd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 showed the difference of maladjustment in college life according to gender were job ability, university image, lack of motivat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Second, according to the grade, the factors that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maladjustment of college life were job ability, university image, student support. Third, the factors that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maladjustment of college life due to the suspension of schooling were basic learning and major learning. Fourth, major learning, college image,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group. In conclu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nd follow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응일치분석을 활용한 외국인 환자 유치 활성화 방안 연구: 2022 외국인 환자 유치실적 통계분석보고서를 중심으로

        차재빈,안수경 경희대학교 경영연구원 2024 의료경영학연구 Vol.18 No.1

        This study aims to study ways to revitalize the attraction of foreign patients by using the correspondence analysis technique, focusing on the 「2022 Statistical Analysis Report on Foreign Patient Attraction Performance」.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foreign patients by region, department, and major disease based on the countr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PASW 26.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regarding the patient status by region, the overall number of foreign patients was high in that order: Seoul, Gyeonggi-do, Dae-gu, and other regions. Second, in terms of patient status by department, the majority of foreign patients were in that order: other departments, integrated internal medicine, plastic surgery, dermatology, and examination center. Third, the patient status by major disease is foreign patients in the following order: vascular system (K00-K93), musculoskeletal system (M00-M99), genitourinary system (N00-N99), neoplasm (C00-D48), and endocrine metabolism (E00-E90). In the conclusion, a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results are describ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would like to revitalize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after COVID-19 and suggest policy directions. In addi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it is expected that a wide range of information and direction can be presented to the overseas patient attraction industry.

      • KCI등재

        제약회사의 내부마케팅활동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와의 관계 -제약영업사원을 중심으로-

        차재빈,류가연 보건의료산업학회 2013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7 No.1

        The initial approach to this study is to focus on pharmaceutical companies' internal marketing activities for organizational diagnosis. By analysing the influence of internal marketing elements on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pharmaceutical salespeople, this study aims at coming up with ways to strengthen the sales capacity and competitive edge of pharmaceutical companies through the salespeople's satisfaction. For 32 days between November 10th and December 12th of 2012, a total of 21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the respondents and 203 of them except 7 with insufficient answer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internal communication, delegation of authority, and reward system among the elements of internal marketing activ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workers' job satisfaction. The internal marketing activity elements did not influence the respondent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it had a negative influence of turnover intention. The conclusion section encapsulated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and proposed practical lessons regarding pharmaceutical companies' internal marketing.

      • KCI등재

        영업사원의 고객 공감과 직무만족, 정서적 몰입,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 연구

        차재빈,김동현,박찬욱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8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영업사원의 영업역량을 향상하고자 감정노동 수행방식 중 영업사원의 고객 공감과 직무만족, 정서적 몰입 및 고객지향성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여 고객과의 장기적 관계를 형성함에 있어 영업사원의 고객 공감 중요성을 파악하여 영업일선에 종사하고 있는 영업사원들에게 영업사원의 역량개발 차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2017년 5월 22일부터 6월 23일까지 약 1개월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대상은 자동차, 보험, 제약, IT기술 등 영업현장에서 실질적으로 근무하고 있는 국내 및 외국계기업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고객 공감 중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적 공감은 정서적 몰입에만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직무만족과 정서적 몰입, 고객지향성 간 인과관계는 유의한 정(+)의 영향이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업사원의 고객 공감 중요성과 영업사원의 고객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ausality between customer empathy, job satisfaction, emo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among salesperson’s emotional labor pract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alespeople who are engaged in the sales line by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salesperson 's empathy toward the long - term relationship with customer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about one month from May 22, 2017 to June 23, The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domestic and foreign company salespeople practicing in the field of automobile, insurance, pharmaceutical and IT technolog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customer empathy. Emotional empathy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emotional commitment. Also,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emo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was significantly positive (+).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customer empathy for salespeople and customer orientation of salespeople are suggested, and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의료관광 동기에 있어 추진(Push)요인과 유인(Pull)요인의 관계-20-30대 중국인을 대상으로-

        차재빈 한국관광학회 2015 관광학연구 Vol.39 No.9

        Using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 of push-pull factors in motivations for medical tourism focusing on Chinese people in their 20s and 30s. In order to promote facilitation of medical tourism in Korea,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strategies interrelating push factors and pull factors effectively as an important area of research. The result of the analysis drew out 3 canonical functions. In Canonical Function 1, the push factors of ‘Exotic and unusual sentiments’(-.574), ‘Recharging and break from the busy daily life’(-.466) were highly correlated with pull factors of ‘Various opportunities for shopping’(-.513), ‘Various foods of the country’(-.462). In Canonical Function 2, the push factor of ‘Treatment of illness (disease) that is difficult to be treated in my country’(.433) was highly correlated with pull factors of ‘Highly skilled medical staff and professionals’(.425), ‘Availability of treatment in internationally accredited hospitals’(.422), ‘Advanced high-tech medical facilities’(.418). The findings could figure out the kinds of motivations for medical tourism that the Chinese medical tourists were attracted and implemented by. 본 연구에서는 의료관광 동기에 있어 추진(Push)요인과 유인(Pull)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20-30대 중국인을 대상으로 정준상관관계(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분석을 하였다. 국내 의료관광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의료관광 동기에 있어 추진(Push)요인과 유인(Pull)요인을 효과적으로 상호 연계시키는 전략은 중요한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분석결과, 3개의 정준함수가 도출되었다. 추진(Push)요인과 유인(Pull)요인의 관계정도에 있어 정준함수 1에서는 추진(Push)요인의 이국적이고 신기함(-.574), 바쁜 일상생활로부터의 일탈과 재충전(-.466)은 유인(Pull)요인의 다양한 쇼핑의 기회(-.513), 다양한 음식문화(-.462)와 상관관계가 높았다. 정준함수 2에서는 추진(Push)요인의 자국에서 치료받기 어려운 질병의 진료(.433) 속성이 유인(Pull)요인의 의료진의 질 높은 진료서비스(.425), 국제인증을 받은 병원에서의 진료가능성(.422), 첨단의 의료시설(.418) 속성과 상관관계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국인 의료관광객이 어떠한 의료관광 동기를 통해 추진(Push)되고 유인(Pull)되는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중국인 환자유치를 위한 마케팅방안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 KCI우수등재

        시간적 거리에 따른 해석수준과 여행상품의 고객보상프로그램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절초점과 평가모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차재빈,조미나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9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nstrual level theory (near future vs. far future) and a consumer reward program (instant discount vs point accumulation) of travel produ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This was done according to temporal distance and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using a regulatory focus and an evaluation mode. The moderating effect of regulatory focus (promotion focus vs prevention focus) was examined in the first experiment and an evaluation mode (separate evaluation vs joint evaluation) was examined in the second experiment. A total of 296 and 277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first and second experiments respectively. These were taken from college students aged in the 20s throughout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May 12 to May 25, 2017.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gulatory focus was partially adopted whil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evaluation mode was fully adopted. In conclusion, the study identifies the importance of consumer behavioral changes in the purchasing intention for travel products and suggests effective ways of using a consumer reward program. 본 연구는 시간적 거리에 따른 해석수준(가까운 미래 vs. 먼 미래)과 여행상품의 고객보상프로그램(즉시 할인 vs. 포인트 적립)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초점과 평가모드에 따라 조절효과가 발생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실험 1은 조절초점(향상초점 vs. 예방초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실험 2는 평가모드(분리평가 vs. 공동평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서울ㆍ경기지역의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5월 12일부터 25일까지 실험 1과 실험 2 각각 296명, 277명 샘플을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는 부분 채택되었고, 평가모드의 조절효과는 완전 채택되었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여행상품을 구매하는 상황에서 소비자 행동변화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고객보상프로그램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중국인의 의료관광 선택 동기에 의한 시장세분화연구 -2단계 군집분석을 적용하여-

        차재빈,이훈영 한국관광학회 2014 관광학연구 Vol.38 No.9

        본 연구는 2단계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의료관광 선택 동기(Push-Pull 요인)의 연속적 변수와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의료관광 행태적 특성의 범주형 변수를 이용하여 중국 잠재 의료관광객을 중심으로 시장을 세분화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한 세분시장별 전략적 마케팅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문대상은 중국 현지에 거주하고 있으며 북경과 광저우 공항 내에서 여행을 떠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관광객을 잠재 의료관광객으로 정의하고 편의표본추출방법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650부를 배포하여 이중에서 불성실한 설문응답 및 결측치가 포함된 44부를 제외한 606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2단계 군집분석을 통해 3개의 군집이 추출되었다. 의료관광 선택 동기에 대한 군집별 차이는 Push 요인 중 의료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의료관광 선택 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의료관광 선택 동기 중 관광을 추구하는 군집 1은 순수치료목적 이외의 부가적인 선택속성을 위해 타 국가를 이동하는 형태라고 볼 수 있다. 군집 2는 자국 내 대기시간의 불만족, 낙후된 의료서비스로 인하여 타 국가의 차별화된 선진 의료서비스를 받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의료와 관광을 동시에 추구하는 군집 3은 의료관광국가의 안전 및 입국 행정절차가 용이한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집단이다. 이는 의료관광 중 어느 것이 주된 목적이든 공통적인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결론에서는 연구의 주요 결과와 시사점 외에도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Applied 2-step cluster analysis, this study segmented and identified the market of Chinese potential tourists by continuous variables of choice motivation (push-pull factors) of medical tourism and by categorical variables of demographic features and behavioral features of medical tourism. The study, then, attempte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of strategic marketing for segmented markets to boost medical tourism. The target of the survey was potential medical tourists living in China and who were waiting in Airports of Beijing and Guangzhou to depart for overseas tour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3 clusters were drawn using 2-step cluster analysis. The difference of the clusters on choice motivation of medical tourism showed to be significant in all choice motivation of medical tourism except for the medical factor among push factors. In the conclusion, the study presented major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limitation of the study, as well as the task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병원 선택 속성간의 계층적 구조 분석

        차재빈,이훈영 한국보건행정학회 2011 보건행정학회지 Vol.21 No.2

        As the competition among hospitals become intensified, hospital management is required to carry out more effective marketing and positioning of the hospital. Successful positioning of a hospital requires the knowledge about how the concrete attributes inherent in the medical service associated with the customer values that customers seek eventually in the medical service. Thus, it is required for hospital management to understand which hospital attributes should be emphasized in order to improve the customer values.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service attributes can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bout effective positioning and advertising. To obtain such knowledge, we employed the order analysis technique as an objective means-end chain method. Order analysis is useful for identifying the causal structure among attributes. Thus, we can examine the underlying causal relationship and eventually the vertical structure of hospital selection attributes.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to obtain 370 responses for the analysis. The result suggests that hospital management had better increase the scale of hospital, improve the services of health care providers, and modernize the hospital facilities and equipments so as to enhance customer values and eventually to lead them to recommend the hospital to others. Our findings would provide the valuable information for hospital management to develop the more effective hospital positioning and marketing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